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희숙-
dc.creator박희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5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3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585-
dc.description.abstract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의 발달, 소장 매체의 발전과 함께 연구자들의 정보요구가 고도화, 전문화, 다양화, 신속화 되고 있다. 전문도서관도 대내외적인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경영관리의 핵심기능인 계획, 실행, 평가를 통하여 전문도서관의 정체성 확립과 존재 가치를 명확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도서관 업무 전반을 포괄하는 평가를 위하여, 경영, 인적자원, 정보자원, 재화자원, 시설자원, 정보이용, 정보서비스, 정보공유, 도서관전문성에 관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첫째, 도서관 평가, 대학도서관 평가, 공공도서관 평가, 전문도서관 평가에 관한 문헌의 이론 고찰, 선행연구의 연구과정, 연구방법, 내용분석 및 사례분석을 하였다. 또한 기존의 개발된 국제기구의 도서관 평가지표, 한국과 일본의 대학도서관 평가지표, 미국의 대학도서관 평가지표 등을 비교 분석하고, 한국도서관협회 전문도서관 평가기준을 참고하여, 전문도서관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한 전문도서관 평가지표안을 설계하였다. 둘째, 설계한 평가지표안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1차로 전문가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인식조사는 문헌정보학과 또는 문헌정보학 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전국의 32개 종합대학에서 도서관 평가, 도서관 정보봉사, 도서관 경영 및 관리, 도서관 정보정책 분야를 전공하거나 강의를 담당하고 있는 문헌정보학과 교수 44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조사결과 28명이 회신하여 응답률은 63.64%이다. 조사 방법은 리커트식 5단계 척도로 평정하는 설문지 형식으로 전자우편 방법으로 하였다. 셋째, 전문가들의 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수정 보완된 평가지표수정안에 대하여 과학기술정보관리협의회와 지식정보공유협의회의 회원 도서관 중에서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거 설립된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47개 전문도서관에서 도서관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115명의 사서를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76명이 회신하여 응답률은 66.09%이다. 조사방법은 리커트식 5단계 척도로 평정하는 설문지 형식으로 전자우편 및 직접 방문 조사를 하였다. 넷째, 전문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조사 결과를 가지고 평가영역, 평가지표별로 중요도 차이에 대한 통계분석과 사서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분석에 의하여 성별, 연령별, 직종별, 경력별로 평가지표의 중요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요인분석과 내적 일관성의 분석방법에 의하여 평가지표수정안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기존의 개발된 도서관 평가지표와 전문가 및 전문도서관 사서 인식조사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와 경험적 내용 등을 참고하여, 전문도서관 평가에 적합한 평가영역별 평가지표를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과 연구결과를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전문도서관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첫째, 도서관평가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기존의 개발된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 국제표준화기구(ISO), 한국, 미국, 일본의 도서관협회의 평가기준 및 평가지표의 공통적인 평가부문과 평가지표를 참고하여 전문도서관의 평가지표안을 9개 평가영역과 64개 평가지표로 설계하였다. 둘째, 전문도서관 평가지표안의 내용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1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자우편 설문지 조사를 한 결과 9개 영역의 64개 평가지표가 모두 3.0 이상의 높은 평균값을 보여주었으므로 평가지표로서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2차 조사를 위해서 응답한 전문가들의 건의 사항과 의견을 참고하여 11개의 평가지표를 추가하였다. 추가된 11개 평가지표의 내용은 인적자원영역의 ‘사서직종별 사서 수’, ‘사서대비 주제전문사서 비율’, ‘도서관장(책임자)의 전문성’ 3개 지표와 정보자원영역의 ‘총 기술/연구보고서 수’, ‘모기관 직원 1인당 기술/연구보고서 수’, ‘총 시청각 자료 수’, ‘모기관 직원 1인당 시청각 자료 수’ 4개 지표와 재화자원영역의 ‘도서관직원 재교육 투자비’ 1개 지표와 정보이용영역의 ‘인쇄저널 연간 이용건수’, ‘모 기관 직원 1인당 인쇄저널 이용건수’ 2개 지표와 도서관전문성영역의 ‘전문도서관 자체 구축 DB 활용도’ 1개 지표다. 넷째, 11개 지표가 추가된 9개 영역의 75개 평가지표를 갖고 전문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전자우편 설문지 조사와 직접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조사한 응답 내용을 통계 분석한 결과 중요도가 3.0 이하인 평가지표가 5개로 나타났다. 평균값이 3.0이하인 5개 평가지표는 정보자원 영역의 ‘모기관 직원 1인당 시청각 자료 수’의 평균이 2.63, ‘총 시청각 자료 수’의 평균이 2.88, ‘모기관 직원 1인당 CD-ROM 건수’의 평균이 2.75, 시설자원 평가영역의 ‘자료열람실 좌석 당 모기관 직원 수’의 평균이 2.83, ‘자료열람실 총 좌석 수’의 평균이 2.89로, 정보자원영역의 3개 지표와 시설자원영역의 2개 지표가 포함되었다. 