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9 Download: 0

휘모리잡가 육칠월 흐린날과 바위타령 연구

Title
휘모리잡가 육칠월 흐린날과 바위타령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uimori Japga "Yukchilwol Hurinnal" and "Bawi Taryong"
Authors
강효주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잡가는 19세기와 20세기 초반에 상업적인 분위기가 팽창할 시기, 서울 경기지방과 서도를 중심으로 유행했던 소리이다. 잡가 중에서도 휘모리 잡가는 서울에서 전승되던 잡가 가운데 한배가 빠른 곡을 가리키는 음악 용어이다. 이에 따라 본문에서는 휘모리 잡가가 가지고 있는 노랫말과 리듬과의 관계 및 불규칙적인 장단 등을 위주로 살펴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여 연구하겠다. 휘모리 잡가 10곡중에 육칠월 흐린날과 바위타령을 중심으로 노랫말, 선율, 박자, 리듬유형, 장단을 위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칠월 흐린날과 바위타령의 음계는 sol-la-do-re-mi 선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2. 필자가 연구대상으로 한 이창배의 음원은 두 곡 모두 곡의 진행이 뒤로 갈수록 템포를 빠르게 몰아가는 공통점을 보였으며, 이에 비해 현재 불리어지고 있는 육칠월 흐린날과 바위타령의 템포는 전체적으로 많이 느려졌음을 알 수 있다. 3. 육칠월 흐린날은 ♩.=96박 형태로 이어지나 전체적으로 12/8박자형, 15/8박자형, 9/8박자형, 18/8박자형, 21/8박자형, 27/8박자형 등 6개 패턴을 볼 수 있다. 이 중 12/8박자가 총 21회로 가장 많이 출현하고 있으며, 2회 이상 겹치는 리듬은 없다. 18/8박자는 총 8회 출현하며 특징적인 것은 이 박자형에서 헤미올라 리듬을 가장 많이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15/8박자는 총 7회 출현하며 동일한 리듬 형태를 볼 수 없으므로 반복 리듬형이 없다고 할 수 있다. 9/8박자에는 총 4회 출현한다. 이는 짧은 가사엮음 시에만 사용되어 졌으며, 총 4회 출현한다. 27/8박자는 제21마디의 단1회 출현으로 가사엮음이 길게 진행되는 부분에서 볼 수 있다. 21/8박자는 총4회 출현하며 27/8박자의 경우와 같이 가사엮음이 길게 진행되는 경우에 나타났다. 그러므로 육칠월 흐린날의 박자는 3박 형태로 진행되나 모두 다른 리듬을 지닌 불규칙 박자라 할 수 있다. 4. 바위타령은 총 4단락으로 구성된다. 1단락과 4단락은 노랫가락 유형이고 ♪=135박이다. 2단락은 ♩.=55박에서 시작하여 ♩.=40박으로 느려졌다가 다시 점점 빨라져서 ♩.=55박으로 변한다. 2단락 안에서도 12/8박자형, 15/8박자형, 18/8박자형, 21/8박자형 등이 나타난다. 3단락에서는 자진모리장단이 쓰이나 일반적인 12/8박의 자진모리가 아닌 3박으로 불규칙하게 박자가 변화한다. 9/8박자형, 12/8박자형, 15/8박자형, 18/8박자형, 21/8박자형 등이 등장한다. ♩.=105에서 ♩.=127로 빨라지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4단락으로 갈 때 박자가 느려졌다가 불규칙 장단으로 갔다가 노랫가락 장단으로 곡이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1단락과 4단락은 노랫가락장단과 거의 비슷하지만 6/8, 5/8, 7/8, 5/8, 8/8, 5/8, 9/8박자로 불규칙하게 진행되고 있다. 2단락과 3단락에서는 6/8박자의 리듬유형은 총 6회 출현하며, 반복진행은 없다. 가사를 말하듯이 노래할 때 이 유형을 쓰고 있다. 12/8박자는 2단락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며, 총 41회 출현한다. 18/8박자는 총 8회 출현하고 있다. 9/8박자는 리듬유형이 총 5회 출현하고 있다. 15/8박자에서는 2가지 리듬유형이며 총 3회 출현하고 있다. 21/8박자 리듬유형은 제66마디에 1회 출현하고 있다. 18/8박자는 2개의 리듬 유형과 2회 출현한다. 이렇듯 박자가 불규칙한 이유는 사설의 길이에 따라 박의 길이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바위타령의 박자는 전체적으로 불규칙 박자라고 정의할 수 있다. 5. 육칠월 흐린날에서는 자진모리장단이 총 21회 출현하고 있다. 12/8박자의 자진모리 한 장단을 기준으로 하여, 한 장단이 채워지지 못하거나 또는 한 장단보다 길어지는 현상의 불규칙 장단 출현 횟수는 23회이다. 휘모리 잡가와 같이 불규칙박의 경우 전공자라 하더라도 곡을 같이 부를 수 있을 정도로 알고 있지 않으면 실제로 장단을 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불규칙장단의 경우 1장단의 기준을 무조건 ‘덩’을 치는 시점을 시작으로 다음 ‘덩’이 출현하기전이라고만 볼 수는 없다. 이는 한 마디 안에서 ‘덩’ 이 두 번도 반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사설에 맞추어진 창자의 호흡을 기준으로 삼아 잔가락은 배제된 장단보로 채보하였다. 6. 육칠월 흐린날의 노랫말은 머슴살이하는 총각이 채찍질을 하여 바쁘게 소를 몰아가는 것을 익살스럽게 엮은 것이며, 다른 휘모리 잡가에 비해 과장과 풍자가 심하지 않다. 바위타령의 노랫말은 경기지방 중심의 바위를 일일이 언급하며 서울 근교의 바위를 시작으로 경기 근방 황해도 몇 군데, 평안도 순안, 숙천과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와 강원, 함경도의 바위가 등장한다. <곰보타령>, <맹꽁이 타령>과는 다른 구조를 갖추고 있으나 과장과 풍자의 성격이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7. 육칠월 흐린날과 바위타령은 공통적으로 짧게 끊는 종지형을 하고 있다.;Japga was a song popular in the capital areas and the Western provinces in 19th and early 20th century when the commerce was about to boom. In particular, Huimori Japga was a faster Japga than those Japgas handed down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uimori Japga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words and rhythm, its irregular Jangdan, etc.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Yukchilwol Hurinnal' and 'Bawi Taryong' out of 10 Huimori Japga songs and thereby, analyzed them in view of words, melody, tempo, rhythm types and Jangda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usical scales of the sample songs consist of 'sol-la-do-re-mi' mode. 2. Lee Chang-bae's sound sources chosen by the researcher for the sample songs are characterized in common by a progressive faster tempo, while the tempo of the current sound sources is much slower at large. 