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The Effects of Teaching Methods on the Listening Comprehension of Korean High School Learners of English

Title
The Effects of Teaching Methods on the Listening Comprehension of Korean High School Learners of English
Authors
박경은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resent study targeted three classes of 77 12th graders at K High School in Seoul and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 that three methods of listening practice?namely, dictation, repeating and schema-building?have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listening skills. The subjects consisted of 25 students for the dictation group, 26 for the repeating group, and 26 for the schema-building group. Each of the three classes was assigned to each test group. The present study used pre-test materials to examine the proficiency difference among the groups, post-test materials to find out the effects of listening practice after the test, questionnaires to see students? reactions to listening practice after the test, and three types of listening practice materials for the experiment. The conclusions based on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experiment to find out the effects of teaching and practicing listening skills, students in the dictation, repeating, and schema-building groups all made improvements in their test scores. Furthermore, improvements in the three groups were significant. Second, the present study tested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at it was possible to find some differences in the three listening methods by comparing the groups practicing the three different listening methods (dictation, repeating, and schema-building). It was revealed that the dictation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test scores before and after the test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dictation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both the repeating group and the schema-building group.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nhancement of listening skills between higher-level and lower-level groups. As for the dictation group, students in both higher-level and lower-level groups achiev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cores. In the repeating group, higher-level students did not make any visible advancement, but lower-level students achieved considerable an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cores. As for the schema-building group, higher-level students made sluggish enhancement, though lower-level students achieved a meaningful and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scores after practicing. To sum up, for those in lower-level groups, all three listening practice methods were helpful, in particular for the students of the schema-building group. Fourth, to see the interrelationship of training methods and learners' proficiency, two-way ANOVA was used, and the result was significant. The low-level students of the schema-building group had the largest score increase among the six cases. From these results, the conclusion can be made that no specific listening training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method. That is, the best listening practice depends on the students' proficiency level. Fifth, the results of post-test surveys found out the 12th graders? attitudes in preparing for the English listening test of CSAT. Dictation, repeating, and schema-building are methods which can be used effectively by students practicing English listening. In particular, dictation is easy to use in schools and useful both for higher-level and lower-level learners. If these kinds of listening practices are carried out in class in a consistent and continuous manner, students will be able to achieve good results in their overall study of English.;본 연구는 서울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듣기 학습 방법 중, 받아쓰기 방법, 구두 연습방법, 배경지식 쌓기 방법이 학습자들의 듣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3개 반 7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이 이루어졌으며, 이들은 받아쓰기 집단 25명, 구두 연습 방법을 하는 집단 26명, 관련정보 듣기방법 집단 26명으로 구성되었다. 집단의 구성은 학기 초 학급편성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본 실험 연구에서는 집단 간 동질성 검사를 위한 사전평가지, 실험 후 듣기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사후평가지, 실험 후 듣기훈련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보조자 준비한 설문지, 그리고 실험과정에서 사용된 세 가지 유형의 듣기 활동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했다. 이상과 같은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 학습 지도 및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이 실험에서, 받아쓰기 집단과 따라 읽기 집단, 배경지식 쌓기 집단에서 듣기훈련이후 학생들의 성적향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세 집단 모두 성적향상은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이는 받아쓰기를 이용한 듣기 지도 방법이 효과가 있다는 Winits와 Reeds (1973)의 연구와 따라 읽기 지도 방법이 효과가 있다는 Lee (1986)의 연구와 배경지식이 듣기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Long (1989)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이다. 둘째, 듣기 학습 지도 및 훈련과정에서 각기 다른 세 가지 방법(받아쓰기 방법, 구두 연습방법, 배경지식 쌓기 방법 )을 쓴 집단들을 비교해 봄으로써 보다 더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 2를 검증해 본 결과, 받아쓰기를 한 그룹의 실험전후 점수 변화는 나머지 두 그룹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p=0.029). 받아쓰기 방법은 따라읽기 방법에 비해 더 효과적이며(p=0.017), 관련정보 듣기그룹에 비해서도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p=0.026). 이러한 결과는 받아쓰기의 효율성에 대해 언급한 Deyes (1972)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이며, 그는 받아쓰기는 학습자로 하여금 어려운 철자를 깨닫게 하고 음의 분절을 인식하게 하며 청취력을 향상 시켜주고 학습자가 오류를 깨닫고 다음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고 했다. Morris (1983)에 따르면 받아쓰기는 듣기와 쓰기의 정확성을 계발하는 학습 활동으로서 재평가되어야 한다. 받아쓰기는 연속된 언어를 이해하기 위하여 정신을 집중시키는 훈련이다. 정상적인 속도의 말을 받아쓰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체계적으로 할 때, 청취 이해력은 더욱더 효과적으로 계발될 수 있다. 따라서 받아쓰기는 많은 학생들로 이루어진 우리의 교실에서 청취력 신장의 방편으로 적극 도입되어야 한다. 셋째, 세 그룹 내 상ㆍ하 그룹에서의 듣기 능력 신장의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받아쓰기 집단의 경우, 상위 집단에 속한 학생들과 하위집단에 속한 학생들 모두에게 유의미한 성적향상을 볼 수 있었고, 따라읽기 방법을 실시한 그룹에서는 상위집단에서 눈에 띄는 성적 향상은 보이지 않았으며, 하위집단 학생들은 따라 읽기 방법을 실시한 후, 상당한 성적 향상을 보였고, 성적향상의 정도가 유의미했다 (p < 0.05). 배경지식 쌓기 방법을 실시한 집단에서는 상위집단에 속한 학생들의 성적향상이 저조했으며, 하위집단의 학생들의 경우 관련정보 듣기를 실시한 이후 유의미한 성적향상을 보여주었다(p < 0.05). 따라서 하위집단에 속한 학생들의 경우, 여러 가지 듣기활동을 하는 것이 성적향상에 도움이 되었고, 특히 배경지식 쌓기 방법이 하위그룹에 속한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우리나라 고등학교 3학년 학습자들의 수학능력시험 외국어 영역 듣기평가를 준비하는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후의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일주일에 영어 듣기 공부를 얼마나 하는지 조사해 본 결과, 1주일동안 한 시간 이하의 시간을 듣기 공부를 하는데 투자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는 수학능력시험 외국어 영역에서 듣기 평가가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해 볼 때, 영어 듣기학습에 들이는 시간이 굉장히 적은 것임을 알 수 있다. 듣기는 매일 꾸준히 일정시간을 들여야 한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학교에서 매일 정규 수업 중 일정시간을 듣기 평가에 할애해야 할 것이다. 듣기 학습에서 받아쓰기, 따라 읽기, 배경지식 쌓기 훈련은 학습자가 영어듣기공부를 하는 데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이다. 특히 받아쓰기는 일선현장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며, 상위학습자와 하위학습자 모두에게 유용한 방법이다. 하위 학습자들의 경우, 받아쓰기, 따라 읽기, 배경지식 쌓기 훈련이 모두 유익한 방법이지만, 특히 배경지식을 얻는 것이 하위권 학습자들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학습자의 영어 듣기 수준에 따라서 유용한 방법은 다르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듣기 훈련이 학교 수업 중에 일관성 있게 꾸준히 이루어진다면 전반적인 영어 학습에 있어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