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미-
dc.creator김은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9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1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92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상동파에 대한 종래의 연구 성과를 계승·보완하면서 상동파의 기독교 민족운동의 전체상을 그려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연구된 자료나 논문들은 전덕기의 민족운동과 목회활동을 다루거나, 혹은 상동파의 운동기관인 상동청년회, 상동청년학원의 민족운동을 다루면서 상동파의 민족운동의 특징과 활동, 운동양상 등을 분석했다. 이상의 연구들에 의해 상동파의 설립과 인적 구성, 그리고 그들의 구국활동에 관한 많은 부분들이 분명해졌으나 상동파의 구국운동이 어떠한 성격의 운동이었고 구국운동 노선에서 어떤 고유한 특징을 갖는가라는 문제와 상동파 민족운동과 기독교와의 상관관계, 그리고 상동파의 구국운동을 일제의 기독교 정책과의 관련성, 나아가 일제가 조선 기독교를 장악하기 위해 가장 큰 변수로 이용하고자 했던 선교사들의 국가권력에 대한 이해와 대응방침과의 관련성 속에 있는 상동파의 구국운동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필자는 상동파의 기독교 민족운동에 대한 연구를 시도했다. II장에서는 상동파 형성과 구국운동의 배후에 있는 시대적 배경에 관해 살펴보았다. 구한말의 정치·사회적 상황을 살펴보고 소멸해 가는 유교를 대신하는 강력한 종교로 수용된 기독교와 기독교인들의 민족의식과 일제의 기독교 정책과 선교사에 대한 회유정책 및 이에 대한 선교사들의 대응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로 상동파의 구국운동의 특성이 보다 분명해졌다. III장에서는 1897년 상동엡웟청년회가 설립되어 1907년 신민회에 가입되기 전까지의 활동을 상동파의 형성과 그들의 구국운동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즉 상동파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그 부속조직인 상동청년회와 공옥학교 그리고 상동청년학원의 조직형태와 목적을 고찰하며 상동청년회가 전개한 을사오조약 무효 상소운동, 멕시코 이민교포학대 조사단파견, 헤이그밀사 파견사건 등을 고찰했다. IV장에서는 1907년 상동파가 신민회에 편입되어 활동을 전개한 시기에서 1914년 전덕기의 죽음으로 사실상 해체되는 기간의 활동을 상동파의 독립투쟁운동과 그 성격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신민회와 연관된 상동파의 민족운동을 고찰하고 여기서 그들의 운동 노선이 독립전쟁론에 입각한 독립투쟁운동이었음을 분석하고, 그들의 독립투쟁 노선에서 기독교와 민족이 어떻게 연결되었는지를 상동파의 활동의 중심이었던 전덕기의 삶과 사상을 통해 고찰했다. 결론으로 V장에서는 상동파의 기독교 민족운동이 한국기독교 민족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특징을 조명해 보고, 그것이 오늘날 기독교인의 사회적 책임과 정치윤리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성찰했다. 신앙과 정치적 책임을 연결시키며 기독교인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는 상동파의 주체적인 신앙의 자세를 정치불간섭주의에 근거한 탈역사적 교회중심주의의 신앙 형태가 여전히 남아 있는 오늘날의 기독교가 어떻게 복원시키며 계승해 갈 것인가 물어지고 있는 것이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a whole picture of the christian national movement by the group of Sangdong members, while complementing and succee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group. The literatures and papers which researched on the group of Sangdong members so far have dealt with the national movement in which Min. Duck-Gi, Chun had participated together with his ministry o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ctivities, and phases of the Sangdong Members' national movement, simultaneously referring to the national movement of Sangdong Youth Association and Sangdong Youth Academy, the institutions run by the group of Sangdong members. Although many facts on the foundation, human organization, and the save-the-nation activities of the group of Sangdong members have been clarified by these researches, there were few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nature of its national salvation movement, the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line its the national salvation movement, the correlation between its national movement and Christian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save-the-nation movement and the Japanese policies for christianity, and further between the foreign missionaries'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powers whom the Japanese imperialists used to grip over all the Korean christian denomination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the christians' countermeasures to the Japanese plots. This present study intended to study the christian national movement by the group of Sangdong members with bearing these issues in mind. In Chapter Two, the foundation of the group of Sangdong