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노경란-
dc.creator노경란-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2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3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27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d how the explicit and implicit race attitudes differ according to age and gender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Korean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 chang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thesis consists of two parts. In Study 1, 22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34 college students completed Explicit Attitudes Rating Scales (likability/ trustfulness/ companionship/ group membership), Explicit Preference Test, and Child Implicit Association Tests (Korean-White/Korean-Black/ Korean-Southeast Asian IATs). The effects of age and gender on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s toward Korean/White/Black/Southeast Asian were examined with two-way MANOVA.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s age increases, in-group preference/out-group bias decrease on the explicit level. In contrast, on the implicit level, as age increases, in-group preference/out-group bias do not decrease. Rather, prejudiced attitudes toward blacks and Southeast Asians increase. Inconsistency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s toward blacks and Southeast Asians with age increase supports the Social Identity Theory and Implicit Social Cognition Theory. Study 2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 change toward rac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ogram conveying an anti-bias message consists of three sessions, and the procedures are as follows; watching video clips, confirming contents and short discussion. Two classes in the program and two classes in comparative groups on the first and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ere assessed on Explicit Attitudes Rating Scales(likability/trustfulness/companionship/group membership), Explicit Preference Test, and Child IATs. The results showed that black preference significantly increased both in the first and the fourth grade elementary students on the explicit attitude level, but not on the implicit level.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인종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가 학년(연령) 및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발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탈 편견적 메시지를 담은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인종에 대한 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1은 초등학교 일학년(6세) 117명/사학년(10세) 117명/대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인이 각 인종(한국인/백인/흑인/동남아인)에 대해 내집단선호/외집단 편견적 태도를 보이는지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에서 알아보았다. 명시적 수준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평정 척도인 명시적 태도검사(호감도/신뢰도/친구삼고 싶은 정도/내집단 포함정도)와 명시적 선호도검사를 사용하였고, 암묵적 수준에서는 암묵적 연합검사(IAT)를 사용하였다. 학년(연령)과 성별에 따른 이원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인의 인종에 대한 태도는 연령 변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 반면, 성별에 따른 차이는 전반적으로 두드러지지 않았다. 한국인은 명시적 수준에서 연령증가에 따라 내집단인 한국인에 대한 선호도가 감소하는 반면, 외집단인 백인/흑인/동남아인/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암묵적 수준에서는 연령증가에 따라 내집단 우호적 태도가 감소되지 않았으며, 흑인과 동남아인에 대해 더 강한 비선호적 태도를 나타냈다. 동남아인에 대한 비선호적 태도는 특히 성인에게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처럼 흑인과 동남아인에 대한 암묵적인 편견적 태도는 연령증가에 따라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연령증가에 따라 편견에 대한 의식적인 통제를 하므로 명시적으로는 편견이 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한국인의 인종에 대한 태도는 사회인지이론보다 사회정체성이론과 암묵적 태도발달이론에 더 부합되는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권위주의 성격과 같은 개인적 특성과 접촉빈도와 같은 환경적 요인들이 인종에 대한 태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탈 편견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초등학교 일학년(6세)과 4학년(10세)을 대상으로 3회기에 걸쳐 탈 편견적 메시지를 담은 영상물을 시청하게 한 뒤 내용확인과정과 토론의 순서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일학년과 사학년생 모두 명시적 태도검사에서 흑인에 대한 호감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명시적 선호도검사와 암묵적 연합검사에서는 탈 편견적인 방향으로 태도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태도의 정서적 측면뿐만 아니라, 탈 편견적인 방향으로 범주화하고 행동하려는 의지적 측면까지 변화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회기와 기간이 충분히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편견적 태도의 변화를 위해서 학습적 요인뿐만 아니라 연구 1에서 언급되었듯이 권위주의 성격과 같은 개인적 차원에서의 특성이나 접촉경험과 같은 사회 환경적 요인들에 대해서도 다각적으로 살펴봐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우선 다양한 인종집단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가 다문화 사회를 지향해 나가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민감한 주제인 인종에 대한 태도측정을 위해 명시적 수준뿐만 아니라 암묵적 연합검사를 사용하여 개인이 의도적으로 왜곡하거나 미처 자각하지 못한 자동적 태도까지도 심층적으로 측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한국인의 인종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를 발달적인 관점에서 연령별로 알아봄으로써 인종을 포함한 사회적 태도의 발달과정을 이해하는 데 발달 이론적 측면에서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는 다문화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정부가 주도적으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 2에서 개발된 탈 편견적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은 비록 짧은 시간에 걸쳐 실시되었지만 명시적 수준에서 탈 편견적인 방향으로 초등학생들의 호감도가 변화하였으므로 현장에서의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연구로 인종에 대한 태도발달을 다양한 계층과 연령층을 대상으로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이를 위해 전 연령층에 걸쳐 인종에 대한 태도발달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 개발이 요구된다. 아울러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의 내용과 기간 면에서 보강이 필요하며, 효과검증을 위해 비교집단에 대한 다각적인 통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인종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발달이론 = 4 1. 명시적 태도와 암묵적 태도의 구분 = 4 2. 인종에 대한 태도발달이론 = 7 3. 인종에 대한 암묵적 태도발달이론 = 12 4. 인종에 대한 태도발달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 16 B.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의 측정 = 방법20 C. 편견적 태도의 변화 = 26 1. 편견적 태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26 2. 탈 편견적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 28 D. 연구 문제 = 31 Ⅲ. 연구 1 : 한국인의 인종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발달 = 33 A. 연구 방법 = 33 1. 연구 대상 = 33 2. 측정 도구 = 33 3. 연구 절차 = 36 4. 자료 분석 = 37 B. 연구 결과 = 38 C. 논의 = 60 Ⅳ. 연구 2 : 편견적 태도의 변화 = 70 A. 연구 주제 및 필요성 = 70 B. 연구 방법 = 71 C. 연구 결과 = 77 D. 논의 = 99 Ⅴ. 종합논의 = 102 참고문헌 = 109 부록 1. 아동용 명시적 검사 질문지 = 116 부록 2. 성인용 명시적 검사 질문지 = 118 부록 3. 다문화 교육 질문지(첫째 날) = 121 부록 4. 다문화 교육 질문지(둘째 날) = 122 부록 5. 다문화 교육 질문지(셋째 날) = 123 ABSTRACT =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283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다문화 시대 한국인의 인종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발달과 태도변화-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of explicit and implicit race attitudes in Koreans and race attitude change in the multi-cultural age-
dc.creator.othernameRow, Kyung Ran-
dc.format.pageⅸ 12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