다섯째, 평가지표안의 타당도 분석을 위해서 전문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조사한 전체 75개 평가지표 중에서 공통성이 0.4이하인 2개의 지표와 요인적재량이 0.5이하인 8개의 지표는 요인분석 자료로 적합지 않으므로 제외하고 최종 65개 평가지표를 대상으로 주성분 분석방법과 베리맥스(Varimax) 직각회전방법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9개 요인으로 구성된 전문도서관사서 평가지표의 요인별 누적 변량은 68.014%로 나타나 오차변량을 제외한 공통분산의 설명력이 약 68%정도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어 평가지표안의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평가지표안이 각 요인별로 얼마나 신뢰할 수 있게 측정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적일관성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요인별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가장 높은 신뢰수준을 보여주고 있는 요인은 Cronbach's alpha가 0.848 인 도서관경영 요인이었고, 최하위 신뢰수준을 보여주고 있는 요인은 시설자원 요인이 0.823으로 신뢰도가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전문도서관 평가지표안 전체에 대한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alpha 값은 0.848로 매우 높은 신뢰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일곱째, 본 연구에서는 전문도서관의 사서를 대상으로 조사한 평가지표안의 9개 평가영역과 75개 평가지표에 대하여 사서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별 중요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도서관경영 평가지표는 성별·연령별 특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사서직종별·사서경력별 특성에서는 일부 평가지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적자원 평가지표는 연령별과 사서경력별 특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성별과 사서직종별 특성에서는 일부 평가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보자원 평가지표는 사서직종별과 사서경력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성별과 연령별 특성에서는 일부 평가지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화자원 평가지표는 사서직종별 특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성별, 연령별, 사서경력별 특성에서는 일부 평가지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설자원 평가지표는 성별, 연령별, 사서경력별 특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사서직종별 특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보이용 평가지표는 성별, 연령별, 사서직종별, 사서경력별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보서비스 평가지표는 사서직종별 특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성별, 연령별, 사서경력별 특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보공유 평가지표는 성별, 사서직종별 특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연령별, 사서경력별 특성에서는 일부 평가지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서관전문성 평가지표는 성별, 사서직종별 특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연령별, 사서경력별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덟째, 전문가조사와 전문도서관 사서조사, 평가지표안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사서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별 중요도 차이 검증, 평가영역별 평가지표 모형 제시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도서관경영, 인적자원, 정보자원, 재화자원, 시설자원, 정보이용, 정보서비스, 정보공유, 도서관전문성 등 9개 평가영역의 70개 평가지표를 최종적으로 전문도서관 평가지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개발한 전문도서관 평가지표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모기관의 사명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문도서관의 전반적인 운영에 포함되는 모든 영역과 정보서비스의 평가가 필요하므로 전문도서관의 자체 평가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전문도서관의 조직, 정보자원, 예산, 인력, 시설 규모와 이용자 집단의 특성이 유사한 전문도서관 간의 비교평가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전문도서관의 업무 개선과 효율성 증진, 이용자 중심의 질적으로 향상된 정보서비스 제공 및 예산의 증액을 유도할 수 있는 경영관리의 피드백 자료로서 전문도서관의 장단기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문도서관 평가지표는 도서관계의 전문가와 현장에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전문도서관 사서들의 평가지표에 관한 중요도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개발한 평가지표이다. 전문도서관 평가지표의 특징은 평가영역과 평가지표의 삭제와 추가가 가능한 평가지표로서, 전문도서관들이 개별 평가지표들을 선정하여 정기적 평가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업무동향보고, 상위기관보고 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타도서관과 비교하여 열악한 부문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여 기관의 정책결정자의 관심과 재정적 지원을 끌어낼 수 있다. 그러나 평가지표는 투입과 산출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결과에 대한 평가지표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 또한 정량적 평가에 비중이 높고 정성적 평가 부문은 비중이 낮은 점을 갖고 있다. 향후 도서관계의 전문가와 사서들이 전문도서관 평가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문도서관의 평가지표에 대한 연구가 도서관계의 많은 관심과 지원 하에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투입, 산출,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지표,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를 병행하는 평가지표, 전문도서관의 발전을 고려한 평가지표가 개발될 수 있기를 제언하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문도서관 평가지표가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Library collections change, as do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nternet development. Because of this, the multiplicity and professionalization of information needs require special libraries to accept varying elements of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al and operational environments, as well as to reconize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as a critically necessary process concerning library management.