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운조-
dc.contributor.author구수정-
dc.creator구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2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2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264-
dc.description.abstract봉장추(鳳將雛), 봉작취(鳳雀吹), 봉황곡(鳳凰曲), 봉장취 굿거리 또는 새타령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웠던 봉장취는 조선후기부터 일제 강점기 전후까지 많이 연주되었으나 지금은 전승이 끊긴 상태이다. 산조의 전신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봉장취는 연주 악기, 연주 형태, 음악 내용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되었다. 본고는 1930년대 초기해금산조의 창시자이며, 경기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김덕진의 자취와 그가 남긴 SP유성기 음반 중 콜롬비아판 ‘고악봉장취’와 ‘해금봉장취’를 채보하고 분석하여 보았다. 김덕진(金德鎭) 혹은 김덕준(金德俊)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그는 日本 Victor社와 Columbia레코드사 등에서 17여개의 음원을 남겼고, 경성방송국에서도 1935년부터 1943년까지 약 8년 동안 방용현, 이동백, 이화중선, 한성준, 지용구, 정해시, 지영희, 이소향 등과 함께 활동을 하였다. 본고는 김덕진의 ‘고악봉장취’와 ‘해금봉장취’를 채보하고 장단, 구성음, 선율의 내드름과 종지형으로 나누어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고악봉장취’는 중모리 장단으로 되어 있고, 새소리 선율형이 없고 모두 봉장취 선율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조의 변화가 많은데 정리하자면, Eb 본청 - Bb 청 (Eb의 떠는 음) - eb본청 (처음 시작의 옥타브 관계) - Ab청 (eb과 완전5도 엇청)로 조가 변화한다. 관계조로의 청의 이동, 해금의 특성상 포지션을 옮기지 않고 한두 가지의 음정만 바꾸어 조가 변한 느낌을 주는 변조 청은 한범수류 해금산조 진양에서도 보여 지는 전조 방법 중 하나이며, 한 가지 청으로만 연주하는 시나위와는 구별된다. 또 청을 옮기기 전이나 후에 관련 엇청을 자주 출현시켜 음악적 통일성을 이루는 부분은 김덕진의 음악성을 짐작케 한다. ‘해금봉장취’ 는 늦은 자진모리장단으로 되어 있는데 총 8단락으로 이루어지며, 전조는 하지 않고 eb본청의 남도 계면조 음계를 갖고 있다. 그러나 새소리를 흉내 내는 새소리 선율형과 봉장취 선율형이 뚜렷하게 나타나 전형적인 봉장취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김덕진의 봉장취를 채보 ․ 분석하면서, 현행 연주되고 있는 해금 산조와 유사한 점을 찾을 수 있었는데 그것들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산조에서 사용되는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장단을 사용하였다. 명인들의 증언으로 보아 용어적인 면이나 음악적인 면으로 초기산조와 봉장취는 음악적으로 서로 경계가 모호하였고, 산조의 창시자들도 이 두 장르를 뚜렷하게 구분하려는 노력은 별로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 봉장취의 분석과정에서 김덕진의 봉장취는 산조처럼 완벽한 기승전결의 구조는 갖고 있지 않지만 나름의 선율진행을 구성하고 있다. 김덕진의 봉장취는 구성음과 선율구조에 따라 단락을 나눌 수 있으며, 짜여진 내드름과 종지형이 존재한다. 산조의 가장 큰 특징이 긴장과 이완의 형식미라고 볼 수 있는데, 봉장취도 일련의 형식미를 갖고 있었다.;Bong-jang-chui, as known as Bong-jang-chu, Bong-jak-chui, Bong-hwang-gok, Bong-jang-chui-gutgury, or Sae-taryeong(bird ballad), used to be very popular from late Chosun dynasty to Japanese colonial period. It is known as a predecessor of San-jo and had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in accordance with its musical instrument, style of performance, and contents. This thesis is about a musician Kim Dukjin, the initiator of 1930's early Hae-geum San-jo who had performed mostly in Kyeung-gi provence, and analysis of his music Go-ak(old music) Bong-jang-chui and Hea-geum Bong-jang-chui from his SP gramophone album, Colombia's edition. Kim Dukjin, or Kim Dukjun, had released 19 sound sources from many Japanese recording companies such as Victor, Colombia, and so on. He also performed in K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for about 8 years, from 1935 until 1943, with Bang Younghyeon, Lee Dongbeak, Lee Hwajoongsun, Han Sungjoon, Ji Yonggu, Jung Heasi, Ji Younghee, and Lee Sohya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his Go-ak Bong-jang-chui and Hae-geum Bong-jang-chui by