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高麗時代 瓷器盞托 硏究

Title
高麗時代 瓷器盞托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Ceramic Jantak(盞托) of Goryeo Period
Authors
이윤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도자사 연구에서 하나의 기종을 분석하여, 그릇으로서 기물이 사용되었던 사회, 문화적 배경과 제작 동기, 그리고 조형적 양식과 편년에 이르는 종합적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논문의 주제인 盞托은 굽이 있는 접시형태로 잔을 받치는데 사용되었으며 잔과 함께 한 벌을 이룰 때에는 ‘托盞’이라 불린다. 잔탁은 지금까지 단독 주제로 연구된 바는 없지만, 삼국과 고려, 조선시대에 걸쳐 확인되는 기물로서 그것을 필요로 했던 사회적 배경과 사용계층의 취향, 제작기술, 나아가 음식문화의 한 측면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이다. 특히 고려시대 가마터에서 자기질의 잔탁이 본격적으로 생산되었는데, 이곳에서 생산된 잔탁은 잔이 놓이는 받침대인 ‘盞座’의 존재를 통해 그릇의 역할과 함께 다양한 조형적 특징이 파악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다루는 잔탁의 범위는 고려시대 본격적인 자기 생산과 함께 받침으로서의 사용이 확실한, 즉 잔좌가 형성되어 있는 기물로 설정하여 살펴보았다. 잔탁의 명칭은 중세 중국과 한국의 문헌기록과 명문자료를 통해 ‘茶托子’, ‘茶托’, ‘盤盞’, ‘盞盤’, ‘盞臺’, ‘臺盞’, ‘盞托’, ‘盞槖(橐)’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이들 명칭에는 ‘托’이나 ‘臺’, ‘盤’ 등과 같은 ‘받침’의 의미가 내포하고 있으며, 宋代 이후로 ‘盞托’이라는 명칭이 등장하여 정착한 것으로 생각된다. 잔탁의 시원적 형태는 남북조시대 유적의 출토품을 통해서 확인되며, 기본적인 조형은 唐代 이전부터 존재하였다. 그러나 당대 이후 차문화의 성행과 자기제작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다구로서 자기질 잔탁의 제작이 증가하였고, 飮茶法의 변화와 함께 송대에는 點茶法의 유행으로 금속, 칠기, 자기로의 제작량이 증가하였다. 이 같은 사실은 송대 간행된 여러 다서의 기록과 회화자료를 통해서 차문화에 수반된 잔탁의 모습을 통해 살필 수 있었다. 동시기 고려에서도 중국의 오대시기 월주요의 제자기술이 이전되면서부터 국내 가마터에서도 자기질 잔탁의 제작이 이루어졌다. 이때 제작된 국내산의 잔탁은 오대 월주요의 것과 매우 유사하며, 이후 송대 여러 요장에서 제작되는 잔탁과 조형적인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잔탁의 제작은 명ㆍ청대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으나, 이전시기에 비해 제작량이 현저하게 줄어들었으며, 기물의 형태와 문양도 이전과는 차이를 보인다. 국내에서도 粉靑沙器, 白磁 잔탁의 제작이 지속되었으나, 이 역시 고려의 것과는 구분되는 조형을 나타내고 있다. 고려시대 잔탁은 생산지와 소비지 출토의 여러 사례들을 통해 그 제작시기가 초기부터 확인되었으며, 대부분은 양질의 자기를 생산하던 가마터에서 출토되었다. 그러나 중기 이후 잔탁의 제작지는 여러 곳으로 확산되었고, 동시대 기물의 제작에 질적 분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잔탁은 고려시대 사지, 고분, 건물지, 그리고 해저인양품등에서 확인된다. 유적의 분포는 전국적이며, 각각 유적의 성격에 따른 잔탁의 사용에 대해 짐작할 수 있었다. 특히 사지출토의 빈도가 가장 높은데, 이는 『禪院淸規』의 기록에서도 알 수 있듯 사원 내 의례행위에서 잔탁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었다. 또한 출토 층위와 범위가 정해져있는 고분에서의 잔탁은 그것과 함께 세트를 이루는 잔이 출토되어 팽이형잔, 화형잔 등과의 조합양상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밖에 해저에서 출토되는 잔탁은 다른 유적에 비해 형태가 완전하게 남아있고, 함께 출토되는 다른 유물을 통해 편년 추정이 가능하였다. 특히 현재까지 가마터 발굴을 통해 확인되지 않은 고려시대 후기 잔탁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 주목되었다. 여러 가지 문헌기록과 회화, 유적출토품과 전세품 등의 자료를 종합한 결과, 고려시대 잔탁은 제작의 시작부터 네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의 양식과 변화를 알 수 있었다. Ⅰ기는 10세기 중반∼11세기 후반에 해당하며, 잔탁은 제작의 초기단계부터 五代 越州窯의 영향을 받아 한 요장 내에서 여러 가지의 형태로 제작되었다. Ⅱ기는 11세기 말∼12세기 전반에 해당하며, 고려청자 제작에 큰 변화와 함께 잔탁의 제작지가 강진과 부안 등지로 확산되는 시기이다. 앞 시기에 이어 다양한 기형의 잔탁이 제작되었으며, 각 지역 요장의 특징을 살필 수 있다. 문양의 장식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으나, 아직까지 상감기법의 사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Ⅲ기는 12세기 중반∼13세기 중반에 해당한다. 잔탁이 양질과 조질의 질적분화를 보이며, 다양한 문양소재와 장식기법이 활용되는 시기이다. 