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5 Download: 0

학위논문의 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학위논문의 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Users' perception and perspective on Theses and Dissertation providing services
Authors
신유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은경
Abstract
학술정보는 새로운 지식을 제공하는 정보원이자 다른 연구의 참고자료로 쓰이면서 정보의 가치를 확장시킨다. 학위논문은 학술정보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자료로서 독창성과 전문성을 인정받은 양질의 정보인 동시에 다른 연구의 참고자료원으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학위논문은 대량으로 출판·유통되지 않는 회색문헌이기 때문에 연구자들이 학위논문을 활용하고자 할 때 검색, 입수, 활용 면에서 여러 제약에 부딪히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가진 학위논문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학위논문의 이용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와 현황 조사, 설문 조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학위논문의 정의와 특징, 생산 및 이용 현황, 학위논문의 이용주기 등을 파악하였으며 국외 사례로는 미국의 NDLTD와 PQDT, 영국의 BLDSC, 호주의 ADT, 일본의 GeNII 등의 제공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고, 국내 사례로는 학위논문을 제공하고 있으며 150개 이상의 대학과 교류 중인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교육학술정보원의 RISS, dCollectio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NDSL, 학위논문원문공동이용협의회의 학위논문 제공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학위논문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 9개 대학원-고려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의 석·박사 재학생 및 졸업생 151명을 대상으로 학위논문 이용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내용은 학위논문 이용의 과정에 따라 학위논문 제공처로의 접근, 학위논문 제공처 이용, 학위논문의 검색, 학위논문의 활용과 학위논문 이용 일반에 관한 의견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위논문 제공처 접근에 있어서는 도서관이나 대학교 등의 공식적인 경로보다는 지인의 도움이나 인터넷 검색 등의 비공식적인 경로를 통해 알게 되는 경우가 훨씬 높았으며, 도서관 홈페이지에서의 제공, 학교 수업 등과 같은 공식적인 방법에 대한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위논문 제공처에 관한 부문에서는 국회도서관과 RISS에 대한 인지율과 사용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가장 즐겨 사용하는 제공처로는 RISS가 꼽혔다. 이용자들이 가장 즐겨 사용하는 기관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2.3 (5점 만점)으로 다소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러 항목 중에서 도움말 제시나 이용자 피드백 등에서 가장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학위논문의 검색 부문에서는 학위논문 검색 시 주로 사용하는 항목과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항목을 비교했을 때, 제목, 저자 등의 기본검색 항목을 제외하면 주제어(키워드), 원문 제공 여부, 초록, 학과, 목차 등의 항목을 학위논문의 주요한 접근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위논문의 활용에 있어서는 다운로드를 받아서 저장하는 경우와 인쇄하는 경우가 이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활용 방법이었으며, 원문 미구축과 지정된 장소에서의 제한적 활용이 원문 활용 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 꼽혔다. 원문이 미구축 된 경우, 이용자의 절반이 자료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고, 그 주된 원인은 시간 소요에 대한 부담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위논문 이용 전반에 관한 이용자들의 의견은 다음과 같다. 이용자들이 학위논문 이용 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원문 이용에 제한을 두는 것과 원문 검색이 한 곳에서 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학위논문 검색 시 유용한 정보로는 학위논문 소장처에 대한 제공과 최근 학위논문에 대한 정보를 들었으며 유용한 서비스로는 포털 사이트에서의 논문 검색에 대한 요구와 검색 히스토리 기능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위논문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각 부문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위논문 제공처로의 접근에 있어서는 이용자들이 정보 제공처에 대해 잘 인지할 수 있도록 각 대학에서 공식적인 통로를 강화해야하며, 각 제공처간의 공조체제를 통하여 검색의 접근 경로를 통합하고 유동적으로 연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접근점의 확대를 위해 포털 사이트 등을 활용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다. 둘째, 학위논문 제공처 이용에 있어서는 학위논문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이 검색을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상시적인 이용자 모니터링 방안을 마련하여 이용자 친화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제공시스템에 대한 이용자 제한을 줄이고, 정보 활용이 더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이용을 개방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위논문의 검색에 있어서 이용자들이 검색과 함께 자료의 실효성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도록 초록, 목차, 본문의 일부 등 내용 파악을 위한 검색 지원을 확대하고, 학과나 주제별 검색을 통하여 구체적이고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최근 연구 동향 파악이라는 학위논문 검색의 주요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학위논문의 최신성을 확보하고 논문 목록DB 공개를 통한 검색 접근점을 확대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 넷째, 학위논문의 활용에 있어서 학위논문이 학술연구를 위한 자료로 더 널리 쓰일 수 있도록 각 대학에서 전자 원문의 공개 범위를 점차 확대하고 공통의 기준을 마련하여 학위논문을 이용할 때 분야나 대학 별 입수 및 활용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Scholarly information is valuable resources in academia. One of significant scholarly information resources is Theses and Dissertation since they represent current research trends with rich research information in a wide variety of academic disciplines. There are, however, some limitations in accessing Theses and Dissertation. The major reason for access limitations is that Theses and Dissertation tend to be treated as grey literature. In general, Theses and Dissertation are not published and distributed in major scholarly publishing net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users perceive, identify, access, and search Theses and