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윤대성 희곡의 이중구조 연구

Title
윤대성 희곡의 이중구조 연구
Other Titles
Dual Structures of Yoon, dae-sung's play study
Authors
이새윤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우숙
Abstract
This study is generated to overlook dual aspects of the drift of public opinion presented from Yoon, dae-sung's play as the writer's tactics. The abstract is to contemplate the drift of public opinion showed in the play with a number of aspects, and to examine how this drift is used to express the writer's thoughts in the play. After his debut, the writer, Yoon, dae-sung, has continuously searched for the basic problems of life and built up the meeting of his art. The writer presents finding a solution to the life problems throughout his play. He describes the modern society as closed one controlled by dichotomic speculation of metaphysical philosophy, in which this closed society means that a society denies changes conservatively, has authoritarianism, and accepts its customs and laws inevitably as the season's rotation or the regularities of nature. The way of life in the closed society often do not see negatives of the reality, and is too paralyzed to criticise the negatives rather justifies the contradiction of actuality. As the result, it adheres violent ranking connection of transposing opposition and conceals the suppressing machanism; furthermore, people are neglected by the logic of identity. The writer explores a basic reason for generating and maintaining the closed society within the speculation of metaphysical philosophy stuck to the modern society, and tries to break this speculation through his play as life turnover. To drive out the life turnover, the writer uses the drift of public opinion format also called as "identification" and “alienation” mechanism. In this article, while linking his way of dissolution with the dual aspects of identification mechanism and alienation mechanism, it is examined how those mechanisms turn over the audiences' adhered thinking by his play. To discuss about this point of contention, this article sets up its analytical base on the dual structures which are outstanding characteristics in Yoon, dae-sung's play. It is because the writer uses each different mechanism of drift of public opinion between the boundary of dual structures, and derives the conversion of cognizance according to reactions resulted in the mechanism as Yoon, dae-sung's play bares these dual structures generally. Thus the dual aspects of drift of public opinion in the play are revealed as confrontation of the aspects bounded between the dual structures. In other words, these are revealed as "identification mechanism" in outer play and "alienation mechanism" in inner play. In chapter Ⅱ and Ⅲ, it is discussed "identification mechanism" of outer play and alienation mechanism" of inner play respectively. In chapter IV, it is examined how these dual aspects of drift of public opinion expressed by conflicted formats of the dual structures influence each other interrelatedly and are delivered to the audiences. Also "identification mechanism", "alienation mechanism", and "overlaping mechanism" are examined for its each emotional reaction interrelated to "empathy", "alienation effet", and "unhomely". Furthermore, these are discussed in a relation to "cognizance," "overturn," and "dissolution" in the dissolution mechanism. It then follows by the conclusion that the dual aspects of drift of public opinion expressed in Yoon, dae-sung's play are discovered to be a selected equipment to