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영순-
dc.contributor.author이은정-
dc.creator이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0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3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096-
dc.description.abstract장애인 고용률을 높이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취업 이후 안정된 직장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고용 이후의 문제보다는 당장의 취업에 역점을 두면서, 장애인근로자를 위한 정책적?제도적 장치는 극히 미비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용 이후 장애인근로자에게 발생하는 어려움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직무만족에 초점을 두었다. 선행 연구를 통해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진 개인적 요인(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장애유형, 장애등급), 직업 관련 요인(고용형태, 임금수준, 취업경로), 근무 환경 요인(작업환경 불편여부, 출퇴근 지원 이용 유무)을 독립 변인으로 두어 각각의 요인과 직무만족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특정 장애유형에 초점을 두거나 지역적으로 한정시킨 선행연구에서 드러난 표집 상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에서 2005년도에 실시한 전국 단위의 장애인근로자실태조사 원 자료(raw data)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에 근무하는 장애인근로자 15,5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티검정(T-test), 분산분석(ANOVA),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근로자의 독립변인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개인적 요인(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장애유형, 장애등급), 직업 관련 요인(고용형태, 임금수준, 취업경로), 근무 환경 요인(작업환경 불편 여부, 출퇴근 지원 이용 유무)을 구성하는 주요 변수에 따라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개인적 요인을 투입(모형 1)하고, 그 다음에 직업 관련 요인(모형 2), 마지막으로 근무 환경 요인(모형 3)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설명력의 변화와 영향 요인을 검증하였다. 모형 1(F=23.808***)의 설명력은 5.3% 정도이었고, 모형 2(F=56.665***)의 설명력은 15.2% 정도로, 9.9%가 증가하여 직업 관련 요인에 의한 영향이 큼을 보여 주었다. 또한 모형 3(F= 51.591***)의 설명력은 16%로, 모형 2에서 0.8%만이 증가하여 근무 환경 요인에 의한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육수준, 임금수준, 작업환경 불편여부, 출퇴근 지원 이용 유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면 다음과 같다.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에 교육수준과 임금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첫째, 장애인 교육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심각한 문제 중에 하나인 장애인근로자의 저임금 문제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임금 결정 과정에서 장애로 인한 차별이 개입되지 않도록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장애인근로자가 낮은 임금으로 인해 근로빈곤층이나 복지의존층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저임금의 부족분을 보충해 줄 수 있는 정부의 대책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각 사업체에서 장애유형에 적합한 고용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고용 환경 조성에는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요인도 포함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 인식 개선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장애인을 이해하고, 관계 형성을 위한 방법을 숙지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정부의 장애인 고용정책 중 핵심은 바로 직업재활서비스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취업알선기관을 통해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장애인이 23.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직업재활서비스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취업알선서비스가 노동시장으로의 연결 통로뿐만 아니라 장애인근로자의 직장 적응을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 체계를 정비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10대와 20대에 취업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으나 우리나라의 직업재활서비스는 주로 성인장애인 대상이다. 따라서 이들은 노동시장에 진입하여 적응과정상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경험하며 이직을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재활서비스가 이러한 연령대를 위한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여 장애청소년들이 직업세계로 원활히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Much emphasis as equivalent as raising the employment rate for the disabled must be laid on helping ensure their stable work life. However, the status quo in our nation is to only focus on 'being-employed' problems for the handicapped, rather than taking a policy-based, systematic outlook. The current study aims at focusing on job satisfaction by the disabled worker by measuring the level of difficulty they face in their workplace and identifying the reasons influential for their adaptation to jobs. For doing this, it carried out the preliminary study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itself and other independent variables verifiably relating to job satisfaction for the disabled worker being categorized such as; individual factors(gender, age, final education, marital status, level and type of impaired functioning), job-related factors(employment type, salary level, employment route) and working-related environmental factors (discomfort of workplace, benefit from employment support program). The object to be studied is extracted from the raw data, to wit, the 2005 Nationwide Research for Actual Status of the Disabled by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in an attempt to overcome statistical problem found over the past studies restricting their objects to the territorial population or for specific disability type. The study in this regard is targeting for 15,546 disabled people employed in the nationwide firms exceeding five full-time employees for execut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for job satisfaction by the disabled worker depending on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varying with factors such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disability type and classification, employment type, salary condition, employment route, workplace comfortability and use of car-pool program as one of employment support system. Secondl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to find out what factors caused influential to job satisfaction for the disabled worker; to begin with, taking into consideration Model 1 only input by individual factors, and then the next Model 2 as factors for occupation, following Model 3 as working-related environmental factors. As a result, Model 1(F=23.808***) showed 5.3% as its descriptive force, while Model 2(F=56.665***) 15.2%, demonstrating that occupation-related factors were more influential by increasing 9.9%. Meanwhile, Model 3(F= 51.591***) showed 16% as its descriptive force, which increased only 0.8% against Model 2, demonstrating not so big influence by socio-environmental factors. Factors influential to job satisfaction for the disabled worker with significant importance were verified including educational level, salary comparison, comfortability in workplace, accessibility to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In this context from this study the ways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for the disabled worker are as follows; The external factors significantly effecting to the job satisfaction for the disabled are proven educational background and salary level. Therefore, the first relates to the effective preparation for the way to strengthen education for the disabled. Secondly, much effort by the governmental level should be made to identify what causes the low income phenomena for the disabled worker in such a way for leveling up their salary more aggressively. The elastic salary compensation policy to fill up the gap of salary may be an alternative in order not to cast them into the class depending the social welfare net. Thirdly, to raise the job satisfaction by the disabled, the organizations shall make their contribution to create workplace conditions adequately suitable for their disability types. The creation of favorable employment circumstances must include interpersonal factor, let alone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which means the organizations shall implement a program to rectify the biased viewpoint by the normal employees against the disabled colleagues. Fourthly, the core in the governmental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is the rehabilitation program through employment. Nevertheless, there found only 23.5% in our nation for the disabled to be employed through state-run employment agencies setting apart from their functionality far beyond our expectation. Therefore, the channel for job mediating shall be qualitatively reorganized in a manner of covering the sector for the disabled people as well as the normal people. Fifthly, the disabled in their teens and 20s have bigger ratio in their employment rather than the normal counterpart, but they have felt much difficulty in their adaptation process toward the labor market. Therefore, swifter service preparation must be needed by bridging job rehabilitation service with special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 7 Ⅱ. 이론적 배경 = 9 A.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적 고찰 = 9 1. 직무만족의 개념 = 9 2. 직무만족의 구성 요인 = 10 B. 장애인근로자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 12 1. 개인적 요인 = 17 2. 직업 관련 요인 = 21 3. 근무 환경 요인 = 24 Ⅲ. 연구 방법 = 27 A.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 27 B. 분석자료 = 30 C. 변수의 정의 및 측정 = 31 1. 종속변수 = 31 2. 독립변수 = 32 D. 분석방법 = 3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7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 37 B. 독립변인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 = 41 1. 개인적 요인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 = 41 2. 직업 관련 요인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 = 47 3. 근무 환경 요인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 = 50 C.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2 Ⅴ. 결론 및 논의 = 55 A. 분석결과 요약 = 55 B. 연구의 정책적 함의 = 57 참고문헌 = 61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53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o Job Satisfaction for Disabled Workers-
dc.creator.othernameLee, Eun Jung-
dc.format.pageⅸ,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