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국어 신체 관용어의 은유·환유 연구

Title
국어 신체 관용어의 은유·환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taphor and The Metonymy of the Idiomatic Body Terms of Korean Language
Authors
진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에서는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은유 이론을 바탕으로 신체 내부 기관 관련 관용어의 은유·환유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개념적 은유 이론은, '은유'를 단순한 언어 대치 현상으로 바라보던 기존의 이론에 의문을 제기하며, '은유'란 신체화된 경험을 바탕으로 개념화된 인지적 과정의 산물이라고 규정한다. 이러한 개념적 은유 이론에서 관용어는 死隱喩로 취급되지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관용어는 특정 문화군에서의 언중의 체험을 바탕으로 개념적 은유·환유 과정을 거쳐 생성된 것이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삼은 관용어는 신체 내부 기관 관련 관용어이다. 기존의 은유 연구에서 신체 외부 기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일어난 것과 달리 신체 내부 기관과 관련된 논의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기 때문이다. Ⅰ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연구 목적,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기존 연구를 검토하여 본고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 관용어 연구들을 검토하여 관용어에 대한 개념 규정과 범위를 설정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Ⅱ장에서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은유와 환유에 대한 연구와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의 관용어 개념을 살펴, 본고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은유와 환유는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환유’로 명명된다. 은유와 환유는 단순한 시적 수사의 한 방법이 아닌 일상의 언어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발견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낱말의 차원의 문제가 아닌 우리의 개념을 형성하는 인지적 사고 과정의 기제이다. 관용어는 이러한 개념적 은유·환유 과정을 거친 언어 표현이 오랜 시간을 거쳐 관습성을 띠게 된 것이다. Ⅲ장은 신체 내부 기관 관용어의 은유·환유 양상을 밝히고 있는 부분이다. 기존의 논의들이 외형 신체어의 개념적 은유 양상을 밝히는 것에 집중되어 있다거나 신체 내부 기관 관용어를 환유로만 취급하여 소홀히 다룬 것에 문제를 제기하고 신체 내부 기관 관련 관용어의 개념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은유 양상으로 존재론적 은유와 지향적 은유, ‘주체-자아’은유, 감각 은유를 찾을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존재론적 은유에서 [추상적 실체는 몸], [감정은 불], [추상적 실체는 몸속 내용물], [추상적 실체는 사물/사물화된 몸의 상태], [추상적 실체는 동물화된 신체 내부 기관의 상태]라는 은유를, 지향적 은유에서 [화는 위], [진정함은 아래], [놀람은 아래]의 은유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주체- 자아’은유 中 [부모로서의 주체와 아동으로서의 자아] 은유와 감각은유 中 [음흉함은 검은색], [시원함은 상쾌함], [부정적인 것은 구린 냄새]라는 은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환유 양상은 ‘부분-부분’ICM의 인과관계ICM에 속하는 [감정의 생리적 반응으로 감정을 대신함] 환유와 ‘부분-전체’ICM의 [부분으로 전체를 대신함]환유로 나뉘었다. 은유 양상에 수렴되는 영상 도식으로는 그릇 도식, 수직성 도식, 부분-전체 도식, 균형 도식, 중심-주변 도식이 있었으며, 환유 양상에 수렴되는 영상도식으로는 가장 기본적인 ‘부분-전체’ 도식과 ‘연결 도식’, ‘균형 도식’이 있었다. Ⅳ장은 결론으로서 위의 논의를 종합하고 요약하였다.;In this study, an aspect on the metaphor and metonymy of the idiomatic in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was clarified precisely based on the conceptional metaphor theory of the cognitive philology. With throwing a doubt on the established theory considering a "metaphor" as a simple "language substitutes", it is provided in the conceptional metaphor theory that a "metaphor" is a result of the conceptional cognitive process based on the physical experiences. In this conceptional metaphor theory, idioms are not treated as a "dead metaphor". Judging from this meaning, idioms are formed through the conceptional metaphor and metonymy process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public in a certain culture. Idiom as an object of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idiomatic in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on the metaphor and metonymy of the idiomatic ex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However, studies on the metaphor and metonymy of the idiomatic in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are very limited. That is reason to select that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chapter I, a subject, objectives, and a method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respectively. Moreover, I set up the conceptional prescriptions and boundary of idioms through the review of established studies on idioms.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is study were prepared by investigating the concept of "metaphor", "metonymy", and "idiom" in the point of view of the cognitive philolog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metaphor" and "metonymy" can be called the "conceptual metaphor" and " conceptual metonymy", respectively. The metaphor and metonymy are not simple poetic rhetorical methods. On the contrary, they have been using lively as everyday words in practical verbal lives. This means that the metaphor and metonymy are mechanism of the cognitive thought process forming Korean people’s way of thinking and sociocultural features over the matter on simple word levels. Among the metaphors formed through this process of conceptional metaphor and metonymy, a certain metaphor became idiom due to the accepted usage. In chapter III, the aspects of the metaphor and metonymy for the idiomatic in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were investigated. The existing studies were focused on the aspect of the conceptional metaphor of the idiomatic ex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and dealt lightly with the idiomatic in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with the aspect of the metonymy only. Accordingly, I studied on the conceptional aspects of the metaphor and metonymy of the idiomatic in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with putting the established studies in question. The aspects of the metaphors such as the ontological metaphor, ‘orientational’ metaphor, ‘the subject-ego’ metaphor, the sensual metaphor were identified. For example, the metaphors of [ABSTRACT ENTITY IS BODY], [EMOTION IS A FIRE], [ABSTRACT ENTITY IS INTERNAL BODY’S CONTENTS], [ABSTRACT ENTITY IS AN INANIMATE OBJECT], [ABSTRACT ENTITY IS ANIMALIZED INTERNAL BODY] for the ontological metaphor, the metaphors of [ANGRY IS UP], [SEDATION IS DOWN], [ASTONISHMENT IS DOWN] for orientional metaphor were identified. Also, the metaphor of [THE SUBJECT AS PARENTS AND THE SELF AS KID] for ‘the subject-ego’ metaphor, the metaphors of [WICKEDNESS IS BLACK], [COOL IS REFRESHMENT], [NEGATIVE THING IS A BAD SMELL] for the sensual metaphor were identified. The aspects of the metonymy were classified in the metonymy of [THE PHYSIOLOGICAL REACTIONS OF AN EMOTION FOR THE EMOTION] for a causal relationship ICM of ‘Part - Part ICM’ and the metonymy of [PART STANDS FOR WHOLE] for ‘Part - Whole’ ICM. The image diagrams converged on the aspect of the metaphor were classified into Container schema, Orientational schema, Part-whole schema, Balance schema and Center-periphery schema. On the other hands, the image diagrams converged on the aspect of the metonymy were basically classified into Part-whole schema, Link schema and Balance schem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