Dissertation in terms of six Theses and Dissertation providers such as National Library, National Assembly Library, RISS, dCollection of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NDSL of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of These and Dissertation Common Use. Based on the examinations on users’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on six Theses and Dissertation providers,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effective ways to promote the uses of Theses and Dissertation as an important scholarly information resourc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151 graduates with some level of experience using Theses and Dissertation resources. More specifically, the following procedure was administrated: First, from the related literature, the definition, the special features compared to other scholarly information resources, the lifecycle, the usage status in each of six Theses and Dissertations services were examined. Second, national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or organizing and distributing Theses and Dissertations information resources were analyzed via their individual Web sites. The policies, technological systems, collection coverage, and current usage status were analyzed. From the international perspective, the NDLTD and PQDT in the United States, BLDSC in the United Kingdom, ADT in Australia, and GeNII in Japan were selected for this analysis. In Korea, the National Library,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RISS, dCollection of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NDSL of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Council of Theses and Dissertation Common Use were examined. Third, 151 graduate students with some level of experiences on Theses and Dissertations information resources were asked with a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 survey consists of questions such as how to choose a Theses and Dissertations system, how to use the specific system, and how much the users feel satisfied with the specific system. The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ay of choosing a specific Theses and Dissertations providing service was identified as both the web search results and asking friends or family members about it, rather than more formal Information such as user instructions in libraries and official education. Seco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RISS were found to be the most recognized Theses and Dissertations service. In addition, RISS was identified to be the most frequently used. However, overall users’ satisfaction rate was 2.3 on average out of 5 scales, especially in helps and feedback features. Third, for searching Theses and Dissertations information resources, users preferred subject terms and keywords. In addition, for evaluating information, full text availability, abstract, department names, table of contents were selected as well as basic bibliographic information such as title, author, year, university name, and so on. Fourth, the most frequent way of using Theses and Dissertations was identified as downloading it first, then saving it or printing it out. Accordingly, the most frequent trouble users find was the unavailability in the full text and the limited access to the full text. When the full text is not available or limited access, users tend to decide not to use that specific these or dissertation because of users’ limited time. Fifth, as users prefer the full text of Theses and Dissertations along with bibliographic information, the desirable features when searching were found as information about the full text holding institutions and personalized search histories for use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user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aspects for improving the Theses and Dissertation services. First, while six Theses and Dissertation providers have different range of coverage, disciplinary areas, user interfaces, access points, and the full text availability, these aspects and differences between services were hardly recognized by users. More active advertisement and promotions for each Theses and Dissertation service might be desirable for users. Second, as one way of promoting Theses and Dissertation services, user-friendly interfaces of systems and a integrated service would be beneficial to users. Third, more diverse access points and available features might be useful. Access points such as department name, research areas, and subject terms were preferred by users. In addition, the features including abstract, table of contents, and beginning pages would be helpful for users to decide whether they need to access to the full text or not. Fourth, appropriate steps procedures for accessing Theses and Dissertation including legal and system issues should be resolved, since the availability of full text is critical for us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