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사례연구

Title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in a Teacher Community
Authors
김지혜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is not restricted to a certain period. Rather, it is an ongoing process that lasts all of their teaching careers. In this manner, teachers cannot be completely prepared as experts during their initial preparation programs. To support teachers, Korea focuses mostly on in-service training systems. Many national and local institutions were permitted by the government to develop and operate these programs. Therefore, the development process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approach, in that programs are made by a few experts using systemic methods to apply and deliver the results to teachers. However, many studies on teacher education have shown that the traditional approach has limitations with solving classroom problems related to social change and the needs of students. Moreover, in the respect that the traditional approach presumes teachers as being passive receivers of the designed programs, teachers' autonomy towards learning to teach can be restricted.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raditional approach’s understanding of teachers should be chang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teacher education. This change means not only having teachers participate more actively, but also having them be curriculum developers of teacher education. Many researchers emphasize teacher communities as supporting both teachers'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lthough these studies suggest that teacher communities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teacher education, most of them lack empirical data concerning how the teacher community actually develops curriculum for teachers themselves. This study attempts to spotlight the procedure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in which a teacher community took part. Several research questions provided guidance for this investigation. First, what are the pattern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in a teacher community for cooperative learning?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Thir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curriculum development of teacher communities on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case study on curriculum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in a teacher community.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part of a specialized teacher community for cooperative learning theory. This community develops professional development curriculum and operates it in every school vacation period based on the inquiry of this theory. Observation and interview method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The observation data were gathered through participation in meetings and workshops, and the interview data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with their permission. Also, the data that were analyzed focused on the pattern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The findings were derived from the acquired data. Foremost, the patterns were organized as follow. First, the teachers studied instruction theory and teaching practices. Second, they developed a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ctivity. Third, they planned the workshop and also prepared the teachers that would lecture the material. Fourth, they operated the program themselves. Last, they had a time for reflection and evaluation of the lectures by the participating teachers and lecturers themselves. Overall, the process was conducted by teachers independently and voluntarily. Three characteristics were found from the community's curriculum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First of all,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based on the members' teaching practice and experience which were not from theories or books. Second, the developing process was collaborative. Third,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in stages; therefore, teachers could have opportunities to make their expertise deeper. This study draws implications in the respects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emost, teachers can be considered as active subjects in curriculum development for teacher education rather than as receivers of it. Also, curriculum development should consider recessive learning opportunities which can bring deeper professional development. Nex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eachers' expertise can be broaden to include teacher educator, beyond that of being simply a teacher for students. Moreove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can be reached by a collaborative culture through teacher communities. In conclusio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in a teacher community suggests alternative ways to complement existing teacher education by providing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learned from teaching experiences.;교사를 위한 교육은 그 기간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교직 전 기간에 걸쳐 계속된다. 따라서 교사는 사범대학이나 교육대학에서 양성되는 과정 가운데 완벽하게 준비되는 것이 아니라, 교실에서 마주하는 매일의 문제 상황과 사회의 요구, 학문의 변화에 대응해 나가며 전문성 있는 교사로 성장해 나간다. 그러나 오늘날 제시되는 교사교육을 바라볼 때, 그 중심에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보다는, 교사의 전문성을 어떻게 평가하고 그 책임을 물을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자리 잡고 있으며 연수를 통한 교사교육에서의 교사 역할도 제한되어 있는 듯하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함께 연구자는 먼저 한국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국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대한 노력을 현직 연수를 중심으로 실천해 왔으며, 이는 학교나 개인보다는 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형태를 띠고 있었고, 이러한 특징은 교사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을 소극적으로 제한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지식기반사회에서 가속화 되는 사회의 변화와 불확실한 교실 현장은 교사가 능동적인 전문가로서 교사교육의 주체가 되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촉진할 뿐 아니라, 교사교육에 있어서 주체적인 교사의 역할을 제시하는 기제로 교사공동체를 주목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탐색하였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교사공동체에 대한 개념적인 분석이나 이에 참여하는 교사의 인식에 초점을 두고 실행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교사공동체가 교사연수 교육과정에 주는 함의를 이해하거나 그 안에서 일어나는 구체적인 개발 과정을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가 전문성 신장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가정 아래, 교사공동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의 방식과 특징 및 시사점을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 교사들로 이루어진 교사공동체인 ‘협동학습연구회’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첫째, 협동학습연구회 사례에서 드러나는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 방식은 어떠한가? 둘째, 협동학습연구회 사례에서 발견할 수 있는 교사공동체 중심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의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이 한국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실제 운영되고 있는 교사공동체를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하여 깊이 있게 탐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례연구방법 중에서도 면담과 관찰을 위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협동학습연구회’ 소속의 지역모임인 안산과 서울의 협동학습연구회와 과학과 협동학습연구회에 참여하는 교사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면담 및 관찰 자료와 문서 자료들은 연구문제에 근거하여 분석되었고, 이에 따라 교사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의 방식, 특징, 시사점을 도출해 내었다. 먼저, 협동학습연구회의 교사연수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첫째, 교사들은 교사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수업 개선 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는 공동체가 함께 교수학습이론에 대해 함께 학습하고 이를 적용하여 수업을 개발하는 단계, 그 개발 결과를 개인교사의 수준에서 재구성하고 실천하는 단계, 그리고 실천 결과를 공동체 내에서 공유하고 수정·보완하여 전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지속적이고 꾸준하게 반복되었다. 둘째, 이처럼 자신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연구하는 협동학습연구회의 형식적, 비형식적 연구 결과물은 자연스럽게 이 공동체에서 개발하는 교사연수 교육과정의 내용이 되었다. 셋째, 이렇게 준비된 교육과정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사교육을 계획하고, 이를 실행할 강사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을 하였다. 넷째, 개발된 교육과정을 실제로 이행하였고, 다섯째, 마지막으로 연수에 참가한 교사들과 교육과정을 개발한 강의자들에 의한 외부·내부적 반성과 평가 단계를 가졌다. 이와 같이 개발되고, 실행되며, 평가되는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 방식은 교사들에 의해 주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음으로, 협동학습연구회 사례를 통해 분석한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협동학습연구회의 교사연수 교육과정은 수업 실천에 기반을 두고 개발됨으로써, 서적에 근거한 이론적 지식 중심이 아닌, 교사들의 실천 경험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었다. 둘째, 협동학습연구회의 교사연수 교육과정은 협력적으로 개발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육과정은 교사의 발달을 고려하여 단계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교사들이 해당 내용에 대한 전문성을 심화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협동학습연구회의 사례를 통하여 연구한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한가지 측면은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에 관련한 시사점으로서, 교사를 연수 대상자나 교사교육의 수요자가 아니라 적극적인 개발의 주체로서 인식할 수 있어야 하며, 일회적인 연수로 그치는 교육과정보다는 연수 후에도 관련 분야에 대한 교사의 지속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연계성을 고려하여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 측면은 교사 전문성에 대한 시사점으로, 먼저 교사의 전문성을 학생을 가르치는 능력에만 국한하지 않고, 교사를 가르치는 교사교육자로서의 전문성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교사전문성의 신장이 교사공동체의 협력적 문화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의 방식과 특징을 ‘협동학습연구회’의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고, 시사점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의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전문성을 신장하는 교사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존의 교사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사례연구의 대상이 대부분 중등 교사로 이루어진 교사공동체임을 감안하여 볼 때, 초등학교급, 교과목별, 모임의 형태별 교사공동체에 대한 연구가 추가될 필요가 있으며, 사례선정에 있어서 본 연구가 가진 한계점을 교사변인에 대한 고려를 통해 보완할 때,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