member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behind the national salvation movement were considered. Also,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in the latter era of the Korean Empire, the christianity accepted as a powerful religion to replace the vanishing Confucianism, the christians' awareness of nation, the Japanese policies for christianity, and their appeasement policies for the missionaries and their responses were examined. This study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salvation movement by the group of Sangdong members more clearly. In Chapter Three, it examined the activities of Sangdong Epworth League until it joined Shinminhoi in 1907 from its establishment in 1897, centering around their foundation and the evolutionary processes of its national salvation movement. That is, it looked into the way how the group of Sangdong members was formed, the organizational forms and purposes of its affiliated organizations such as Sangdong Youth Association, Gongok School, and Sangdong Youth Academy. It also examined the activities of Sangdong Youth Association, such as the nullity suit and appeal movement for Eulsa Treaty, dispatching an inquiry commission for the abused Korean emigrants in Mexico, and dispatching secret envoys to Hague. In Chapter Four, the activities of the group of Sangdong members from 1907 when it was incorporated into Shinminhoi to develop its movement to 1914 when it was disbanded due to the death of Min. Duck-Gi, Chun were investigated by focusing on its independence movement and its nature. Also, it defined the national movement by the group of Sangdong members in connection with Shinminhoi to find out that its movement line was an independence struggle movement based on the theory of independence wars, while examining how christianity and the Korean people were related in the course of independence struggle through the life and thoughts of Min. Duck-Gi, Chun, the head of all the activities of Sangdong members. In Chapter Five, it illuminated, in conclusion,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ristian national movement by the group of Sangdong member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ristian national movements, and examined its implications on the christian social responsibility and political ethics today. It has been questioned how the christianity of today in which post-historical and church-centered faith still remains based on the nonintervention policy with politics would restore and succeed to the sovereign attitudes of the group of Sangdong members which made efforts to do its christian social responsibility by connecting faith and political responsi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범위 및 방법 = 5 II. 시대적 배경 = 7 1. 구한말 시대적 상황과 기독교의 수용 = 7 1) 구한말 정치·사회적 상황 = 7 2) 기독교의 수용 = 8 2. 기독교인들의 민족의식과 일제의 기독교정책 = 13 1) 기독교인들의 민족의식 = 13 2) 일제의 기독교정책과 선교사들의 반응 = 20 III. 상동파와 구국운동(1897년-1907년) = 32 1. 상동파의 형성과 보조기관 = 32 1) 상동청년회 = 32 2) 공옥학교 = 42 3) 상동청년학원 = 44 2. 상동파의 구국운동 = 50 1) 멕시코 이민교포학대 조사단파견 = 50 2) 을사오조약 무효 상소운동 = 55 3) 헤이그밀사 사건 = 58 IV. 상동파의 독립투쟁운동(1907년-1914년) = 63 1. 신민회활동과 상동파 = 63 1) 신민회 결성과정과 상동파 = 63 2) 상동파의 신민회활동과 독립투쟁운동 = 68 3) 상동파의 독립투쟁운동 노선 = 73 2. 전덕기와 기독교적 민족운동 = 80 1) 전덕기의 생애 = 80 2) 전덕기의 민중중심 신앙 = 84 3) 전덕기에 있어서 신앙과 민족 = 89 V. 결론 = 100 참고문헌 = 103 ABSTRACT =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69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상동파의 기독교 민족운동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897년-1914년-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hristian National Movement by the group of Sangdong members : from 1897 to 1914-
dc.creator.othernameKim, Eun Mi-
dc.format.pageiv,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