its rhythm, note, and melody's beginging motive and cadance form is as follows. Go-ak Bong-jang-chui has Joong-mori rhythm and Bong-jang-chui melody and no Sae-sori melody. Also, it has variation of key which consists of Eb original - Bb original(Eb's dominant key) - eb original(an octave relationship with the first part) - Ab original (subdominant key with eb). Movement of tonic to a relative key, a change of tonic by changing couple of intervals not a whole position which is only possible for Hae-geum, is one of the transitions also shown in Han Bumsu's Hea-geum San-jo Jin-yang and is distinct with Si-na-wi, which is played with only one tonic. In addition, creating the unity by inserting the dominant note frequently before changing the note shows Kim Dukjin's musicianship. Hea-geum Bong-jang-chui is made up of eight passages and has late Ja-jin-mori rhythm, no transitions, and eb origianal Nam-do interface-key scale(kyemean-key scale). However, as a typical Bong-jang-chui, it has Sae-sori melody which imitates the bird's note and Bong-jang-chui melody . The analysis made it possible to find out, the similarity of Kim Dukjin's Bong-jang-chui and San-jo of nowadays. It had Joong-mori, Joongjoon-mori, and Jajin-mori rhythm as San-jo. According to masters testimony, early San-jo and Bong-jang-chui was indistinguishable in a musical or a terminological aspects, and the initiators of San-jo didn't bother to distinguish these two genres either. Besides, Kim Dukjin's Bong-jang-chui doesn't have the as perfect structure of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as San-jo but has it's own structure of melody. Kim Dukjin's Bong-jang-chui can be divided into passages in accordance with the notes well-organized beginning motive and cadence form. It has a beauty of form which is similar to San-jo's typical form of tension and relax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기존 연구 검토 = 3 C. 연구방법 및 범위 = 5 Ⅱ. 봉장취의 특징과 30년대 활동한 김덕진의 음악 = 7 A. 봉장취의 개념과 유형 = 7 1. 봉장취의 개념 = 7 2. 봉장취의 다양한 유형 = 10 B. 김덕진의 자취와 봉장취의 인접음악 = 12 1. 경성방송국의 기록에 근거한 30년대 봉장취와 인접 음악 = 12 2. 일제강점기 시대의 연주자 김덕진 = 16 3. 김덕진의 활동 기록과 음원 = 18 Ⅲ. 김덕진의 봉장취 奚琴 가락과 해금산조 = 24 A. 김덕진의 봉장취 분석 = 24 1. 장단 = 25 가. Columbia 판 ‘고악봉장취’ = 25 나.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음원 ‘해금봉장취(SP/유성기 음반)’ = 26 2. 구성음 = 29 가. Columbia 판 ‘고악봉장취’ = 29 나.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음원 ‘해금봉장취(SP/유성기 음반)’ = 32 3. 선율의 내드름과 종지형 = 34 가. Columbia 판 ‘고악봉장취’ = 35 나.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음원 ‘해금봉장취(SP/유성기 음반)’ = 47 B. 봉장취와 산조(한범수류, 지영희류)의 비교 = 56 1. 내드름과 종지형 = 56 2. 전조 = 60 3. 변조 = 63 4. 대비되는 형식 = 65 5. 완자걸이 = 67 6. 반복하는 형식 = 69 Ⅳ. 결론 = 72 참고문헌 = 76 부록 1. Columbia 판 ‘고악(古樂)봉장취’ 악보 = 80 부록 2.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음원 ‘해금봉장취(SP/유성기 음반)’ 中 해금선율 악보 = 89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052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봉장취 음악에 관한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김덕진의 해금가락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Korean Folk Music 'BONG-JANG-CHUI' : Focusing of The Hae-geum Player, Kim Ducjin's Melody-
dc.creator.othernameKu, Su Jung-
dc.format.pageⅶ,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