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5 Download: 0

기점화가 위험 지각에 미치는 영향

Title
기점화가 위험 지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nchoring on Risk Perception
Authors
심은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의 판단과 결정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편향과 현상들 중에서도 특히 불확실한 값을 평가할 때, 기점화 효과는 매우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모르는 값을 추정할 때 기준으로 사용할 값을 외부에서 받거나 스스로 만들어 내어, 최종적으로 보고하는 값이 처음의 기점값에 편향되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사람들은 지식이나 값을 추정하는 과제에서 기점화 및 조정 과정을 마치 하나의 추단으로 사용하여 빠르고 쉽게 답을 추론하려고 한다. 이때 기점값을 시작점으로 정하는 일은 자동적이고 빠르게 일어나며, 정확한 답을 추론하기 위한 조정은 노력과 인지적인 자원을 필요로 하는 정교한 과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기점화 연구와 다르게, 참여자가 스스로 생각해 낸 기점값을 이용하여 답을 추정하는 문제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이 불확실한 값을 추정할 때 자기 생성적 기점화 및 조정 추단을 사용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또한 일반적인 과학적, 역사적 지식을 묻는 문제뿐만 아니라, 위험 관련 지식을 묻는 문제에서도 같은 결과가 발생하는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조정 과정에 어떠한 사고 체계가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인지적인 자원을 조작하고, 감정을 활성화시켰다. 실험 결과, 실험 1에서 일반 문항과 위험 문항 모두 자기 생성적 기점화 및 조정 효과가 나타났다. 1문항을 제외한 9문항에서 편중 지수가 0.5이하였다는 사실은 기점화 효과가 발생하였음을 가리킨다. 실험 2에서는 무의미 자음 철자열을 기억해야 했기 때문에 인지적인 자원이 부족하였던 조건이 다른 두 집단(통제 집단과 감정 활성화 집단)에 비해 응답이 기점값에 더 많이 치우쳐 있었다. 즉, 인지 조건에서 다른 조건에 비해 조정을 덜 하였다. 감정 활성화 조건은 통제 집단과 아무런 차이가 없었다. 세 집단 모두 일반 문항과 위험 문항 간 응답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과학 지식에 대한 추정 과제든, 위험 지식에 관한 추정 과제든 상관없이 자기 생성적 기점화 현상이 발생하며, 기점값에서 답을 조정하는 일은 인지적 자원을 필요로 하는 노력이 드는 과정임을 재확인하였다. 그리고 활성화된 감정은 본 연구의 기점화 현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기점화 및 조정 효과로 인한 편향은 사람들에게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충분한 인지적인 노력을 기울여 생각하거나 더 정교한 처리를 하도록 함으로써 제거하거나 줄일 수 있을 것이다.;The anchoring effect has robustly influenced to people when they evaluate uncertain values that are involved in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of human beings. This is a phenomenon that the final answer is biased by the first starting value which is given by experimentor or is generated by subjects. Especially, people tend to guess answers easily and quickly by using this anchoring and adjustment processes as a heuristic when they should estimate answers unknown knowledges or values in the task. Making anchor as a starting point occurs automatically and quickly and adjusting the value for a more accurate estimate is an elaborate process that needs cognitive sources and the effor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at people really use the self-generated anchoring and adjustment heuristic thorough the task. The different point between this research and the standard anchoring paradigm is whether people can estimate values from self anchors when they guess answers. Furthermore, this research included tasks that ask not only scientific and historical knowledge but also risk facts. Finally, the experiment manipulated cognitive sources to examine the mechanism underling the adjustment and activated affect. As a result of experiment 1, the self-generated anchoring and adjustment effect was occurred in both general questions and risk questions. The skew indices that mean the magnitude of anchoring demonstrated that the anchoring effect happened in the experiment 1 because these were under 0.5 in nine questions except one. In Experiment 2, the cognitively busy condition that should memorize eight-letter strings before answering tended to be more biased forward anchors than the others did(control or affect-activated group). Namely, the adjustment was more insufficient than the others. However, the affect-activated condition had no differences from control condition. Moreover, all of three condition group had the same anchoring effect on general and risk question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dentified that the self-generated anchoring phenomenon can be discovered whenever the task estimates scientific or risk facts. The result also verified that the adjustment from anchors is the effortful process which needs cognitive sources. Activated affects did not influence on anchoring effect in this study. Therefore, the biases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anchoring and the adjustment may be reduced or disappeared by providing the cognitive-rich environment and facilitating effortful though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