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ed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special libraries. These include library management, human resources, informa- tion resources, finance resources, facility resources, information uses,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sharing and library specialities. The research contents and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previous works on library evaluation and the existing established library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IFLA, ISO, Korea Library Association,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Japan Academic Library Council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of the results, characteristics and variety of environments of special libraries were used to establish nine evaluation areas and 64 evaluation indicators, Second, in order to verify content validity of the established evaluation areas and indicators, 44 experts who teach library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 and/or information policy in universities were surveyed to come to an understanding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Third, new evaluation indicators, nine evaluation areas and 75 indicators were chosen and established based on the recommendations and opinions of the experts. Eleven added evaluation indicators were librarian number by class, ratio of subject librarian, the specialization of each library's director, total technical and research volume, technical and research volume per capita, total audio-visual volume, audio-visual volume per capita, the costs of library staff reeducation, printed journal use number, printed journal use number per capita, and the utilization of subject databases designed and used by the special libraries. Fourth, 115 librarians working in the Special libraries belonging to the parent organizations which do research on and evaluate national policies and programs were surveyed, in order to come to an understanding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new evaluation indicators, nine evaluation areas and 75 indicator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librarian's different points of view concerning the degree of importance of evaluation indicators were verified. The rank of evaluation areas is, from first to last, library management, library specialties, human resources, finance resources, information uses, information sharing,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resources and facility resources. Fiv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75 evaluation indicators show an average value of less than 3.0. They are audio-visual materials number per capita, total number of audio-visual materials, CD-ROM number per capita, seats for reading and study per capita, and total seats for reading and study. Fifth, for the verification of construct validit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method were carried out for the factor analysis of evaluation indicators. As a result, nine factors are selected based on their communality and factor loading. All nine of the selected factors were verified to be appropriate, since the factor value of each was greater than 0.48 in terms of communality. Also, the cumulative variance of factors is 68.014%. These factors were verified to be very appropriate, since common variance, except for error variance showed 68% in interpretation. Sixth, for the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of factors, Cronbach's alpha analysis method was performed. As a result, the factor with the highest reliability was library management and the factor with the lowest reliability was facility resource resources. The draft of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special libraries was verified to be very reliable, since the average reliability value of the factors was 0.848 Seventh, in order to verify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mportance of evaluation indicators by each librarian's gender, age, class and experience, the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performed within a significance probability of 0.05. As a result, the information use evaluation indicators were verified to be appropriate sinc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each