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창작국악실내악단 '슬기둥'의 변화과정 연구

Title
창작국악실내악단 '슬기둥'의 변화과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of the Contemporary korean traditional chamber ensemble, Seulgidoong
Authors
곽유민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창작 국악 실내악단 ‘슬기둥’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국악 실내악 장르의 활성화를 제고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가지고 쓰인 논문이다. 국악 발전에 있어 국악 실내악의 활성화가 중요한 역할을 해낼 수 있었던 것은 이들 소규모 실내악단들이 순발력과 기동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창작활동과 공연활동을 이끌어가면서 대중과의 호흡을 원활하게 이끌어 냈기 때문이다. 1970년대부터 사회적으로 국악의 중요성이 차츰 부각되면서 국악 실내악 단체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80년대에는 ‘슬기둥’을 비롯한 단체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실내악 단체들은 국악의 대중화를 목표로 다양한 음악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90년대에는 국악과 서양음악의 접목이 두드러지기 시작하면서 국악기와 서양악기를 함께 사용하여 연주하는 것이 보편화되기 시작하였다. 2000년대에는 국제화, 세계화 시대의 영향으로 퓨전, 크로스오버 등 이색적인 음악적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공연활동에 있어 연주 뿐 만이 아니라 시청각적인 무대공연도 함께 선보여졌다. 창작 국악 실내악의 장을 확고히 자리매김한 국악 실내악단 ‘슬기둥’은 1985년에 창단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슬기둥은 4번의 단원교체가 있었으며 1985년 창단부터 1992년까지 활동한 제1기, 1993년에서 2000년까지 활동한 제2기, 2001년에서 2004년까지 활동한 제3기, 2004년에서 현재 활동하고 있는 제4기로 나누어 음악적 활동을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슬기둥의 음악적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구성에 있어 제1기에는 강호중, 문정일, 민의식, 이준호, 조광재, 오경희, 정수년, 노부영 8명으로 구성되어 활동을 시작하였다. 제2기에는 기존 단원 중 이준호, 강호중, 정수년을 포함하여 원일, 홍동기, 김용우 등 9명의 새로운 멤버가 합류되어 12명으로 활동을 하였다. 제3기에는 제1기 단원인 이준호, 정수년, 오경희, 제2기 단원인 정길선, 홍동기, 권성택 등 6명과 함께 장재효, 김경아 등 5명의 새로운 단원이 투입되어 11명으로 활동하였다.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제4기는 제1기 단원 이준호, 제2기 단원 정길선, 홍동기 등 8명이 잔류하고, 8명의 젊은 국악인들이 새로 합류하여 16명의 단원으로 활동을 하고 있다. 둘째, 제1기에서 제4기에 이르기까지 악기편성에 있어 공통적으로 사용된 악기는 가야금, 피리, 해금, 대금, 아쟁, 장구 등의 전통악기와 서양악기인 신디사이저가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제1기에는 가야금, 장구 등의 전통악기와 신디사이저, 클래식기타 등의 서양악기가 사용되었으며, 제2기에서는 국악기들의 복수편성과 더불어 관악기 중 태평소가 포함되고, 장구, 북 뿐만이 아니라 모듬북이 사용되면서 제1기에 비해 음량의 증대를 가져오게 되었다. 제3기와 4기에서는 제2기에 편성된 악기들은 물론 서양타악기, 기타의 경우 어쿠스틱 기타를 포함시켜 사용하였다. 셋째, 제1기의 음악적 경향은 조광재, 김영동, 채치성이 작곡한 악곡을 주로 연주하였으며, 이로 인해 국악가요, 무용음악 등 비교적 서정적인 선율의 음악을 선보였다. 제2기에는 대부분의 곡들이 이준호, 원일에 의해 작곡되었으며, 타악기 보강과 악기편성 변화에 따른 강한 리듬의 기악곡을 선보여 제1기와는 다른 음악적 변화를 가져왔다. 제3기와 4기에는 이준호, 홍동기 등이 작곡한 악곡을 연주하였으며, 타악과 리듬이 강조된 기악곡 등 제2기와 비슷한 음악적 경향을 보였다. 넷째, 슬기둥의 앨범과 연주활동을 살펴보면 창단에서 현재까지 기악곡으로 이루어진 3장의 앨범과 성악곡으로 이루어진 3장의 앨범을 포함한 8장의 앨범을 발표하였으며, 총 400여회의 공연을 통해 연주된 이준호 작곡의 ‘신푸리’, ‘그 저녁 무렵부터 새벽이 오기까지’, ‘여행’, 원일 작곡의 ‘신뱃놀이’, 홍동기 작곡의 ‘고구려의 혼’, 조광재 작곡의 ‘산도깨비’, ‘소금장수’ 등 기악합주곡, 기악독주곡, 국악동요의 장르로 구성된 7개의 곡들이 슬기둥을 대표하는 주요 악곡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슬기둥의 음악 활동은 이후 여러 실내악단들에게도 영향을 끼쳤으며, 청소년을 비롯한 일반 대중들에게 호응을 얻어 낼 수 있었다. 현재에도 ‘슬기둥’과 같은 단체들을 필두로 많은 단체들이 창단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이렇게 새로운 국악 실내악단이 계속 창단되고 있다는 것은 젊은 연주자들의 기량을 넓힘은 물론 문화 전반에서의 국악의 위치를 확고히 하며 지속적으로 국악의 저변 확대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일이라고 여겨진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onditions of the Korean traditional chamber orchestras over time, focusing on the musical activities of 'Seulgidoong' renowned as the leader of the Korean traditional chamber music in 1980's, and thereupon, explore the ways to help activat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the chamber music. The reason why it is assumed that activation of the chamber music is a key to development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s because the small chamber orchestra groups have endeavored to sympathize with the people instantaneously and impetuously through a variety of creative activities and performances. The conditions of the Korean traditional chamber orchestras over time can be summed up as follows; As importanc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highlighted gradually in 60's and 70's, various Korean traditional chamber orchestras including KTF began to be organized. In 80's, the number of the Korean traditional chamber orchestras increased more and they attempted diversified musical approaches to achieve their goals of populariz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particular, Seulgidoong conduced much to activ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chamber music, through reorganiza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s, introduction of the electronic sound effects and audio/video stage-centered performances. In 90's, the number of the chamber orchestras