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경림-
dc.contributor.authorJIN, LI HUA-
dc.creatorJIN, LI HUA-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8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2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74-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role of Korean women nurse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o examine their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from 1910 to 1945.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women nurses who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Korea and abroa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The nurses were referred as Ganhowon, Ganhobu, Gyeonseupganhobu, Sanpa, and Josanbu at that time. The research materials referenc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Ultimate case of Higher Police, Ideology magazine, Ideology monthly report, Korean historical documents of Japanese imperialistic invasion, Document of Korean riot cases, The Writing Judgment, Volume on the riotry, Records of meritorious people in the independence,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formation booklet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The history of Korean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Reporting papers in the conference of 3·1 Female Comrade General Assembly, Korea nursing 100 years, and papers published by Ewha Womans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All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according to period, regions, and pattern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women nurses who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found to be 24. Women nurses' independence movement began in 1914. Before and after the 3·1 Movement of 1919, the nurses' independence movement reached its peak. 2. Women nurses particularly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t Seoul and Pyongyang. Of the 24 women nurses, only one completely participated in the foreign campaigns. The effects of activities of the five nurses were observed in independence movements outside Korea, mainly in Russia, Manchuria, China and America. 3.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women nurses participated in a variety of activities dur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Our results suggest that 15 nurses took part in the manse incident for independence, 10 raised funds for war chest, seven volunteered with the Red Cross, three participated in the women's movement, three participated in the labor movement, three were involved in the espionage, two participated in secret, one mustered men of the same mind, and one participated in the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4.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women nurses is as follows: Women nurses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worked devotedly even under gloomy and uncertain circumstances.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3·1 Movement of 1919. They left their mark worldwide. In particular, women nurses contributed professionally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y were intellectual Korean women who managed the ethnic crisis and solved nationwide social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omen nurses made active efforts to resolve social problems under the difficult circumstances, such as invasion by Japan. Our results highlight the need to perform more historical studies on social activities of nurses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activities and their professional role during not only the Japanese invasion period but also Korean nursing history till the present day.;본 연구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 강점기 동안의 독립운동에 참여한 여성 간호인을 찾아내고, 그들의 활동을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제 강점기에 국내, 국외에서 독립운동을 하였던 여성 간호인으로서 당시 간호원, 간호부, 견습 간호부, 산파, 조산부로 호칭되었던 사람을 중심으로 하였다. 자료는 고등경찰요사, 사상휘보, 사상월보, 일본의 한국침략사료총서,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 판결문, 폭도에 관한 편책, 독립유공자공훈록, 독립운동사, 독립운동사 자료집, 한국여성독립운동사, 3·1여성동지회 학술대회 발표자료, 한국간호 100년 및 이화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의 발행 자료를 검토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여성 간호인의 독립운동 참여 시기, 독립운동 활동 지역 및 독립운동 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밝혀진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한 여성 간호인은 24명이다. 여성 간호인의 독립운동 참여는 1914년을 시점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3·1운동을 전후로 가장 활발하게 전개되었고 1944년까지 지속되었다. 2. 본 연구에서 여성 간호인의 독립운동 활동은 서울, 평양 중심이었으며 주로 국내에서 전개되었다. 여성 간호인 24명 중 23명은 국내에서 활동하였다. 국외에서 활동한 간호인은 5명이었고, 그 중 4명은 국내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으며 국외에서만 활동한 간호인은 1명이었다. 여성 간호인의 행적은 노령, 만주, 중국 관내, 미주로 이어졌다. 3. 본 연구에서 여성 간호인은 다양한 유형의 활동을 통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만세운동에 15명, 독립운동을 위한 군자금 모집에 10명, 적십자활동에 7명, 노동운동, 여성운동, 첩보활동에 각각 3명, 비밀연락 2명, 동지규합 1명, 농촌계몽운동에 1명의 여성 간호인이 참여하였다. 4. 일제 강점기 동안 여성 간호인은 민족의 궐기를 위한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새로운 여성지도층으로 등장하였고 그들의 행보는 전 세계 곳곳에 펼쳐졌다. 간호인은 전문직 여성으로서의 특성을 살려 독립운동에 다양한 기여를 하였다. 또한 고등교육을 받은 신여성으로서 간호인은 국가의 위기상황에서 주체적인 의식을 갖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일제 강점기 여성 간호인은 식민지라는 사회적 특수상황 속에서도 사회문제를 적극적이고 진취적으로 해결하려고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일제 강점기 뿐 아니라 간호의 역사적 발전과정에서 간호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전문직 특성과 간호인의 사회적 역할수행의 연관성을 찾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정의 = 5 D. 연구방법 = 7 Ⅱ. 일제 강점기 여성의 독립운동과 간호 = 9 A. 여성의 독립운동 = 9 B. 간호 = 11 Ⅲ. 여성 간호인의 독립운동 = 16 A. 시기별 독립운동에 참여한 여성 간호인 = 16 B. 지역별 독립운동에 참여한 여성 간호인 = 20 C. 여성 간호인의 독립운동 유형 = 23 D. 여성 간호인의 독립운동 참여에 대한 역사적 의미 = 27 Ⅳ. 결론 및 제언 = 29 A. 결론 = 29 B. 제언 = 31 참고문헌 = 32 Abstract = 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34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제 강점기 여성 간호인의 독립운동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Women nurses'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Japanese Invasion Period-
dc.creator.othername김려화-
dc.format.pageⅴ, 4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