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여창가곡 계면 이수대엽의 노래선율 비교 연구

Title
여창가곡 계면 이수대엽의 노래선율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f Muscal Melody of Gyemyeon Isudaeyeop in the Song Sung by Women : Focused on Jeong-Hui Choi(최정희), Geum-Jeong Ji(지금정), and Wol-Ha Kim(김월하)
Authors
이현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Korean Traditional Music(정가) is one of traditional vocal musics and it includes melody, lyric, and sijo(시조). The melody of these is made its lyric from sijo poem(시조시) which is consisted of 3 lines, and is handed down by dividing as the music sung by men and the music by women. These vocal musics have their unique sound according to their singer(창자), and differ in the feeling of melody depending on musical expression and breathing position which is decided by the speed of melody, melody composition, tone, lyric attachment. Therefore, in order to see these various musical changes, we selected Isudaeyeop(이수대엽) 'Ueonyaki(언약이)' which is first music of Gyemyeonjo(계면조) of the music sung by women. There was no previous research to the melody comparison for each singer(창자) of this music, we compared the subjects, women singers(여류가객) such as Jeong-Hui Choi(최정희), Geum-Jeong Ji(지금정), and Wol-Ha Kim(김월하), by listening sound sources of them and collecting them directly. The results that we divided musical features as musical melody and sigimsae(시김새) under comparison and researched changes and characteristics indicated to these, and researched whether the musical content of Geum-Jeong Ji(지금정) and Wol-Ha Kim(김월하) who have learned under same music title has a certain difference, whether Jeong-Hui Choi(최정희) who learned as another pupil, that is genealogy is different, has certain feature which is different with them are same as following: First, we measured singing time of singers(창자) for each chapter and whole singing time on basic source gyemyeon(계면) isudaeyeop(이수대엽) ‘Ueonyaki(언약이)’ of Jeong-Hui Choi(최정희), Geum-Jeong Ji(지금정), and Wol-Ha Kim(김월하), and based on this, researched the flow of whole musics of singers(창자). As a result, we can see that tempo(한배) was differed depending on interpretation and tendency of music by singers(창자). At the result of measuring singing time of reference source of singers(창자) who sung same music and comparing this, it is shown that even same melodies, all singers are being sung differently in tempo(한배). Second, I collected basic sources of three singers(창자) who sung gyemyeon(계면) isudaeyeop(이수대엽) ‘Ueonyaki(언약이)’, compared its musical melody and sigimsae(시김새) based on this, and researched the number of frequency of sigimsae(시김새) added to each sound. As a result, it is indicated that Geum-Jeong Ji(지금정) sung by adding not yoseong(요성) but ornament above its two sounds, and she added or removed sigimsae(시김새) same with Wol-Ha Kim(김월하) in same musical melody. Wol-Ha Kim(김월하) added sigimsae(시김새) to each sound uniformly and added much more yoseong(요성) than Geum-Jeong Ji(지금정). Jeong-Hui Choi(최정희) showed a littl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frequency of sigimsae(시김새) differentiating the functions of sounds, 'hwang(황)‘, ’Lim(림), Lam(람)‘, and made a difference of baeja(배자: It says the lyric attached to which beat in the rhythm composed of 16 beat or 10 beat.) and chord tone in chapter 2, 3, and 5 with the songs of Geum-Jeong Ji(지금정) and Wol-Ha Kim(김월하). Third, because the song of Jeong-Hui Choi(최정희) showed much difference with the songs of Geum-Jeong Ji(지금정) and Wol-Ha Kim(김월하), for verifying it, we collected reference sources of each singer(창자) of same music and compared this. As a result, in same music, Geum-Jeong Ji(지금정) reduced the width of tone by modifying ornament above two tones as above one tone in accordance with getting fast in tempo(한배). Wol-Ha Kim(김월하) added or removed the tone by