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희정-
dc.creator김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9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1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9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인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특성과 이에 따른 내원지연시간의 차이를 확인하고, 노인 뇌졸중 고위험군을 교육함에 있어 증상 발생 후 지연 없이 병원에 내원하도록 교육하는데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E대학병원에 허혈성 뇌졸중으로 진단 받고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로 총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8년 3월부터 5월까지였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내용은 일반적 특성과 NIHSS를 포함한 질병관련 특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노인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내원지연시간의 차이를 t-test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뇌졸중 중증도(NIHSS)의 평균값은 6점이었으며, 평균 증상 수는 2.32개로 증상수가 3개미만인 경우가 58%였다. 뇌졸중이 갑작스럽게 발생한 경우가 69%, 뇌졸중 증상 발생 시 다른 사람과 함께 있던 경우가 71%였다. 증상발생시 다른 사람과 함께 있던 경우의 대처방법으로는 119에 연락한 경우가 50.7%로 가장 많았고, 혼자 있던 경우에는 증상호전을 기다리거나 타인에게 도움을 청한 경우가 각각 31%를 차지하였다. 대상자의 병원내원 수단은 119 구급차가 51%로 가장 많았고, 증상 발생 후 처음 방문한 곳은 종합병원 응급실이 66%로 가장 많았다. 뇌졸중 과거력이 없는 경우가 66%, 뇌졸중에 대해 교육받지 못한 경우가 86%였다. 2. 전체 대상자의 평균 내원시간은 15시간 43분으로 최소 19분에서 최대 7일의 차이를 보였다. 혈전용해제 치료 적정시간인 3시간 이내에 병원에 내원한 환자는 42%로 평균 내원시간은 1시간 11분이 소요됐고, 3시간 이후에 병원에 내원한 환자는 58%로 평균 내원시간은 26시간 15분이 소요되었다. 3. 대상자의 뇌졸중 증상 발생 후 내원까지 소요된 시간은 성별(x2=6.771, p=.009), 뇌졸중 중증도(t=4.300, p=.000), 증상 수(x2=9.129, p=.004), 의식장애 유무(x2=5.506, p=.019), 증상발생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x2=4.836, p=.031). 증상발생 시 다른 사람과 함께 있던 경우(x2=10.278, p=.002)와 함께 있던 사람의 대처방법(x2=14.200, p=.007)에 따라 내원지연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상자의 내원수단(x2=15.679, p=.003)과 뇌졸중 증상 발생 후 처음 방문한 곳(x2=16.422, p=.003)에 따라 내원지연시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노인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따라 내원시간에 차이가 있으므로 노인 뇌졸중 고위험군을 교육함에 있어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해야 하겠다. 또한 뇌졸중을 응급증상으로 인식하고 증상 발생 후 적절한 치료 시간 안에 내원하도록 적극적인 뇌졸중 간호교육이 필요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hospital delay time of the elderly with ischemic stroke and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between an early admission group and a delayed admission group.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100 elderly with ischemic stroke who were admitted at E university hospital.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to May in 2008 by using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demographic and disease-related variables including NIHSS (National Institution of Health Stroke Scale).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PSS WIN 12.0 and analyses of data were done by use of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NIHSS was 6 and the mean number of stroke symptoms was 2.32. Sixty-nine percent of the subjects experienced sudden onset of stroke, and 71% were with bystanders at stroke onset. Fifty-one percent of bystanders called 119 at onset, 51% were transported by 119 ambulance and 66% visited an emergency department. Sixty-six percent had no history of stroke and 86% did not have knowledge about stroke. 2. The mean pre-hospital delay time was 15.72 hours, and minimum and maximum hours were 0.32 hours and 168 hours each. Forty-two percent of patients presented within 'therapeutic window'(3 hours) after onset. 3. The pre-hospital delay tim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der (x2=6.771, p=.009), NIHSS (t=4.300, p=.000), number of symptoms (x2=9.129, p=.004), mental status (x2=5.506, p=.019), and characteristics of onset (x2=4.836, p=.03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hospital delay time according to bystanders's existence (x2=10.278, p=.002), bystanders's responses (x2=14.200, p=.007), type of transportation (x2=15.679, p=.003), and the first place patients visited (x2=16.422, p=.003).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hospital delay tim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ischemic stroke. Therefore, nurses should consider these characteristics when caring the elderly who have high risk factors of ischemic stroke.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admission within 3 hours after stroke onse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5 II. 문헌고찰 = 6 A. 허혈성 뇌졸중 = 6 B. 내원지연시간 = 8 III. 연구방법 = 11 A. 연구설계 = 11 B. 연구대상 = 11 C. 연구도구 = 12 D.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 13 E. 자료분석방법 = 13 F. 연구의 제한점 = 14 G.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 14 IV. 연구결과 및 논의 = 15 V. 결론 및 제언 = 30 A. 결론 = 30 B. 제언 = 32 참고문헌 = 33 부록 = 40 Abstract = 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19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노인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내원지연시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re-hospital Delay Time of the Elderly with Ischemic Stroke-
dc.creator.othernameKim, Hee Jeong-
dc.format.pagevii, 4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