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1 Download: 0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의 양상과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의미 분석

Title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의 양상과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의미 분석
Other Titles
An investigation on the aspects, factors and the meaning of children’s rough and tumble play
Authors
고여훈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의 양상과 거친 신체 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 거친 신체 놀이가 유아들에게 주는 의미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1.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 양상은 어떠한가? 2.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3.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는 유아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Y구에 위치한 안나 유치원 만 5세 하늘반 유아 25명과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08년 7월 7일부터 2008년 9월 25일까지 이루어 졌으며, 자료들은 총 30회의 참여관찰, 형식적·비형식적 면담, 비디오 촬영, 오디오 녹음, 문서 수집 등의 방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본 연구자는 현장 약기와 녹음 및 비디오 녹화 내용으로 현장 기록과 면담 전사본을 만들었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n(2007)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친 신체 놀이의 시작은 또래의 행동을 모방하거나 또래와 교사가 거친 신체 놀이를 제안하면서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렇게 시작된 거친 신체 놀이는 운동적 요소가 있는 놀이, 가상적 상황이 있는 놀이, 집단으로 이루어지는 놀이, 다툼이나 공격 행동이 아닌 놀이로 전개되었다. 또한 거친 신체 놀이의 종결에서는 실내 상황의 경우에는 교사에 의한 제지로 인한 종결이 많았다. 그리고 유아들이 스스로 놀이를 종결하거나 다른 놀이에 참여하면서 거친 신체 놀이가 마무리 되었으며, 다툼으로 전환되어 종결되는 경우도 소수 나타났다. 둘째,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놀잇감, 놀이 장소, 놀이 시간의 물리적 요인과 성차, 또래 관계, 교사의 반응, 하늘반의 약속의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놀잇감이 제한되어지거나 없는 상황에서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는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유아들은 거친 신체 놀이를 위한 놀잇감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실외의 상황 뿐만 아니라 실내의 상황에서도 거친 신체 놀이는 자주 나타났으며, 거친 신체 놀이가 제지되는 실내 상황의 경우에는 교사가 없는 장소에서 놀이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리고 거친 신체 놀이는 정해진 놀이 시간만이 아닌 전이 시간 등 유아들의 하루 일과 속에서 계속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성차는 거친 신체 놀이의 빈도 및 놀이 형태에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거친 신체 놀이는 평소 잘 어울리는 친한 또래 관계에서 자주 나타났다. 그리고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교사의 반응은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에 영향을 주어 상황에 따라 제안, 수용, 제지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유아들이 함께 정한 하늘반의 약속 또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가 유아들에게 주는 의미는 우선 거친 신체 놀이를 통해 자신의 신체에 대한 탐색과 발달의 기회를 얻고 있었다. 또한 놀이를 즐기는 모습을 통해 즐거움을 표현하였고, 친한 또래와의 놀이를 통해 친밀감과 우정을 표현하고 발전시키고 있었다. 그리고 자신의 힘을 과시하고 싶은 욕구를 긍정적인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었으며, 유아들의 경험과 아이디어를 거친 신체 놀이 안에 적용시키며 창의적으로 놀이 상황을 만들어가는 기회를 얻고 있었다.;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rough and play of children, and the factors that cause such actions and the meanings of these actions to children. The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1. What are the aspects of rough and tumble play of children? 2. What are the factors that cause rough and tumble play in children? 3. What meaning does rough and tumble play hold for children? This research investigated five-year-old children of Ha-neul class at Anna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25 children from Ha-neul class and a homeroom teacher were subjects of this research.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7, 2008 to September 25, 2008 for 30 tim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ite observation, formal and informal conferences, videotaping, audio recording and document collecting. Based on the inspections of the site and the video clips, it was possible to come up with the site description and a copy of the parent-teacher conference. As Bodgan and Biklen (2007) suggested the data were coded and categori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ly, children start to show signs of rough and tumble play when they see other children perform such behaviors and when teachers suggest the children act roughly. These rough and tumble play can be seen in physical games, games requiring hypothetical conditions, in group activities, and in competitive and aggressive games. Normally, when children get rough indoors, teachers were responsible for restraining the situation. On the other hand, children also resolved the situation by stop being involved in games or by taking part in other activities. More so, at times children reconciled after a dispute. Secondly, factors that trigger rough and tumble play in children include: limitation and creation of toys, locations without teacher, play time, physical aspects, gender awareness, peer relationship, reaction of teachers, social and culture promises in Ha-neul class. When there were restricted number of toys, children were acting rough more frequently and came up with new toys. Rough and tumble play in children could be frequently seen in both indoors and outdoors, and especially in indoors, where rough and tumble play are restricted, children tended to roughen behind the teacher. In addition to this, rough and tumble play occurred not only during play times but also outside of their play times. The gender awareness among children affected the roughness of the behavior and interactive manner. It was also found that, rough and tumble play occurred more frequently between close friends. The reaction of teachers such as giving them advice, understanding and restraining them affected the behaviors of the children. The promise between children was another factor that contributed rough and tumble play in children. Thirdly, the meaning of rough and tumble play that hold for children is that they provide an opportunity for children to develop and recognize their own physical status. The happy faces on the children illustrated their satisfaction during activity times. More so, through interacting with close peers during fun activities and games children developed a more intimate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children finally learned to express their ostentation for power in a more positive manner and they applied their experience and ideas in rough and tumble play times making the activities more interesting and crea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