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9 Download: 0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of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on Adolescent Depression :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avoidant 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Authors
김선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지금까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 청소년 우울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들은 각각의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단선적으로 살펴보았으나, 변인들이 어떠한 인과적인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청소년기에 이르러 우울증의 유병률이 급증하며 여러 가지 문제행동과 동반되거나 자살로 이어질 확률이 매우 높은 청소년기 우울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 청소년 우울의 발생 및 유지에 대한 인과적 구조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집단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자녀의 우울감을 부분 매개하는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인천에 위치한 3개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2학년 학생들이며 총 544명의 자료가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을 측정하기 위해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 척도(PACI) 중 자녀용 척도를 사용하였고, 정서인식의 명확성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특성 초기분 척도(Trait Meta-Mood Scale; TMMS) 중 정서인식의 명확성을 다룬 11문항을 사용하였고, 정서조절양식을 측정하기 위해 윤석빈(1991)이 개발한 정서조절양식 체크리스트를 임전옥과 장성숙(2003)이 수정 번안한 25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청소년 우울감을 측정하기 위해 미국 정신보건 연구원에서 개발한 역학용 우울검사인 CES-D(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부-자녀 의사소통, 모-자녀 의사소통, 정서인식의 명확성,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청소년 우울감에서의 상관관계를 통해 각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부-자녀 의사소통 및 모-자녀 의사소통, 정서인식의 명확성,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청소년 우울감의 인과적인 관계를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자녀 의사소통 및 모-자녀 의사소통, 정서인식의 명확성,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우울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각 변인들의 평균점수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자녀 의사소통과 청소년 우울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다음으로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변수들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자녀 의사소통 및 모-자녀 의사소통은 정서인식의 명확성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청소년 우울감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부-자녀 의사소통 및 모-자녀 의사소통, 정서인식의 명확성,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청소년 우울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정서인식의 명확성은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과 함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우울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모형이 지지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기존의 연구들에서 지지되었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역기능적일수록 청소년 자녀의 우울감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역기능적일수록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낮고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을 더 많이 사용하여 우울감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청소년기 우울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기능적일 수 있도록 다양한 심리사회적 개입이 필요하며, 또한 청소년들이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도록 돕거나 더 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도록 돕는 것이 청소년기 우울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avoidant 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on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adolescent depression. Participants were 544 students(10th-11th grade) at the 3 highschool in Incheon. They completed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PACI), Emotional Clarity(TTMS), Avoidant 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Checklist,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p-Depression(CES-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s by SPSS 15.0 program and performed structural equation ananlysis to test research hypotheses empirically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the AMOS 7.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 test using difference was significant on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emotional clarity, avoidant 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2.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ggested that emotional clarity and avoidant 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dep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