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변영순-
dc.contributor.author채지선-
dc.creator채지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5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2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57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a pain treatment algorithm on subjects’pain control satisfaction and on nurses’job performance ability. Concerning data collection, the study aimed at inpatients in the surgical ward, who were hospitalized for the purpose of receiving surgery at A and B General Hospitals in Seoul (30 nurses and 31 patients at A hospital in a test group, and 30 nurses and 30 patients at B hospital in a control group) from November 1st. to November 20th, 2008. Thus, this study 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design quasi-research. As per research methods, the study delivered existing customary nursing practice to the control group, targeting inpatients for the purpose of receiving surgery, and offered pre-education and information concerning the pain treatment algorithm to the test group. For research tools, the study used a measurement tool with a total of 23 questions as a nursing job performance evaluation tool, which was developed by Park Seong Ae (1988) based on the procedural nursing job evaluation by Lee Byeong Sook (1983) and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Kim Yeong Ihm (2002). Also, for satisfaction with pain control, the study used a measurement tool consisting of a ‘patient results survey’ developed by the America Pain Society (1995) for the evaluation of the pain treatment results of patients, which adapted by Gwon Ihn Gak (1999) and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Jang Yeong Jun (2004). Then, the study analyzed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study conducted a χ²-test of the homogeneity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a t-test of job satisfaction in research subjects, knowledge about pain, experience in surgery, and response to pain between groups. Also, the study undertook a non-parametric test (Mann-Whitney and Whilcoxon rank sum test) of the difference in job performance ability before and after the mediation with the research subjects, and tested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pain control with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ursing job performance ability of the test group applied with the algorith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unapplied with the algorithm (t=3.36, p=.001). 2. The satisfaction with pain control of the test group applied with the algorith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unapplied with the algorithm (t=-4.15, p=.000). When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the application of the pain treatment algorithm increased nursing job performance, and was effective for improving patients’satisfaction with pain control.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pain treatment algorithm offered to patients after surgery was confirmed to be utilized as effective nursing management that enhances patients’pain control as well as nurses' job performance ability.;본 연구는 수술 후 통증 환자에게 통증 중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통증 조절 만족도와 간호사의 업무 수행 능력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유사 실험 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실험 설계를 이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8년 11월 1일부터 11월 20일 까지 서울시 A, B 외과 병동의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A 병원 간호사 30명, 환자 31명을 실험군 ,B 병원 간호사 30명, 환자 30명을 대조군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이병숙(1983)의 과정적 간호 업무 평가를 근거로 박성애 (1988)가 개발한 것을 김영임(2002)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간호 업무 수행 평가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통증 조절 만족도는 America Pain Society(1995)에서 환자의 통증 관리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환자 결과 설문지’를 권인각(1999)이 번안한 도구를 장영준(2004)이 수정 보안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동질성은 χ²-test , 연구 대상자의 집단 간 업무 만족도, 통증지식, 수술 경험, 통증에 대한 반응 등은 t -test , 연구 대상자의 중재 후 통증 조절 만족도에 대한 차이는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변수 연령, 월수입을 공변수로 한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중재 후 업무 수행능력에 대한 차이는 실험군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학력, 월수입을 공변수로 한 ANCOVA를 이용하였으며 Mann-Whitney와 Whilcoxon 순위 합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알고리즘을 적용한 실험군의 통증 조절 만족도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통증 조절 만족도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F=17.591, p=.001). 2. 알고리즘을 적용한 실험군의 간호 업무 수행 능력이 알고리즘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간호 업무 수행 능력보다 유의하게 높았다(F=6.702, p=.002). 이에 본 연구자가 시행한 수술 후 통증 관리 알고리즘적용은 통증 조절 만족도를 향상시켰으며 간호업무수행능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통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간호사의 업무 수행능력과 환자 통증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통증 관리 알고리즘은 간호사의 업무 수행능력과 환자의 통증 조절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간호중재로서 임상 간호 실무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통증 조절 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성 통증환자에게 적용하여 비교 연구 해 봄으로써 통증 관리 알고리즘의 중재방법을 더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가설 = 5 D. 용어의 정의 = 6 Ⅱ. 문헌 고찰 = 8 A. 수술환자의 통증 관리 = 8 B. 통증관리 알고리즘 = 13 C. 간호사 업무 수행 능력 = 15 III. 연구방법 = 19 A. 연구 설계 = 19 B. 연구 대상 = 20 C. 연구 진행 절차 = 21 D. 연구도구 = 34 E. 자료수집 = 35 F. 자료 분석 방법 = 35 G. 연구의 윤리적 고려 = 36 H. 연구의 제한점 = 36 IV. 연구결과 및 논의 = 37 A. 대상자의 특성 = 37 a. 환자의 일반적 특성 = 37 b. 환자의 통증 관련 특성 = 39 c.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 40 d. 간호사의 업무 수행 관련 특성 = 42 B. 가설검정 = 43 V. 결론 및 제언 = 49 A. 결론 = 49 B. 제언 = 51 참고문헌 = 52 부록 = 63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809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통증 관리 알고리즘 적용이 수술 후 환자의 통증 조절 만족도와 간호사의 업무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creator.othernameChae, Ji Sun-
dc.format.pageⅴ,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