librarian's sex, age, experience and class. However, while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 among the indicators of library management, human resources, finance resources, information resources, facility resources,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sharing, library speciality showed some meaningful difference, 70 evaluation indicators, except for five evaluation indicators in this study were verified to be appropriate since the degree of importance for the evaluation indicators showed an average value greater than 3.00. Finally, overall nine evaluation areas and 70 evaluation indicators in considera- tion of the special libraries'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he experts and librarians of the special libraries and on the application of statistical analysis. First of all,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special librarie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as self-evaluation tools for the special libraries. Second, they can be applied as comparative evaluation tools for the special libraries similar to the scale of budgets, people, facilities, organizations and user groups. Third, they can be applied as feedback materials to choose and set up an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y and to improve work efficiency, as well as to enhance information services in quality and to increase a library's budget. In the future,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special libraries should be consistently conducted with the interest and support of the library system and librarians. In addition, these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special librarie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to develop other evaluation indicators which include input, output, outcome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special librar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C. 선행연구 = 7 1. 공공도서관 평가 = 7 2. 대학도서관 평가 = 12 3. 전문도서관 평가 = 16 II. 도서관 평가의 이론적 배경 = 20 A. 도서관 평가 패러다임의 변화 = 20 1. 도서관 평가의 개념 = 20 2. 도서관 평가 연구의 변화 = 22 B. 도서관 평가의 목적 및 대상 = 26 1. 도서관 평가의 목적 = 26 2. 도서관 평가의 대상 = 27 C. 도서관 평가의 과정 및 방법 = 32 1. 도서관 평가의 과정 = 32 2. 도서관 평가의 방법 = 35 가. 투입·산출·결과 접근법 = 35 나. 비용·효과·혜택 접근법 = 36 D. 도서관 평가와 통계 = 37 III. 도서관 평가지표의 비교 = 41 A. 국제기구의 도서관 평가지표 = 41 1. 국제도서관협회연맹 대학도서관 평가지표 = 41 2. 국제표준화 도서관 성과지표 = 44 B. 한국의 대학도서관 평가지표 = 47 1. 한국도서관협회 대학도서관 평가기준 = 47 2.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지표(안) = 50 C. 미국의 대학도서관 평가지표 = 53 1. 미국도서관협회 대학도서관 평가기준 = 53 2. 미국 국립교육통계센터 대학도서관 통계지표 = 56 D. 일본의 대학도서관 평가지표 = 58 1. 국립대학도서관협의회 대학도서관 자가점검평가지침 = 58 2. 사립대학도서관협의회 대학도서관 자가점검평가지침 = 60 E. 도서관 평가지표 비교 = 65 IV. 전문도서관 평가지표안 설계 = 71 A. 전문도서관의 특성과 환경 = 71 1. 전문도서관의 특성 = 71 2. 전문도서관의 환경 = 72 3. 전문도서관의 현황 = 74 B. 전문도서관 평가지표안 설계 = 76 V. 전문도서관 평가지표안 중요도 인식 분석 = 82 A. 전문가의 인식조사 및 분석 = 82 1. 전문가 조사 평가영역 중요도 분석 = 82 2. 전문가 조사 평가지표 중요도 분석 = 85 B. 전문도서관 사서의 인식조사 및 분석 = 91 1. 전문도서관 사서 조사 평가영역 중요도 분석 = 93 2. 전문도서관 사서 조사 평가지표 중요도 분석 = 96 C. 평가지표안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 104 1. 평가지표안의 타당도 검증 = 104 2. 평가지표안의 신뢰도 검증 = 113 VI. 전문도서관 평가지표 개발 및 모형제시 = 114 A. 전문도서관 사서의 평가지표 검증 = 114 1. 사서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분석 = 114 2. 사서의 평가지표 중요도 차이 검증 = 116 가. 도서관경영 평가지표의 중요도 차이 검증 = 116 나. 인적자원 평가지표의 중요도 차이 검증 = 118 다. 정보자원 평가지표의 중요도 차이 검증 = 121 라. 재화자원 평가지표의 중요도 차이 검증 = 124 마. 시설자원 평가지표의 중요도 차이 검증 = 127 바. 정보이용 평가지표의 중요도 차이 검증 = 129 사. 정보서비스 평가지표의 중요도 차이 검증 = 131 아. 정보공유 평가지표의 중요도 차이 검증 = 133 자. 도서관전문성 평가지표의 중요도 차이 검증 = 136 B. 전문도서관 평가지표 모형 제시 = 139 1. 평가지표 개발과정 = 139 2. 평가영역별 평가지표 모형 = 142 가. 도서관경영 = 142 나. 인적자원 = 143 다. 정보자원 = 143 라. 재화자원 = 144 마. 시설자원 = 145 바. 정보이용 = 146 사. 정보서비스 = 147 아. 정보공유 = 148 자. 도서관 전문성 = 149 3. 전문도서관 평가지표 모형 = 150 VII. 결론 = 153 참고문헌 = 159 부록 1. 전문가 전문도서관 평가지표 설문지 = 171 부록 2. 전문도서관 사서 전문도서관 평가지표 설문지 = 175 부록 3. 전문도서관 평가지표 설문지 분석 코드 = 181 ABSTRACT = 1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84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전문도서관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Developing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Special Libraries-
dc.creator.othernamePark, Hee Sook-
dc.format.pagexiv, 18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