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민소연-
dc.creator민소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6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2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6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행 계면조 여창가곡의 가야금과 거문고 가락이 장단에 따라 어떤 붙임새의 원칙이 있는지, 이러한 붙임새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계면조 여창가곡의 각 악곡을 16정간 장단과 10정간 장단으로 분류하였으며 기본 붙임새와 잔가락 붙임새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 기본 붙임새 기본 붙임새란 각 악기의 음이 장단에 나타나는 가장 기본적인 붙임새로 , 가야금과 거문고의 기본 붙임새는 거의 동일하다. 먼저 16정간 장단 악곡 기본 붙임새는 가야금과 거문고 모두 16/4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이며, 공통적으로 장구점에서 항상 음이 붙여진다. 또한 장구점이 아닌 제8정간과 제10정간도 50% 이상 음의 출현빈도를 보인다. 그러나 장구점이 아닌 제2정간·제5정간·제13정간은 음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10정간 장단 악곡의 기본 붙임새에서는 모든 정간이 장구점이므로 항상 음이 등장하나, 예외적으로 거문고 「편수대엽」제9정간에서는 33.3%의 낮은 출현빈도를 보여, 가야금의 기본 붙임새(10/4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와 거문고의 기본 붙임새(10/4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가 약간 차이가 난다. 그러나 거문고 제9정간만 제외하고는 공통적으로 장구점에서 항상 가야금과 거문고 음이 붙여진다. 2. 잔가락 붙임새 여창가곡에서의 가야금과 거문고 가락은 위와 같은 기본 붙임새외에 기본 붙임새를 다양하게 꾸며주는 잔가락 붙임새가 나타난다. 잔가락 붙임새에는 박자 분할·슬기둥·싸랭·뜰동·앞꾸밈음이 있는데 가야금 악곡에서는 총 405회의 잔가락 붙임새 중 박자 분할이 194회로, 거문고 악곡에서는 총 436회의 잔가락 붙임새 중 박자 분할이 200회 나타나서 계면조 여창가곡 가야금과 거문고 가락의 대표적인 잔가락 붙임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거문고 악곡에서는 슬기둥 주법이 많이 나타나는 대신 뜰동 주법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이처럼 악기마다 독특한 연주법의 특성으로 잔가락 붙임새가 만들어진다. 잔가락 붙임새는 악곡의 속도와도 관계가 있는데, 슬기둥은 「이수대엽」·「중거」·「평거」·「태평가」처럼 비교적 박자가 느린 곡에서 자주 나타나는 반면에 싸랭은 「두거」·「평거」·「계락」처럼 박자가 빠른 곡에서 나타난다. 잔가락 붙임새가 출현하는 위치는 장구점과도 관계가 있다. 잔가락 붙임새 중 슬기둥과 싸랭, 뜰동은 ‘떵’ 과 ‘쿵’ 장단에서 거의 등장한다. 이에 반해 박자 분할과 앞꾸밈음은 비교적 자유롭게 나타난다. 이상과 같이 계면 여창가곡 가야금과 거문고 가락의 붙임새에는 기본 붙임새와 잔가락 붙임새가 있다. 기본 붙임새는 장구점에서 항상 음이 붙여지는 특징이 있으며, 잔가락 붙임새는 각 악기별, 장단별, 악곡별로 쓰이는 붙임새의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어 독특한 가락이 만들어짐을 알 수 있다. 이런 붙임새들의 특징은 계면조 여창가곡 전체 악곡에 걸쳐 지속적으로 지켜지는 경향이 있다.;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analyze the principles on buchimsae(style to set notes to jangdan) of kayageum and geomungo in performing current gyemyeonjo song sung in female voice. For the analysis, Geomyeonjo songs sung in female voice are devided into 16 jeonggan jangdan, 10 jeonggan jangdan and both basic and fine-tune buchimsae. 1. Basic Buchimsae The basic buchimsae of kayageum and geomungo are almost identical as they are fundamental buchimsae used in jangdan played by all instruments. First, 16 jeonggan rhythem song's basic buchimsae of kayageum and geomungo are 16/4◁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with a note added in each a point of janggu. Also, notes are shown more than 50% in 8th jeonggan and 10th jeonggan even though they are not a point of janggu. But 2nd, 5th, 13th jeonggan rarely accompanies a note since they are not a point of janggu. In buchimsae of 10 jeonggan rhythem songs, all jeonggans are a point of janggu and a note is followed each time but exception is shown in 9th jeonggan of geomungo 「pyonsudaeyop」 with only 33.3% appearance frequency of a note. In the case, basic buchimsae of kayageum and geomungo shows small difference. But other than the case, both instrument's notes are added in every point of janggu. 