differentiating breathing point or expression at chapter 4 in accordance with getting slow in tempo, and according to this, sigimsae(시김새) has been changed. While, Jeong-Hui Choi(최정희) showed much difference in same melody. We recompared the point where showed these differences with the songs of Geum-Jeong Ji(지금정) and Wol-Ha Kim(김월하). As a result, Jeong-Hui Choi(최정희) sung by still differentiating the function of tone with Geum-Jeong Ji(지금정) and Wol-Ha Kim(김월하). Also, baeja(배자) was same, while she rather sung by differentiating baeja(배자) at reference source. Therefore, it is indicated that Jeong-Hui Choi(최정희) showed much difference with Geum-Jeong Ji(지금정) and Wol-Ha Kim(김월하) in gyemyeon(계면) isudaeyeop(이수대엽) ‘Ueonyaki(언약이)’ with interpretation and changes of various musics. At the result of comparing gyemyeon(계면) isudaeyeop(이수대엽) ‘Ueonyaki(언약이)’ for each singer(창자) in this paper, Geum-Jeong Ji(지금정) and Wol-Ha Kim(김월하) who have same genealogy sung with same melody, and Jeong-Hui Choi(최정희) who is different with them showed much difference by differentiating musical expression. Therefore, we can verify that gyemyeon(계면) isudaeyeop(이수대엽) ‘Ueonyaki(언약이)’ of Jeong-Hui Choi(최정희) has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yemyeon(계면) isudaeyeop(이수대엽) ‘Ueonyaki(언약이)’ of liquid sound of Gyu-Il Ha(하규일).;정가는 전통 성악곡 중 하나로 가곡(歌曲)·가사(歌詞)·시조(時調)가 포함된다. 이 중 가곡은 3행으로 된 시조시(時調詩)를 노랫말로, 남성에 의해 불리어지는 남창가곡과 여성에 의해 불리어지는 여창가곡으로 구분되어 전한다. 이러한 성악곡은 창자에 따라 고유의 소리를 가지며, 곡의 속도, 선율구성, 억양, 가사 붙임성 등에 의해 결정되는 숨 자리와 음악적 표현의 차이에 따라 곡의 느낌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음악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여창가곡 계면조의 첫 번째 곡인 이수대엽 ‘언약이’를 택하였다. 이 곡에 관한 창자별 선율 비교에 대한 선행 연구가 없으므로, 여류가객 최정희, 지금정, 김월하를 연구대상으로 이들의 음원을 듣고 직접 채보하여 비교해 보았다. 비교에 있어 음악적 특징을 노래선율 및 시김새로 나누어 이에 나타나는 변화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동일한 곡명이 같은 문하에서 수학한 지금정과 김월하의 음악적 내용이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 또한 지금정과 김월하와 달리 다른 문하에서 수학한, 즉 계보가 다른 최정희는 이들과 어떠한 다른 변화와 특징이 있는지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정희, 지금정, 김월하의 기본음원 계면 이수대엽‘언약이’를 각 장별로 창자들의 노래하는 시간과 전체적인 노래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창자들의 전반적인 곡의 흐름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창자들의 곡의 해석도와 성향에 따라 한배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동일 곡을 노래한 창자들의 참고음원의 노래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비교한 결과, 동일한 곡이라도 모든 창자들이 한배를 달리하여 노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계면 이수대엽‘언약이’를 노래한 세 창자의 기본음원을 본인이 채보하여 이를 바탕으로 노래선율 및 시김새를 비교하고, 각 음에 첨가된 시김새의 빈도수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지금정은 요성이 아닌 두음위의 꾸밈 음을 많이 첨가하여 노래하였고, 동일한 노래선율에서 김월하와 같은 시김새를 첨가하기도 하고 이를 삭제하기도 하였다. 김월하는 각 음에 고정되게 시김새를 첨가하였고, 지금정 보다 요성이 많이 첨가 되었다. 최정희는 ‘黃’, ‘林·람’의 음의 기능을 지금정과 김월하와 달리하여 시김새의 빈도수에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제2장, 제3장, 제5장에서 배자 , 구성음을 지금정과 김월하의 노래와 달리하였다. 셋째, 최정희의 노래가 지금정과 김월하의 노래와 다소 많은 차이를 보여, 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동일 곡의 각 창자들의 참고음원을 채보하여 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곡에서 지금정은 한배가 빨라짐에 따라 두음위의 꾸밈을 한음위의 꾸밈으로 변형하여 음의 폭을 줄였다. 김월하는 한배가 느려짐에 따라 제4장에서 숨 자리를 달리하거나 표현을 달리하여 음이 첨가되거나 삭제되었고, 이에 따라 시김새가 변하였다. 반면, 최정희는 동일한 곡에서 다소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곳을 지금정과 김월하의 노래와 다시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최정희는 지금정과 김월하와 음의 기능을 여전히 다르게 하여 노래하였다. 그리고 최정희의 참고음원의 노래선율과 배자가 지금정과 김월하와 동일하게 변하였거나 변하지 않았다. 또한 배자가 동일하였으나, 오히려 참고음원에서 배자를 달리하여 노래하였다. 따라서 최정희는 다양한 곡의 해석과 변화로 지금정과 김월하의 계면 이수대엽‘언약이’와 다소 많은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계면 이수대엽 ‘언약이’를 창자별로 비교해본 결과, 동일한 계보인 지금정과 김월하는 동일한 선율로 노래하였으며, 이들과 계보가 다른 최정희는 음악적 표현을 달리하여 다소 많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최정희의 계면 이수대엽 ‘언약이’는 하규일 유음의 계면 이수대엽 ‘언약이’와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