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수-
dc.contributor.author김동희-
dc.creator김동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6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2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62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사무직 남성의 만성질환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 실천에 있어 이들의 운동변화단계와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운동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시 소재 4개 회사에서 사무직에 근무하는 20세 이상 65세 미만의 남성 3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8년 9월부터 10월까지였다. 본 연구는 일반적 특성, 근무관련 특성, 운동변화단계와 운동관련 특성,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운동관련 정서로 이루어진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chi-square 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운동변화단계 별 분포는 계획전단계 4.3%, 계획단계 29.6%, 준비단계 35.6%를 보였으며, 이들이 규칙적인 운동을 이행하지 못하는 주된 이유로 54.1%의 대상자가 야근, 회식으로 인한 시간부족으로 응답하였으며, 피곤하고 귀찮아서 운동을 하지 않는 대상자는 30.9%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단계는 12.6%, 유지단계는 17.7%를 보였으며, 이들이 규칙적인 운동을 이행하는 주된 이유로 건강유지, 체력증진이 63.4%, 스트레스 해소는 19.8%로 나타났다. 규칙적인 운동실천을 위한 의사결정균형의 정도는 운동이익요인(M=21.56)이 운동장애요인(M=11.16)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의 평균은 15.13점으로 중간정도의 수준을 나타냈다. 사회적 지지 중 가족의 지지는 평균 34.09점, 친구/동료의 지지는 평균 32.77점으로 가족의 지지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운동관련 정서는 평균 3.82점으로 높게 나타나 운동에 대해 긍정적인 정서수준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상자의 운동변화단계는 연령과 월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X²=21.152, p=.048; X²=23.318, p=.003), 근무 특성과 관련되어 고용형태, 총 근무년수, 근무시간, 주당 초과근무일수도 운동변화단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X²=12.625, p=.013; X²=19.992, p=.010; X²=15.617, p=.048; X²=23.234, p=.003). 의사결정균형 중 운동장애요인은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2.889, p=.023), 자기효능감(F=13.990, p=.000), 가족의 지지(F=6.179, p=.000), 친구/동료의 지지(F=8.872, p=.000), 운동관련 정서(F=9.701, p=.000) 또한 운동변화단계 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사무직 남성의 운동중재프로그램을 계획함에 있어 근무관련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운동관련 정서가 규칙적인 운동이행을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어, 이를 강화하는 특성화된 중재를 통해 만성질환예방과 건강증진에 힘써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and related factors in male office workers. The subjects consisted of 334 male office workers who work for 4 companies in Seoul,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hrough October, 2008 by using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demographic and exercise related variables including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decisional balance,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exercise emotion. All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PSS WIN 14.0 using t-test,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subjects who didn’t exercise regularly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4.3% in precontemplation stage, 29.6% in contemplation stage, and 35.6% in preparation stage. The first reason that they didn’t exercise regularly was lack of time due to doing overwork or having dinner with co-workers. The second reason was fatigue. The subjects who exercised regularly divided into two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12.6% in action stage, and 17.7% in maintenance stage. The first reason that they exercised regularly was to promote health, and second one was to release stress. The mean score of pros in the decisional balance was 21.56 that was higher than mean score of cons(M=11.16). The mean score of self-efficacy was 15.13 that was an average level. The mean score of family support was 34.09 and friends/co-workers support was 32.77. The mean exercise emotion of subjects was 3.82 that showed their positive emotional statu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according to age (x2=21.152, p=.048), monthly income (x2=23.318, p=.003), employment status (x2=12.625, p=.013), job tenures (x2=19.992, p=.010), working hours (x2=15.617, p=.048), and overwork days (x2=23.234, p=.003).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ns factors in the decisional balance (F=2.889, p=.023), self-efficacy (F=13.990, p=.000), family support(F=6.179, p=.000), friend/co-workers support(F=8.872, p=.000), exercise emotion (F=9.701, p=.000). Based on the results, an effective exercise program should consider factors such as work conditi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exercise emo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develop nursing strategies for male office workers to prevent chronic disease and promote health statu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4 II. 문헌고찰 = 7 A. 직장남성의 건강과 운동 = 7 B. 운동변화단계와 관련요인 = 9 1. 운동변화단계 = 9 2. 의사결정균형 = 12 3. 자기효능감 = 13 4. 사회적 지지 = 15 5. 운동관련 정서 = 17 III. 연구방법 = 19 A. 연구설계 = 19 B. 연구대상 = 19 C. 연구도구 = 19 D.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 22 E. 자료분석방법 = 23 F. 연구의 제한점 = 23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24 A. 대상자의 일반적 및 근무관련 특성 = 24 B. 대상자의 운동변화단계와 운동관련 특성 = 27 C. 대상자의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운동관련 정서의 정도 = 30 D. 일반적 및 근무관련 특성에 따른 운동변화단계의 차이 = 34 E.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운동관련 정서의 정도 = 39 Ⅴ. 결론 및 제언 = 45 A. 결론 = 45 B. 제언 = 47 참고문헌 = 48 부록 = 59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15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무직 남성의 운동변화단계와 관련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in Male Office Workers-
dc.creator.othernameKim, Donghee-
dc.format.pageⅴ,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