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0 Download: 0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 대처 방식,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itle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 대처 방식,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Mental Health, Coping, and Self-esteem of Pat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Authors
최명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광자
Abstract
정신질환자들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전략과 기술이 미흡한 특성으로 인해 스트레스 반응이 증가된다. 이는 재발, 재입원 및 사회기능 저하로 이어져 질병의 만성화와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질병의 만성화 과정으로 스트레스가 그들의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내 만성 정신질환자들이 그들의 일상생활, 생활사건 및 질병 관련 스트레스를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대처 방식을 훈련하고, 재활과정에 필수적인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정신사회재활 간호 현장에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 대처 방식,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대상자는 일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에 등록하고 지속적으로 주간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 만성 정신질환자 13명이다. 2008년 9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 6주에 걸쳐 11회기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동일한 내용과 방법으로 주 2회, 회당 90분 동안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시행 전후에 동일한 내용의 자가 측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신건강 측정을 위해 Derogatis(1973) 등에 의해 개발된 90문항의 간이정신검사(SCL-90-R)를 사용하였고, 대처 방식은 Lazarus와 Folkman(1984)이 개발하고 새미래 심리건강연구소(1999)에서 수정한 30문항의 대처 방식 척도로 측정하였다.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65)가 개발한 10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v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Wilcoxon Signed Ranks test, Spearman's rho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증은 Chronbach's alpha 계수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만성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 중 정신증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p= .006). 2.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만성 정신질환자의 대처 방식을 유의하게 향상시켰고(p= .032), 그 중 소극적 대처 방식에 유의한 점수 변화를 가져왔다(p= .023). 3.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만성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만성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 .58, p= .039).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질환자의 정신증과 대처 방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자신에게 적절한 대처방법을 찾고 개발하는 방식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만성 정신질환자들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증상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만성 정신질환자들의 재발을 줄여 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만성 정신질환자들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의 상관관계가 파악되었으므로,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간호 중재를 접목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그들의 정신사회재활에 기본이 되는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된다. 본 연구는 만성 정신질환자들의 재활 단계에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입증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Since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fail to have coping strategies and techniques to respond to stress, the levels of stress response increase. It causes a chronic illness and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life, leading to relapse, rehospitalization, and a decrease of social function. Besides the process of developing a chronic illness, as a high stressful factor for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ir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actice coping to manage their daily lives and stress related to daily incidents and disease and to develop programs at nursing fields for psychosocial rehabilitation to increase mental health, an essential element in rehabilitation, and self-esteem.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a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mental health, coping, and self-esteem of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who were registered at a local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and continuously participated in day care programs. Stress management programs consisting of 11 sess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over 6 weeks from September 1, 2008 to October 10, dividing into two groups and giving the same contents and methods to them. A self-measurement survey with the same contex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this study, 90 questions of mini-mental examination (SCL-90-R) developed by Derogatis(1973) and others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mental health and it was measured by 30 questions of coping scales developed by Lazarus and Folkman(1984) and used at Semire Psychological Health Center(1999) after extracting. For self-esteem, a tool of 10 questions developed by Rogenberg(1965)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Wilcoxon Signed Ranks test, Spearman's rho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by applying SPSS 12.0(ver) program and the verification of confidence level of study tools was measured by Chronbach's alpha fa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een below. 1.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mprovement of psychosis in mental health of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p= .006). 2.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mprovement of coping of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p= .032) and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cores of passive coping (p= .023). 3.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had no influence on self-esteem of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4.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of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r=- .58, p= .039).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can be known that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had influences on psychosis and the changes in coping of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Namely,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that allows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to seek and develop proper coping for themselves is shown to be effective to develop the ability to respond to stress and to reduce symptom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is result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of their quality of lives, reducing relapse. In addition, since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was examined, stress management programs combining with nursing intervention that have influences on the increase of their self-esteem are expected to play a role in increasing mental health, the basis of their psychosocial rehabilit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es the necessity of stress management programs during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