organized with the same musical instruments - a new attempt made in 80's - increased, whil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more frequently combined with the Western music, and as a result, performances with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al instruments combined began to be popular. In 2000's, new unique musical attempts would be made due to the influences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and not only instrumental plays but also diverse audio/video stage performances would be witnessed. Namely, in 2000's, the Korean traditional chamber music plays an important role in activat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numerous new groups are active. Seulgidoong has been through 4 times of member change. By this sequence, the musical history of Seulgidoong can be broken down into 4 stages. The first stage was from1985 till 1992, the second from 1993 till 2000, the third from 2001 till 2004 and the fourth till present time. In each of these stages, Seulgidoong’s musical activities have been changed like below. The first change is on the player. On the first stage, the team had 8 members, which is Kang Ho-jung, Moon Jung-Il, Min Yue-sick, Lee Jun-ho, Cho Kwang-jae, Oh Kyoung-Hee, Jung Su- nyun and No Boo-young. On the second stage, among the original members, Lee Jun-ho, Kang Ho-jung and Jung Su- nyun stayed and 9 new members including Won Il, Hong Dong-gi and Kim Yong-woo newly joined the team. On the third stage, the team had 12 members, reorganized with the boarding of 5 new members including Jang Jae-hyo and Kim Kyoung-ah into the team in which Lee Jun-ho, Jung Su- nyun and Oh Kyoung-Hee from the first stage and Jung Kil-sun, Hong Dong-gi and Kwon Sung-taek from the second stage stayed. On the fourth stage in which the team has continued playing till today, the team is made up of 16 members which is including the newly joined young members with 9 members such as Lee Jun-ho from the first stage and Jung Kil-sun and Hong Dong-gi from the second stage. The second change is on the organization of the instrument. The common instrument used from the first stage till the fourth are the traditional instrument such as Kayagum, Piri, Haegum, Daegum, Ahjaeng and Janggoo and the western instrument , synthesizer. On the first stage, the traditional instrument like Kayagum and Janggoo was combined with synthesizer and classic guitar. On the second stage, with the plural organiz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Taepyoungso, the wind instrument, was newly included and Janggoo, Buk and Modumbuk generate the volume enlargement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stage. This instrumental organization continued till the third and the fourth stage in which they attempted playing the more trend-suitable music by changing guitar with acoustic guitar. The third changeis on the musical trend. On the first stage, they mainly played the music which was composed by Cho Kwang-jae, Kim Young-dong and Chae Chi-sung and the music of lyrical melody such as national classical song and dancing music. Almost all of the music of the second stage was composed by Lee Jun-ho and Won Il and the music was instrumental music with strong rhythm resulted from the reinforcement of the percussion instrument. On the third and fourth stage, the music was composed by Lee Jun-ho and Hong Dong-gi but the main repertory of the public performance was the music of the first and second stage. The fourth change is on the album and the performance. From the establishment till today, they have produced total 8 albums that are including 3 albums of instrumental music and 3 albums of vocal music. These below seven music that each of the seven belong to instrumental ensemble, instrumental recital and national classical nursery song are representing seulgidoong’s musical activities. ‘Sinpuri’, ‘From the evening tide hill the coming dawn’ and ‘Trip’ which is composed by Lee Jun-ho, ‘Sinbaetnori' composed by Won Il, ‘Hon of Goguryeo' composed by Hong Dong-gi and ‘Mountailgoblin’ and ‘Sogumjangsoo’ composed by Cho Kwang-jae. The phenomenon that new Korean traditional chamber orchestras are organized one after another seems to be desirable for expansion of the basi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because young performers can have more opportunities to train their skill and becaus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an be positioned more firmly in the entire national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