draw "dissolution of metaphysical philosophy" and "conversion of cognizance for the reality" strategically. Namely, "identification mechanism" used in outer play is to verify and to understand the world of metaphysical philosophy, and "alienation mechanism" used in inner play is to turn over the recognized world of metaphysical philosophy. when these two mechnisms are expressed as dual structures in one play, the world explicited by these conflicted formats can be overlapped and presented as one world to the audiences. At this point, the audiences can turn over their cognizance about the targeted world with general cognizance. The audiences hence obtains the power to resist predominant ideology by turning over adhered thoughts of the modern society. In this context, Yoon, dae-sung's play is a deliberation to the reality which gets to open cognizance by tracing and analyzing truth of closed ideology and reperception about the reality rather than the reflection of social reality. Through the writer's mechanism of dual structures, the audiences can become an expert collaborator living up to action to the open end. The study has embarked on seeing the dual aspects of drift of public opinion expressed in the play as a mechanism and adhering that of the drift in relations to the writer's dissolution mechanism. As the result, it is discovered that Yoon, dae-sung unfolds the mechanisms for mainㆍsupporting confronting characters, identificationㆍalienation, realㆍunreal space, and the principle of causationㆍexpectation and contrary situation which are heterogeneously conflicting two formats, and juxtaposes the formats to split the dichotomic conflicts throughout the rupture of these formats. Other studies for Yoon, dae-sung's play have ever focused on anti-realistic format. Hence, his play is always judged as a play of social criticism and a play of cautious realistic problem. However, analysing his play with the dual aspects, Yoon, dae-sung's play expresses not only simple social criticism or realistic problem, but also cognizance turnover by the mechanism of dual aspects. In addition, it is emphasized "compromising aspect of drift of public opinion", which has pointed out as its limit and not been focused until now, is the writer's intended mechanism and strategical characteristics of Yoon, dae-sung's play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study, which attempts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dual aspects in Yoon, dae-sung's play with dissolution mechanism, subjugates the limitation of preceding argument for characteristics of anti-realistic formats. It also is expected to give an opportunity to look at his play in a different view by discussing Yoon, dae-sung's main idea for the reflection of realistic problems with the dissolution mechanism within this study.;본 연구는 윤대성 희곡에 드러나고 있는 사조의 이중양상을 작가적 전략으로 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희곡에서 드러나고 있는 사조의 이중양상을 각 방향에서 고찰해 보고, 이것이 하나의 극 안에서 작가의 의식을 드러내는 데에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검토해 보았다. 윤대성은 데뷔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삶의 본질적 문제에 천착하며 자신의 작품세계를 구축해 오고 있다. 윤대성이 이렇듯 오랜 세월 삶의 본질적 문제에 천착한 이유는 자신의 희곡을 통해 이러한 삶의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 의도로 보여 진다. 윤대성은 현대 사회를 형이상학의 이분법적 사고가 지배하는 닫힌 사회로 파악하고 있는데, 이러한 닫힌 사회를 발생시키는 것도, 그리고 이러한 닫힌 사회를 유지시키는 것도, 그 근본 원인을 현대사회에 고착화된 형이상학적 사고에서 찾고 있다. 따라서 작가는 자신의 희곡을 인식전환의 장(場)으로 삼아 삶 속에 고착되어 있는 형이상학적 사고의 해체를 시도하고 있다. 