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승영-
dc.contributor.author이현화-
dc.creator이현화-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9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7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3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741-
dc.description.abstract친환경적 생활양식에 대한 인식이 급속도로 확산되기 시작하면서부터, 인간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게 되는 건축물에서의 친환경 구현에 대한 요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의 "유엔환경개발회의 (UNCED)"에서는 온실가스 증가에 의한 지구온난화와 이로 인한 이상 기후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유엔기후변화협약 (UNFCC)"이 채택되었다. 이후 1997년 12월 일본 교토의 제3차 당사국총회에서는 2008~2012년간 선진국(AnnexⅠ국가)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 총량을 1990년 수준보다 평균 5.2% 구속력 있게 감축, 온실가스를 상품으로서 매매할 수 있는 제도 도입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교토 의정서가 채택된 바 있다. 이처럼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구체적 움직임이 국제사회에서 일기 시작하고, 세계 각국에서 친환경 건축에 대한 필요성이 급속히 대두되었다. 이에 국내에서도 2002년부터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를 시행하여 친환경 건축물의 구현과 보급 확산을 적극 추진 중에 있으며, 특히 공동주택의 경우 2006년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이 개정, 공포되어 최초로 친환경 건축물 인증 획득시의 인센티브 규정이 마련됨으로써 추후 친환경 인증 추진 사례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에 있어서 친환경 성능 향상 및 인증 획득을 위한 효과적 계획 방향 수립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각 브랜드별 친환경 인증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친환경 인증 평가부문 및 항목별 설계시공 현황과 배점 대비 득점비율을 분석하고, 공동주택 거주자와 공동주택 설계 시공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인증 평가부문 및 항목별 중요도와 만족도,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의 선호도를 각각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계획방향을 수립함으로써, 친환경 공동주택의 효과적 구현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친환경 인증을 획득한 7개 시공사의 16개(친환경 인증 심사기준 개정 전 12개, 개정 후 4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배점 대비 득점비율이 저조하여 개선이 필요한 항목들을 도출한 결과, 토지이용 및 교통 부문에서는 용적율, 기존 자연자원의 보존율, 인접대지에 대한 일조권 간섭방지 대책의 타당성, 외부 보행자 전용도로 네트워크 연계 여부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자원 및 환경부하 부문에서는 에너지 소비량, 중수도 설치, 대체에너지 이용, 우수이용, 생활용 가구재 사용억제 대책의 타당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환경과 실내환경 부문에서는 녹지공간율, 표토재활용율, 층간 경계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수준, 단지내 음환경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배점 대비 득점비율이 미흡하여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항목들을 위한 계획방향을 기술하였다. 친환경건축물 인증 심사기준 개정 후의 평가부문 및 항목들에 대해 공동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만족도를 묻고, 공동주택 설계 시공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의 선호도를 물은 후, 설문결과를 계층화분석법(AHP)을 이용 분석한 결과, 토지이용에서는 기존 자연자원 보존율은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반면, 비용 대비 효과는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적극적인 고려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교통에서는 초고속정보통신설비의 수준, 도시중심 및 지역중심과 단지중심간의 거리가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고, 비용 대비 효과는 대중교통에의 근접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및 환경오염에서는 비용 대비 효과는 에너지 소비량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료 및 자원에서는 환경친화적(공업화)공법 및 신기술 적용, 유효자원 재활용을 위한 친환경인증제품 사용여부가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으며, 비용 대비 효과는 라이프사이클 변화를 고려한 평면개발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자원에서는 비용 대비 효과는 생활용 상수절감 대책의 타당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지관리에서는 환경을 고려한 현장관리계획의 합리성이 적극적인 고려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생태환경에서는 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공환경녹화기법의 적용여부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실내환경에서는 각종 유해물질 저함유자재의 사용, 층간 경계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수준, 세대간 경계벽 차음성능 수준이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으며, 비용 대비 효과는 층간 경계 바닥 충격음 차단성능 수준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역시 이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With an increasing demand for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ly-friendly buildings,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GBCS) has