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2 Download: 0

모유수유 적응 측정 도구 개발

Title
모유수유 적응 측정 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Evaluate Adaptation to Breastfeeding
Authors
김선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모유수유는 영유아뿐만 아니라 어머니에게 여러 장점이 있다. 어머니들의 모유수유 실천율이 증가하고 있으나 모유수유 지속기간은 개월 수에 따라 크게 짧아지고 있고, 최소 6개월에서 12개월 이전에 많은 어머니들이 중단하고 있다. 모유수유 행위는 어머니와 아기의 관계를 발전시키고 어머니와 아기의 요구를 서로 만족시키는 복잡한 과정으로 출산 후 처음 아기를 만나는 어머니가 기본적인 모유수유 기술을 학습하는 데는 4-6주가 걸린다. 그러므로 어느 정도 모유수유 기술을 학습한 시기인 4주 이후부터 어머니가 스스로 모유수유 행위에 적응하고 적응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어머니는 자신의 모유수유 행동을 직접 평가함으로써 모유수유 적응 정도를 파악해야 한다. 모유수유는 어머니와 아기의 상호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모유수유 평가는 어머니와 아기의 모유수유 행동을 총체적인 측면에서 평가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도구들은 주로 모유수유의 부분적인 측면만 평가하고 어머니와 아기를 모두 평가하지 못하고 있으며, 장기간의 모유수유를 평가하기 보다는 산후 8주 이내에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어머니와 아기가 초기 모유수유 기술을 학습한 시기인 4주 이후부터 모유수유 전 시기동안 지속적으로 모유수유를 평가하며, 인간의 총체적인 적응수준에서 현재 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어머니와 아기의 요구를 반영하고 우리나라 어머니와 아기에게 적합한 도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모유수유를 하는 어머니가 자신이 얼마나 모유수유 과정에 적응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모유수유 적응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도구 개발은 Roy의 적응 모형의 4가지 양상에 따라 모유수유 관련 문헌 고찰, 모유수유 기존 도구, 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어머니와 모유수유 임상 지도자의 면담을 통하여 모유수유 적응 상태를 구성하는 개념을 정의하고, 개념의 8개 하부 범주로 구성요인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모유수유 적응의 8개 하부 범주를 Roy의 4가지 적응 양상으로 구분하여 생리적, 자아개념, 역할 기능, 상호의존 양상에 따라 분류하고 문항을 작성하여 총 69개의 예비 문항을 산출하였다. 평가 척도는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의 5점 Likert 척도로 선정하였다. 이차에 걸쳐 전문가들이 내용타당도를 평가하였으며 내용 타당도 지수(CVI)가 0.8 이상인 문항을 선정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및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모유수유를 하는 어머니들에게 문항의 이해도를 검증하였다. 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4주 이후의 어머니 329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44문항의 요인을 추출하여 구성타당도를 입증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과 배리맥스 회전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도구는 8요인의 65.99% 설명변량이었으며, 각 요인은 아기와 감정교류, 수유 자신감, 충분한 젖양, 아기의 수유능력과 성장, 아기와 친숙해지기, 수유 불편함, 젖양유지, 지지받기이었다. 이는 개념적 구성 요인과 일치하였다. 구성타당도를 위해 집단비교법을 하였는데, 완전 모유수유와 혼합수유 집단, 이전 모유수유 경험집단과 이전 모유수유를 경험하지 않는 집단을 비교하여 구성타당도를 입증하였다. 준거타당도는 H & H 모유수유 인식 도구의 하부 범주와 모유수유 적응 도구의 총점과의 상관관계를 산출한 결과 준거타당도를 입증하였다. 최종 개발된 모유수유 적응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는 .82이고, 하부 요인별 Cronbach α 계수는 .46에서 .84이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유수유 적응 측정도구는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 신뢰도가 검정된 도구이므로 이론 개발, 연구 분야, 간호 현장에서 모유수유 적응정도를 측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Breastfeed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ributors to infant and maternal health. Despite the existence of many health benefits of breastfeeding, there has been a decrease in the rates and duration of breastfeeding in the country. Mothers and infants have to adapt themselves to the breastfeeding behavior for theirselves. In order to adapt to this behavior, mothers have to be able to independently evaluate their adaptation. Breastfeeding is affected by complicated and multidimens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other-infant relationship. Therefore, breastfeeding evaluation should include a holistic dimension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their babies. But developed instruments have evaluated mainly one part of a mother or a baby and a part of multidimensional factors, have been used in postpartum early weeks; further, because these instruments were mainly developed in a foreign country, their application to evaluate Korean mothers and babies from 4 weeks postpartum may be inadequat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is demanded to enable the continuous evaluation of the holistic adaptation of the mother and the infant from 4 weeks postpartum, by which time they have learned a basic breastfeeding skill, throughout the breastfeeding perio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strument that enabled the mothers to independently evaluate their adaptation to the breastfeeding behavior. The instrument development process comprised the following steps: The conceptual framework was based on the Roy adaptation model. Based on the 4 adaptive modes of this model, the content domains were developed via literature review, review of instruments, and data acquired from the interviews of breastfeeding mothers and nurses in the maternity ward, clinic, and nursery. A total of 69 items belonging to 8 domains were generated. A 5-point Likert response scale was used to generate responses, namely, strongly disagree, disagree, neither disagree nor agree, agree, strongly agree. A panel of experts performed 2 rounds of review on the items. A total of 26 breastfeeding mothers reviewed the understanding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of sentences used in the questionnaire provided to them. Items with a content validity score (CVI) greater than 0.8 were adopted.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data was gathered from 329 breastfeeding mothers from 4 weeks postpartum in 3 public health centers and 1 pediatric outpatient ward in Seoul city and Gwangmyeong city, respectively.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version 14.0. For extracting factors in the factor analysis for verifying the construct validit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was used. 4 adaptive modes, 8 factors, and 27 items were determined. We confirmed 2 differences between the exclusively breastfeeding and partial breastfeeding groups and the past-breastfeeding experience and past-breastfeeding non-experience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Thos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at were compar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breastfeeding adaptation and the degree of sub-domains of H & H lactation scale in order to verify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i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r= .55 - .63(p< .01) respectively. The Cronbach's alpha reliability coefficient was high (.82). The result showed that this instrument to be employed for analyz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breastfeeding mothers and their infants would be one that evaluates the adaptation of breastfeeding mothers and their infants to the breastfeeding behavior with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to further analyz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instrument, and present norm scores that correspond to the age of the bab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