View : 5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근-
dc.contributor.author오주연-
dc.creator오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7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3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778-
dc.description.abstractAs the seventh National School Curriculum in Korea has emphasized both fluency and accuracy in language use, English language learners and teachers have com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in English language use. Although basic vocabularies that students must study in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are provided in the Seventh National School Curriculum, how to teach the vocabularies is not clearly presented in the Curriculum. Therefore, teachers often leave vocabulary learning to individual students or just present word lists to them. Many recent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multimedia dictionaries or glosses. As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to communicate in English, it is emphasized to teach vocabulary effectively in a class. So, the effective methods on teaching vocabulary has been developed a lot. Thank to Internet and the multimedia technology, the language teachers brought different multimedia tools to the class. Many linguistician also have tried to apply these tools to the class pedagogically on teaching English vocabulary and suggested various teaching techniques. Even though there are many multimedia technology which is applied to the class, it is still common and easy for the learners to look up the dictionary for the words they do not know. However, the dictionary also has been changed into the electronic one to web-based one. There has come the on-line dictionary which can serve various services including on-line word notebook.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fill the gap in the literature by exploring the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vocabulary in the secondary school classrooms. Specifically,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computer vocabulary learning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y practiced 120 words for six week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Group A practiced the vocabularies using the every function of vocabulary learning program whereas Group B utilized the restricted function of vocabulary learning program. Group C practiced the target words without using computer program. After the experiment, this result was analyz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vocabulary tasks on vocabulary lear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ask types brought significant difference in vocabulary learning across the three groups. Group A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both Group B and C, suggesting that memory function of the computer program facilitated the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Second, the students were very positive to using computer-assisted vocabulary learning. Specifically, they felt vocabulary learning much easier than before and felt less inhibition about mistakes they made in the learning process. These results ha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vocabulary teaching.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vocabulary learning with the program helps the learners to be autonomous learners. Second, the computer program provides various contexts with using multimedia technology and to allow for the learners to have a chance to use the words in the meaningful context. Third, the use of program makes it possible to individualized study in a class. In summary, since the vocabulary tasks using vocabulary learn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use,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utilize computer programs to facilitate students' vocabulary learning.;최근에는 이미 널리 보급되고 발전된 개인용 컴퓨터들이 그 성능 면에서 급속한 발전을 보이고 있어 언어 학습에 컴퓨터를 이용하려는 시도는 이제 새로운 언어교수법의 차원으로 발전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다양한 개인차를 가진 학생들로 구성된 과밀 학습에서 비원어민화자인 교사에 의해 수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영어 교육 분야의 현실을 생각해 볼 때, 컴퓨터가 우리의 영어 교육 현실에 기여할 수 있는 효용성은 크다. 컴퓨터를 이용한 영어 어휘 학습을 할 경우 학생들의 입장에서 보면 원어민의 발음 청취 및 수준에 맞는 학습을 할 수 있으므로 많은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다. 또 교사의 입장에서 보면 정확하고 유창한 발음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고 수업 전이나 후에 학생 스스로가 학습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기에 보다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 활용된 컴퓨터 어휘 학습 프로그램이란, 어휘 제시 기능, 어휘 암기 기능과 어휘 퀴즈 기능, 자동 목록화 기능을 멀티미디어 기술과 통합하여 웹에 구현된 학습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 활용된 컴퓨터 어휘 학습 프로그램이 기존 프로그램과 가장 차별화되는 점은 학습자들의 개별 학습 상태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다음 학습을 할 때 원하는 학습 상태의 어휘 목록을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는 자동 목록화 기능이다. 