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8 Download: 0

박경리, 박완서 소설의 여성 정체성 연구

Title
박경리, 박완서 소설의 여성 정체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Female Identity in Park, Kyung-Ri's and Park, Wan-Seu's Novels
Authors
이윤경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박경리, 박완서 서사가 공통적으로 전쟁과 분단에 대한 체험, 여성 정체성에 대한 문제의식, 생명에의 지향성 등을 담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여성인물, 그 중에서도 여성가장에 주목하는 것이 두 작가의 작품세계를 분석하는 유효한 접근법이 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에서 출발한다. 한국사회는 근대문물의 유입과 함께 가족 구조의 변화를 경험한다. 개화기, 식민지 시대를 이어 한국사에 있어서 여성가장이 문제적 소재로서 등장한 것은 한국전쟁을 통해서였다. 한국전쟁을 통해서 전통 가족 구조는 갑작스러운 해체를 경험하게 되었고, 여성들은 생존과 가족부양을 위해서 사회에 진출하게 되었다. 환경, 타의에 의해 갑작스럽게 이루어진 사회진출로 인해 여성가장은 근대의 공적, 사적 영역의 분리의 경계선이 허물어지는 틈새의 대표자가 된다. 여성가장들은 이중의 억압과 소외의 대상이 되지만 반면, 이러한 외부 시선을 인식함으로써 자아를 인식하는 계기를 얻게 되고 이로써 개인적 영역, 여성 정체성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게 된다. 때문에 박경리, 박완서 서사의 여성가장은 사회/가정의 경계선에 서서 가족/개인, 이중의 억압 대상/경계의 갈등을 드러내는 소재이자 갈등을 넘어설 가능성을 지닌 양가적 의미의 존재로 형상화된다. 박경리, 박완서는 여성가장을 오롯이 일괄적으로 형상화하지 않는다. 오히려 여성가장은 작가의식의 변화에 따라 계속해서 수정되고 성장한다. 본고에서는 여성가장이 두 작가의 서사에서 의미화 되고 있는 방식과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작가가 추구하는 여성 정체성 찾기의 과정과 지향하는 본질에 근접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2장에서는 여성가장들의 가정과 개인, 사회와 개인 사이의 갈등과 그 갈등을 통해 자아를 인식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한국전쟁을 통해 남성이 부재하게 된 현실 속에서 여성들은 비워진 가장의 자리를 채우도록 요구된다. 남편을 잃고 가족을 부양하는 박경리의 여성가장들은 사회의 성적 편견과 물질주의에 의해 소외된다. 소외된 여성가장들의 생활고와 자존 사이의 갈등은 이미 많은 평자들이 지적한 바 있다. 본고에서는 여기서 더 나아가 궁핍과 핍절을 경험한 여성가장이 현실을 도피하는 방식에 주목해보기로 한다. 이는 박경리의 여성가장들이 만나는 현실과 가족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통해 드러난다. 박완서의 여성가장은 주로 가부장적 어머니에 의해 소외된다. ‘대잇기’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소외된 여성가장들은 억척스러운 생활력으로 삶을 이어감과 동시에 가족과 물리적, 정신적 거리두기를 시도한다. 이러한 일련의 갈등의 분석을 통해서 박완서 여성가장들이 어떠한 자기인식에 도달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게 될 것이다. 3장에서는 익명성, 즉 그저 ‘있음’에서 벗어나 ‘자기성’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여성가장들의 전략들을 살펴볼 것이다. 이는 주로 물질적 기반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한국사회의 역동성은 경제에 대한 관념과 가족관계에 있어서 변화를 요구한다. 박경리, 박완서의 여성가장들은 물질을 기반으로 여성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가문을 이루어내는데 이를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통해 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여성가장들의 소유를 통한 주체의 형성은 존재 기반의 마련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동시에 존재의 무거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갈등을 드러내 보인다. 이들 작가가 지향하는 여성의 정체성이란 경제적 독립을 넘어서고 있음을 분석과정을 통해 확인하게 될 것이다. 4장에서는 물질적, 정신적으로 성장한 여성가장들이 새롭게 타자와의 만남으로서 윤리적, 모성적 주체로 회복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여성가장들은 타자와의 만남을 가능하게 하는 계기로서 ‘죽음’을 경험한다. ‘죽음’ 혹은 고통은 주체의 주도권을 앗아가고 수동성을 경험하게 한다. 박경리 여성가장은 이러한 경험을 통해서 억압된 자기 자신과의 화해를 이루며 이는 다시 타자와의 화해의 바탕이 된다. 박완서의 여성가장은 고통을 넘어서 자유의지를 기반으로 한 여성성을 회복시킨다. 이들의 타자와의 만남과 수용은 자아를 넘어서 여성연대로의 확장을 보이는데 이는 가부장 사회가 잃어버린 생명에 대한 진정한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 사회적 연합에 다가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박경리, 박완서 서사의 여성인물은 끊임없이 정체성의 문제로 귀환한다. 이들에게 있어 여성가장은 가족의 문제, 한 개인으로서의 여성의 문제, 자아와 타자의 만남과 소통을 드러내는 위치의 인물이다. 즉 여성이 가장이 되었다는 사실보다, 여성이 가장이라는 위치에 처해짐으로써 무엇을 발견하였는지를 알려준다. 이들이 만들어낸 여성가장은 가부장 사회에서 소외되는 대상임과 동시에 삶의 한켠에서 주체적 삶을 이루어내고 타자와의 만남을 통해 연대를 가능케 하는 매개자이다. 박경리, 박완서는 물질주의와 가부장적 가족제도를 비판하고 해체함과 동시에 여성 그리고 사회가 화합을 위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는 문제적 인물로서 여성가장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This thesis takes notice of the fact that Park, Kyung-Ri's and Park, Wan-Seu‘s narratives commonly deal with war and division experiences, women's identity, and the pursuit of life. Among these subjects,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a matriarch' of women characters since this may be an effective approach to analyze these two writer's works. Korean society have experienced the change of family structure along with the influx of modern civilization. In the Korean history following after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the colonial period, Korean war introduced 'a matriarch' as the most controversial subject in literary world. The Korean war destroyed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and caused the entry of women in public affairs for their existence and family support. Since the entry occurred abruptly and involuntarily, a matriarch represents the fact that the border line between modern public and private sector is