3. 'Yukchilwol Hurinnal' progresses with♩.=96 time, but in overall terms, it shows 6 tempo patterns: 12/8, 15/8, 9/8, 18/8, 21/8, and 27/8. Among them, 12/8 tempo pattern appears most frequently or 21 times in total, while any rhythm is not overlapped more than once. 18/8 tempo pattern appears 8 times in total. What is peculiar is that Hemiola rhythm is most frequently found in this tempo pattern. 15/8 tempo pattern appears 7 times in total. Since there are no same two rhythm patterns, it may well be said that there is no repeated rhythm pattern. 9/8 tempo pattern appears 4 times in total. It is used for weaving short words. 27/8 tempo pattern appears only once in the 21st measure where the word weaving progresses long. 21/8 tempo pattern appears 4 times in total, and as in the case of 27/8 tempo pattern, it appears in the parts where the word weaving progresses long. All in all, it may well be concluded that the tempo of 'Yukchilwol Hurinnal' progresses in three quarters time but that its tempo is irregular with different rhythms. 4. 'Bawi Taryong' consists of 4 parts. Part 1 and 4 are song patterns with ♪=135 time. Part 2 starts with♩.=55 time and slows down to♩.=40 time and gains speed again to♩.=55 time. In this part, other various tempo patterns appear:12/8, 15/8, 18/8, 21/8, and the like. In part 3, Jajinmori Jangdan is used, but it is not the ordinary 12/8 tempo Jajinmori but varies irregularly into three quarters time. Moreover, such tempo patterns as 9/8, 12/8, 15/8, 18/8, 21/8, etc., appears. This part progresses fast from♩.=105 to♩.=127. In part 4, the tempo varies by slowing down, progressing to irregular time or changing into Noraetgarak Jangdan. Part 1 and 4 are similar to song time, but they progress irregularly with 6/8, 5/8, 7/8, 5/8, 8/8, 5/8 and 9/8 tempo patterns. In part 2 and 3, 6/8 tempo pattern rhythm appears 6 times in total, but there is no repeated progression. The words are sung as if they were spoken. 12/8 tempo pattern appears most frequently or 41 times in part 2. 18/8 tempo pattern appears 8 times in total. 9/8 tempo pattern appears 5 times in total. 2 rhythm types appears 3 times in total at 15/8 tempo pattern. The reason why the time is irregular is because the time length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aseol. Therefore, the tempo of 'Bawi Taryong' may well be defined as irregular time in overall terms. 5. In 'Yukchilwol Hurinnal,' Jajinmori Jangdan appears 21 times in total. An irregular Jangdan shorter or longer than a unit Jangdan in reference to 12/8 tempo pattern Jajinmori Jangdan appears 23 times. The reality is that even if a singer is specialized in Japga, he or she cannot well follow such irregular time as in Huimori Japga, unless he or she is skilled enough to follow it. In case of an irregular Jangdan, we cannot easily set the criterion for time 1 as just before the next 'Deong' after the first 'Deong.' For 'Deong' may well be repeated even twice in a movement. Therefore, the researcher referred to the intestine breathing tuned to the words and thereby, set a Jangdanbo with swift melodies excluded. 6. The words of 'Yukchilwol Hurinnal' describes humorously that a batchelor farm servant drives an ox hurriedly, while not much exaggerated or sarcastic compared with other Huimori Japga songs. The words of 'Bawi Taryong' mention one by one about the rocks in the capital areas, starting with the rocks near Seoul to those in Gyeonggi and Hwanghae provinces, Sunan in Pyeongan province, Sukcheon and Chungchong province, Cholla province, Kyongsang province and Hamkyong province. They had a structure different from 'Gombo Taryong' or 'Maengkongi Taryong,' but they are much exaggerated and sarcastic. 7. Yukchilwol Hurinnal, Bawi Taryong have in common an ending pattern cut sho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