이때 이러한 인식전환을 위한 전략적 장치로 사용되는 것이 바로 ‘동일화 전략’과 ‘거리와 전략’으로 불리 우는 각 사조의 양식인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윤대성 희곡에서 드러나고 있는 ‘동일화 전략’과 ‘거리화 전략’의 이중 양상을 작가의 ‘해체주의 전략’과 연결하여, 이러한 이중전략들이 희곡을 통해 관객의 고착화된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에 어떠한 전략적 장치로 사용되고 있는지 고찰해 보았다. 이에 본고는 이러한 논의를 진행시키기 위해 윤대성 희곡의 특징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중구조를 분석의 틀로 삼았다. 윤대성 희곡은 전반적으로 이중구조의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작가는 이러한 이중구조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각기 다른 사조의 양식들을 전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전략적 반응에 따른 인식의 전환을 유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윤대성 희곡에서 사조의 이중양상은 이중구조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대립된 양상으로 제시되고 있는데, 외부극에는 ‘동일화 전략’이 내부극에는 ‘거리화 전략’이 사용되고 있다. 본고는 Ⅱ장에서는 외부극의 ‘동일화 전략’을, Ⅲ장에서는 내부극의 ‘거리화 전략’을 각각 고찰하고, Ⅳ장에서는 이중구조에 의해 상반된 양식으로 표현되었던 사조의 이중양상이 하나의 전체극 안에서 서로 어떻게 상호 작용을 하며 관객에게 전달되고 있는지를 총체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분석방법에 있어서, ‘동일화 전략’, ‘거리화 전략’, ‘중첩화 전략’을 각각 그에 해당하는 감정적 반응인 ‘감정이입’,‘낯설게 하기’,‘낯선 두려움’과 연결지어고찰하고, 이를 다시 해체전략의 과정인 ‘인식’,‘전복’,‘해체’의 과정과 관련지어 분석해 보았다. 먼저 Ⅱ장에서는 외부극에서 드러나고 있는 ‘이항 대립적 인물’,‘경험적 현실 공간’,‘시대적 소재’등의 ‘동일화 전략’에 주목하면서 작가가 이러한 동일화 전략들을 사용함으로써 관객의 공감을 끌어내고, 무대 위에 구현시킨 세계를 관객으로 하여금 일상으로 인식케 하는 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작가는 이러한 전략을 통해 현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이분법적 사고를 반영시킴으로써 관객의 감정이입을 끌어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역으로 현실세계에 대한 관객의 이분법적 현실인식을 고착시키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Ⅲ장에서 현실세계에 대한 인식을 전복시키기 위한 토대적 장치라 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내부극에서 드러나고 있는 ‘거리화 전략’에 주목하면서, 작가가 ‘분열적 인물’,‘전복적 탈현실공간’,‘기대배반 상황’등의 ‘거리화 전략’을 통하여 소외효과를 발생시키고, 이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내부극 공간을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게 하여 일상을 전복시키는 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작가는 이러한 ‘거리화 전략’을 통해 이항대립의 ‘폭력적 서열제도’를 전복시킴으로써 고착화된 이분법적 사고에 균열을 시도하고 현실 이면의 은폐되었던 억압기제 공간의 모순된 실체를 폭로하고 있다. 끝으로 Ⅳ장에서는 각기 상반된 양식으로 표현되었던 외부극과 내부극의 이중구조가 공연시 ‘매개적 인물’,‘현실과 탈현실의 겹침 공간’, ‘미결정의 순환구조’ 등의 ‘중첩화 전략’을 통해 하나의 전체극으로서 관객 앞에 제시되는 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이로써 관객은 대상세계에 대한 총체적 인식을 할 수 있게 되며, 인식변화에 대한 전환점을 맞게 된다. 결국 윤대성은 동일화ㆍ거리화의 전략, 중심ㆍ주변의 대립적 인물, 현실ㆍ탈현실 공간, 인과율ㆍ기대배반상황 등 이질적이고 대립적인 두 양식을 병치시킴으로써 그 틈새의 균열을 통해 이분법적 대립의 균열을 시도, 해체로 나아가는 전략을 펼치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윤대성 희곡에서 드러나는 사조의 이중양상은 작가가 ‘형이상학적 사고의 해체’, ‘현실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꾀하기 위해 선택한 전략적 장치인 것이다. 즉 외부극의 ‘동일화 전략’이 형이상학적 세계를 확인시키고 인식시키는 수단이라고 한다면, 내부극의 ‘거리화 전략’은 인식된 형이상학적 세계를 전복시키는 수단이라 할 수 있다. 결국 희곡 안에서 ‘동일화 전략’과 ‘거리화 전략’의 이중구조에 의해 상반된 양식으로 표현된 세계는 공연시 하나의 전체극 안에서 서로 중첩되어 하나의 세계로 관객 앞에 제시되는데, 이로써 관객은 대상세계에 대한 총체적 인식과 함께 인식의 전환을 맞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관객은 현 사회에 고착되어 있는 사고의 전환을 이룸으로써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지니게 된다. 이제까지 윤대성의 희곡 연구는 비사실주의 양식에 주목하여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윤대성 희곡은 주제 의식면에 있어서도 ‘사회비판으로서의 희곡’,‘치밀한 현실 문제 제시극’이라는 평가에 머물렀다. 그러나 본고에서 양가적 전략을 중심으로 총체적 분석을 시도해 본 결과, 윤대성 희곡은 단순한 사회비판, 혹은 문제제기의 극이 아닌 양가적 전략을 통한 인식전환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통해 그동안 ‘한계’로 지적되거나 주목받지 못했던 윤대성 희곡의 ‘사조의 절충 양상’이 작가가 의도한 작가적 전략이자, 윤대성 희곡만의 전략적 특징임을 밝혀 낼 수 있었다. 따라서 윤대성 희곡의 이러한 양가적 특징을 해체전략의 계기로 삼아 분석을 시도한 본 연구는 기존의 비사실주의의 양식적 특징을 중심으로 연구되던 선행논의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현실문제의 반영이라는 윤대성의 주제의식을 해체전략과 연결 지어 논의한 것으로써 앞으로 윤대성 희곡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라고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