crumbing. While a matriarch becomes an object of both oppression and alienation, they come to possess self-consciousness by realizing the eyes of other people, and have the critical mind of personal sector and women's identity. Therefore, the matriarch of Park, Kyung-Ri's and Park, Wan-Seu‘s narratives are symbolized not only as a subject revealing the conflict between family and person, doubleoppression object and border line in standing on the border line of society and family, but also as an existence of double meaning that has a potential to overcome the conflict. Two writers do not symbolize a matriarch in a collective and complete form but rather they keep changing the figure along with the change of writer's consciousness. This thesis looks into the process and direction of these writers' searching for women's identity. In Chapter 2, we will examine the process that matriarchs come to realize self through the conflicts between family and person, society and person. After the Korean War, women are required to substitute for men's absence in the family. Sexual prejudice and materialism alienate Park, Kyung-Ri‘s women characters who lost their husbands and supported their family. Critics have pointed out the conflict between the rigor of life and existence of an alienated matriarch. This thesis further focuses on how a matriarch experiencing poverty and penury escapes from the reality. This will be reveal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reality that a matriarch faces and family relationship. They reenter the reality after realizing self as the existence possessing a body. A matriarch of Park, Wan-Seu's novel is often alienated by a patriarchal mother in the family. The ideology of sustaining family lines alienates matriarchs who strive to survive in the rigor of life and they keep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ir family. Through the analyses on a series of conflict, this chapter will examine how Park Wan-Seu‘s matriarchs get to their self-realization. Chapter 3 deals with anonymity-matriarchs' strategy to secure self-identity escaping from the state of just 'being'. This can be achieved on the material base. In the age of enlightenment, Korean society's dynamic requires the changes of economic concept and family relationship. Park, Kyung-Ri's and Park, Wan-Seu‘s matriarchs create a new women-centered family which is based on materials and we willlook into the aspect through the concrete textual critique. In this process, matriarchs confront the contradiction that they establish their identity by possessing materials but they can not escape from heaviness of existence. Through textual analysis, we come to realize the fact that the subjectivity of matriarchs these writers are pursuing surpasses the economic independence. In chapter 4, we will examine the process how matriarchs with spiritual growth recover the ethnical and motherly 'subject' by meeting 'other' newly. Matriarchs experience 'death' as an opportunity to meet others. Death or suffering take away the initiative from the subject and make it experience the passivity. Park, Kyung-Ri‘s matriarchs effect a reconciliation with the oppressed self and it becomes a base for reconciliation with others. Park, Wan-seu‘s matriarchs surpass the suffering and recover maternity based on free will. Matriarchs' encountering and accepting others signify surpassing the self and extending it to the society, which means searching for the true meaning of life patriarchal society lost and approaching social consolidation. Women characters in Park, Kyung-Ri's and Park, Wan-Seu's narrative continuously return back to the issue of true identity. For them, matriarch is a character who reveals the issue of family, the issue of women as a person, and the encounter and communication of self and other. In other words, this chapter let know what woman found by being placed on the position of matriarch, rather than the fact that women become the head of a family. A matriarch who women has made is an alienated object in patriarchal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a mediator living subjective life in the corner of life and strengthening solidarity through encountering others. Park, Kyung-Ri and Park, Wan-Seu criticize and dissolve materialism and the patriarchal family structure and also present a matriarch as a problematic figure who shows the direction toward the social u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