예를 들면 암기되지 않은 어휘 목록을 클릭하면 아직 학습자가 암기되지 않은 어휘들만 자동으로 나와서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또는 학습자가 암기횟수 1회부터 5회 미만의 목록을 클릭하면 그에 해당하는 어휘들만 선별하여 학습할 수 있다. 이는 어휘 학습의 중요한 부분인 효율적인 복습을 가능하게 하여 학습자의 어휘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개발되어진 컴퓨터 어휘 학습 프로그램을 활용한 어휘 학습이 중학교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들은 세 가지 어휘 학습 유형으로 어휘 학습을 하였는데, 실험집단 A와 실험집단 B는 컴퓨터 어휘 학습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어휘 학습을 하였고, 실험집단 C는 교사가 직접 지도하고, 지필로 어휘 학습을 하였다. 컴퓨터 어휘 학습 프로그램은 네 가지 기능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첫 번째로 단어 제시 기능, 두 번째로 암기 카드 기능, 세 번째로 단어 퀴즈 기능, 네 번째로 자동 목록화 기능이 있다. 실험집단 A와 실험집단 B의 차이는 네 번째 기능인 자동 목록화 기능의 사용 유무이다. 실험집단 A는 네 기능을 사용하여 어휘 학습을 하고, 실험집단 B는 자동 목록화 기능을 제외한 세 가지 기능을 사용하여 어휘 학습을 한다. 이와 더불어 어휘 학습 프로그램이 학습자들의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가 실시하였고, 학습자들이 컴퓨터 어휘 학습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어휘 학습 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실험집단 A와 실험집단 B에서 각각 한 명씩 선정하여 어휘 학습을 하는 화면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 연구는 서울 소재 중학교 2학년 6학급을 어휘 학습 유형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별로 서로 다른 유형의 어휘 학습을 총 6주간 정규 영어 수업시간에 일주일에 세 번씩 실시하였다. 사전 어휘 평가의 결과는 6주간의 실험 동안 학습해야 할 목표 어휘를 선정하는데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학습 프로그램을 이용한 어휘 학습 활동의 각 유형은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왔다. 먼저, 어휘 활동 유형만을 달리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모든 것을 동일한 조건(학습방법, 시간, 어휘목록)으로 어휘 학습을 하였다. 세 집단이 어휘를 연습하였던 활동 유형이 세 집단 학습자들의 어휘 향상에 영향을 주었는지 실험 후에 세 집단의 사후 평가 점수를 비교하였더니 어휘 학습 프로그램의 네 가지 기능(어휘 제시 기능, 어휘 암기 기능, 어휘 퀴즈 기능, 자동 목록화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한 실험 집단 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세 가지 기능을 사용하였으나 자동 목록화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학습한 실험 집단 B 가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으며, 어휘 학습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전통적인 방법으로 학습한 실험 집단 C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어휘 학습 프로그램을 아용한 어휘 학습이 더욱 효율적이라는 결론이 도출되어진다. 둘째, 어느 집단의 사후 어휘 검사 점수 사이에 차이가 나는 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Tukey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컴퓨터 어휘 학습 프로그램을 사용했지만 자동 목록화 기능을 사용하지 않은 실험 집단 B보다 컴퓨터 어휘 학습 프로그램과 자동 목록화 기능을 함께 사용한 실험 집단 A가 유의미하게 높다는 결과를 봤을 때, 자동 목록화 기능이 어휘 학습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어휘 학습 프로그램을 사용했던 실험 집단 B와 전통적인 지도법으로 어휘 학습을 한 실험 집단 C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자동 목록화 기능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는 컴퓨터 어휘 학습 프로그램을 어휘 학습에 활용했을 때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어휘만을 자동적으로 선별하여 학습할 수 있을 때 어휘 학습의 효율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할 수 있다. 셋째, 어휘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어휘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은 대부분 긍정적으로 대답하였다. 학습에 자신감을 주었고 자신의 오류에 대한 부끄러움을 덜 느꼈다고 반응하여 학습자들의 정의적 측면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개방형 설문의 응답에서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어휘 학습의 장점으로 많은 학생들이 프로그램이 갖는 음성이나 반복 학습 기능의 편리성을 뽑았고, 개별적으로 학습한 결과가 자동으로 저장되어 학습의 효율성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학생들이 인터넷을 이용하면서 다른 사이트에 가고 싶었던 학습 방해 요소가 작용하였다고 밝혔다. 본 실험 결과가 어휘 학습 프로그램을 활용한 영어 어휘 학습으로 영어교육에 줄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몇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어휘 학습 프로그램 활용 어휘 학습은 학습자의 주도적 어휘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둘째, 어휘 학습 프로그램을 이용한 언어 학습은 학습에 필요한 풍부한 자료와 해당 언어 지식이 쓰이는 문맥을 각종 영상, 음성을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어휘 학습 프로그램의 활용으로 개별화 학습에 따른 장점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어휘능력은 개인차가 많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있는 교실 수업에서 학생 개개인의 수준에 맞는 지도가 이뤄지기 어렵다. 따라서 어휘 학습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인의 학습 속도, 반복 횟수, 오류에 대한 자가 평가를 통한 억압과 불안을 낮추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어휘의 중요성과 습득이론 = 5 B. 어휘 학습 및 지도 이론 = 8 C. 멀티미디어와 어휘 학습 = 12 D. 선행연구 = 18 Ⅲ. 연구방법 = 34 A. 연구질문 = 34 B. 연구대상 = 35 C. 연구자료 = 38 가. 어휘선정 = 38 나. 어휘능력평가지 = 40 다. 설문지 = 42 라. 어휘학습프로그램 = 45 D. 실험절차 및 분석방법 = 51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57 A. 어휘 학습 프로그램의 활용 유형에 따른 어휘 학습 결과 = 57 B. 어휘 학습 프로그램을 활용한 어휘 학습에 대한 반응 = 61 C. 어휘 학습 프로그램 활용한 어휘 학습 관찰 분석 = 67 Ⅴ. 결론 및 논의 = 84 참고문헌 = 88 부록 = 96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833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컴퓨터 어휘 학습 프로그램을 이용한 어휘 활동이 한국 중학생들의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English Vocabulary Tasks Using Vocabulary Learning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Oh, Joo Yeun-
dc.format.pageⅹ,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