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2 Download: 0

판소리 <춘향가> 중 ‘옥중탄식’ 대목 연구

Title
판소리 <춘향가> 중 ‘옥중탄식’ 대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Okjoong' Scene in Pansori 'Chunhangga'
Authors
양명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종진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four different versions of singing the "Okjoong-tanshik(lamentation in prison)" scene, each sung by Jeong Jeong-yeol's pupils; Park Rok-joo, Kim Yeon-soo, Kim Yeo-ran and Kim So-hee. The study focuses on their structure of the lyrics, rhythmic system for putting the words, and the melody. The result says that the structure of the lyrics is similar to each other in general, while Kim Yeon-soo's lyrics vary in its length and order. Park Rok-joo's version takes 59 changdans(rhythmic pattern), Kim Yeo-ran's version takes 54 changdans, and Kim So-hee's version takes 56 changdans while Kim Yeon-soo's version takes 84 changdans which is even 30 changdans longer than the other three. Kim Yeon-soo's addition is considered to be his own composition. In terms of the rhythmic system for putting the words, all four versions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at they use "daemadi daejangdan(simple rhythm that falls on the exact beats)" and in many times, eight words in each daemadi daejangdan. Compared to Park Rok-joo and Kim So-hee however, Kim Yeon-soo and Kim Yeo-ran uses variety of numbers of syllables, seven to nine, in one rhythmic pattern. All four singers prefers putting the words on 1~4 beats. The parts where the up-beat appears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is indicates their master Jeong Jeong-yeol's influence on them.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melody focuses on the musical range and the notes that appears. Park rok-joo and Kim So-hee are the same, Kim Yeon-soo having narrower range as much as minor 3rd, and Kim Yeo-ran having a half tone larger range. All use A(a), B(b), C(c), D(d), E(e), G(g). The cadence style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half cadence and perfect cadence. The former uses 'E-E' and 'A-A‘ while the latter uses 'A-A'.;본고는 정정렬의 제자인 박록주, 김연수, 김여란, 김소희의 ‘옥중탄식’ 대목을 사설의 짜임, 붙임새, 선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설의 짜임은 전체적으로 비슷하나, 김연수의 사설은 분량이나 어순에 있어 변화가 보인다. 박록주는 59장단, 김여란은 54장단, 김소희는 56장단으로 거의 비슷하나, 김연수는 84장단으로 약 30장단이 더해졌다. 김연수가 덧붙여 부른 소리는 개인의 창작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붙임새는 대마디 대장단을 주로 사용하거나, 대마디 대장단안에서 여덟 글자를 주로 사용하는 점은 네 명창의 공통점이다. 그러나 박록주와 김소희에 비해 김연수와 김여란은 한 장단안에 사용하는 글자수의 범위가 일곱 글자와 여덟 글자, 아홉 글자 등 비교적 다양하게 사용하는 사설 붙임을 나타난다. 붙임새 유형은 네 명창 모두 1~4박 사설붙임 유형을 선호하였다. 엇붙임이 사용된 부분은 거의 유사한 사설에서 등장한 것으로 보아 스승인 정정렬의 영향으로 보인다. 선율비교는 음역과 출현음을 중심으로 선율비교를 하였다. 박록주와 김소희가 같고, 김연수는 단3도 좁으며, 김여란은 반음 넓었다. 출현음은 A(a), B(b), C(c), D(d), E(e), G(g)로 같다. 종지형은 중간종지와 마침종지로 구분했을 때'E-E'와 'A-A‘가 중간종지로 사용되었으며 마침종지는 'A-A'로 같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