been in force since 2002 in Korea. The assessment categories of GBCS are largely divided into land use and transportation, energy· resources and environmental impact, ecological environment and indoor environment. A total of 6 types of buildings are dealt with in the GBCS. In particular, apartment complexes are the most common residential buildings in Korea, and it is anticipated that the number of applications for apartment complexes for the GBCS will continuously increase due to financial incentive programs that have been offered for certified apartment complexes since2006. In this study, we aim to pick out the items requiring improvement for the green apartment complex. Sixteen existing certified apartment complexes were selected. GBCS assessment results and actual conditions of design and construct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a total of 13 items that require improvement were identified in accordance with the average score-to-allotted point ratio. Relevant details that are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next design works were also presented. The residents in certificated green apartment complexes and apartment complexes, who surveyed for this study, were classified by age, region and their opinion over important and satisfied greenbuilding assessment items was analyzed. And the experts in design and construct were classified career, age and their opinion of cost-effectiveness green apartment complexes was analyzed. On the process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Expert Choice 11 program are use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is analzed on require improvemental 14 items. Relevant details that are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next design works were also presen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제 2 장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 5 2.1 국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현황 = 5 2.1.1 GBC(Green Building Challenge)의 GBTool = 5 2.1.2 LEED Green Building Rationg System = 7 2.1.3 CASBEE = 11 2.2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현황 = 16 2.2.1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추진과정 및 운영체계 = 16 2.2.2 평가부문 분류체계 및 인증 현황 = 19 2.2.3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관련 법적제도 및 인센티브 = 24 제 3 장 친환경 인증 공동주택의 설계시공 현황 및 배점 대비 득점비율 분석 = 28 3.1 개요 = 28 3.2 조사대상 공동주택의 친환경 인증 심사결과 = 28 3.2.1 토지이용 및 교통 = 32 3.2.2 에너지 자원 및 환경부하 = 35 3.2.3 생태환경 = 39 3.2.4 실내환경 = 41 3.3 친환경 인증 평가부문 및 항목별 설계시공 현황 분석 = 45 3.3.1 토지 이용 및 교통 = 45 3.3.2 에너지 자원 및 환경부하 = 51 3.3.3 생태환경 = 62 3.3.4 실내환경 = 67 3.4 친환경 인증 평가부문 및 항목별 배점 대비 득점비율 분석 = 73 3.4.1 토지 이용 및 교통 = 75 3.4.2 에너지 자원 및 환경부하 = 77 3.4.3 생태환경 = 79 3.4.4 실내환경 = 80 제 4 장 친환경 인증 평가부문 및 항목별 거주자, 전문가 인식 분석 = 82 4.1 계층화분석법(AHP) = 82 4.1.1 계층화분석법(AHP)의 특성 = 82 4.1.2 계층화분석법(AHP)의 적용과정 = 84 4.2 그룹의사결정을 위한 계층화분석법(AHP)의 적용 = 86 4.2.1 준비단계 = 87 4.2.2 의사결정단계 = 87 4.3 중요도와 만족도 측면에서의 친환경 인증 평가부문 및 항목별 거주자 인식 분석 = 90 4.3.1 설문 및 분석개요 = 90 4.3.2 중요도와 만족도 측면에서의 친환경 인증 평가부문 및 항목별 거주자 인식 분석 = 92 4.4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의 친환경 인증 평가부문 및 항목별 전문가 인식 분석 = 105 4.4.1 설문 및 분석개요 = 105 4.4.2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의 친환경 인증 평가부문 및 항목별 전문가 인식 분석 = 107 제 5 장 친환경 공동주택의 효과적 구현을 위한 계획방향 수립 = 115 5.1 친환경 인증 공동주택의 배점 대비 득점비율 분석을 통한 계획방향 수립 = 115 5.2 거주자, 전문가 인식 분석을 통한 계획방향 수립 = 118 제 6 장 결론 = 121 참고문헌 = 124 부록. 설문조사서 = 126 ABSTRACT = 1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450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친환경 인증 평가 부문 및 항목별 설계 시공 현황과 거주자 및 전문가 인식분석을 통한 친환경 공동주택 계획방향 수립-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he Present Conditions of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Certificated Greenbuilding Assessment Items and the Plan of Green Apartment Complexes through Residents and Experts' Recognizing Analysis-
dc.creator.othernameLee, Hyun-Hwa-
dc.format.pageⅹ, 1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