2. Fine-tune Buchimsae In song sung by female voice, rhythem of kayageum and geomungo are accompanied by fine-tune buchimsae in order to add variations. Fine-tune buchimsae are shown in forms of rhythmic division, sulgidung, saraeng, tuldong, front ornament notes. rhythmic divisions are most commonly used fine-tune buchimsae since 194 rhythmic divisions are shown out of 405 fine-tune buchimsaes in kayageum songs, and 200 are shown in geomungo songs out of 436 fine-tune buchimsaes. The buchimsaes are influenced by each instrument's unique technique as in the case of geomungo, sulgidungs are shown more often than tuldong. Fine-tune buchimsae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tempo of the song played. In relatively slow songs such as 'isudaeyeop‘, ’chunggo‘, ’pyongggo, ‘taepyungga’, sulgidungs are more frequently showed whilst 'fast songs' such as 'duggo‘, ’pyongggo‘, ’gyerak‘ are in favor of saraeng. The location of fine-tune buchimsaes are also relevent with a point of janggu. sulgidung, saraeng and tuldong are almost always accompanied with ‘tung’ and 'kung‘ rhythem. In contrary, appearances of rhythmic division and front ornament are without restrictions. As I explained above, buchimsaes of kayageum and geomungo played for gyemyeonjo song sung in female voice can be devided into basic and fine-tune. Basic buchimsaes are always followed by a point of janggu, and usage of fine-tune buchimsae are varied by instrument used, rhythem, and song played. These feathures of buchimsaes are constantly observed through out gyemyeonjo song sung in female voi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 2 Ⅱ. 여창가곡의 장단별 분류 = 5 Ⅲ. 여창가곡 가야금 가락의 장단별 붙임새 = 7 A. 16정간 장단 = 7 1.「이수대엽」 = 7 가. 기본 붙임새 = 7 나. 잔가락 붙임새 = 8 2. 「중거」 = 9 가. 기본 붙임새 = 9 나. 잔가락 붙임새 = 10 3. 「평거」 = 11 가. 기본 붙임새 = 11 나. 잔가락 붙임새 = 12 4. 「두거」 = 13 가. 기본 붙임새 = 13 나. 잔가락 붙임새 = 14 5.「평롱」 = 15 가. 기본 붙임새 = 16 나. 잔가락 붙임새 = 16 6. 「계락」 = 18 가. 기본 붙임새 = 18 나. 잔가락 붙임새 = 18 7. 「태평가」 = 19 가. 기본 붙임새 = 20 나. 잔가락 붙임새 = 20 B. 10정간 장단 = 26 「편수대엽」 = 26 가. 기본 붙임새 = 26 나. 잔가락 붙임새 = 27 Ⅳ. 여창가곡 거문고 가락의 장단별 붙임새 = 28 A. 16정간 장단 = 28 1. 「이수대엽」 = 28 가. 기본 붙임새 = 28 나. 잔가락 붙임새 = 29 2. = 「중거」30 가. 기본 붙임새 = 30 나. 잔가락 붙임새 = 31 3. 「평거」 = 32 가. 기본 붙임새 = 32 나. 잔가락 붙임새 = 33 4. 「두거」 = 34 가. 기본 붙임새 = 34 나. 잔가락 붙임새 = 35 5. 「평롱」 = 36 가. 기본 붙임새 = 36 나. 잔가락 붙임새 = 37 6. 「계락」 = 38 가. 기본 붙임새 = 38 나. 잔가락 붙임새 = 39 7. 「태평가」 = 40 가. 기본 붙임새 = 40 나. 잔가락 붙임새 = 41 B. 10정간 장단 = 48 「편수대엽」 = 48 가. 기본 붙임새 = 48 나. 잔가락 붙임새 = 48 Ⅴ. 가야금과 거문고의 장단별 붙임새 비교 = 50 A. 16정간 장단 = 50 1. 기본 붙임새의 비교 = 50 2. 잔가락 붙임새의 비교 = 51 B. 10정간 장단 = 52 1. 기본 붙임새의 비교 = 52 2. 잔가락 붙임새의 비교 = 52 Ⅵ. 결론 = 53 1. 기본 붙임새 = 53 2. 잔가락 붙임새 = 53 참고문헌 = 55 부록악보 = 58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657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계면조 여창가곡의 장단별 붙임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hythmic Structure in the gyemyeonjo song sung in female voice-
dc.creator.othernameMin, So-yeon-
dc.format.pagei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