이시기에 이르러 상감기법이 본격적으로 사용되었고, 白虎紋과 같은 이전시기에는 볼 수 없던 문양소재와 장식방법이 활용되었다. Ⅳ기는 13세기 후반∼14세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이 시기의 잔탁은 현재 가마터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아, 편년추정이 가능한 소비지 출토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문양의 소재와 시문기법이 더욱 복잡하고 화려한 양상을 보이는 13세기 후반∼14세기 전반과 14세기 중후반의 고려말∼조선초 과도양식 간에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one kind of ceramics produced in the past in terms of society where the ceramic was used, cultural background and production motives, and figurative form and chronicles. Jantak(盞托), the theme of the study, was shaped like a footed plate and used as a saucer. When used with a cup as a set, it is called 'Takjan(托盞)'. Jantak, the ceramic found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Three Kingdoms, Goryeo, and Joseon periods, has never been researched as a separate theme, but it is a good example that shows social background, ceramic production skills, and food culture of the periods when the ceramic was produced, and the taste of people who used it. Especially during the Goryeo period, Jantak wa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at kilns. The role and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Jantak of the Goryeo period can be perceived through 'Janjwa(盞座)', the cup saucer.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Jantak produced in the Goryeo period when it was widely used as a saucer along with the vigorous production of ceramics. According to literature and material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in the middle ages, Jantak was called by various names such as 'Datakja(茶托子)', 'Datak(茶托)', 'Banjan(盤盞)', 'Janban(盞盤)', 'Jandae(盞臺)', 'Daejan(臺盞)', 'Jantak(盞托)' or 'Jantak(盞槖(橐))'. These names contained 'Tak(托)', 'Dae(臺)' or 'Ban(盤)', Chinese characters indicating a saucer. The term ‘Jantak(盞托)’ was first used in the Song Dynasty and has continued to be used since then. Its original form can be found among the relics of South and North Dynasties and its fundamental form was established before the Tang Dynasty. After the Tang Dynasty, due to the prevalence of tea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ceramic production skills, the production of Jankak increased. In the Song Dynasty, thanks to the popularity of Jeomchabeop(點茶法), the production of metal, lacquer, and ceramic Jantaks increased. This has been found though several books and paintings on tea created during the Song Dynasty. In the meantime, ceramic Jantaks(靑瓷盞托) began to be produced in Kilns in the Goryeo Dynasty after Yue ware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Five Dynasty period were imported. Goryeo Jantaks produced in this period were quite similar to Yue wares of the Five Dynasty. In addition, they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Jantaks of the Song Dyansty in terms of their form. Jantaks were still produced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but their production decreased significantly. Besides, the shapes and patterns of Jantak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Jantaks produced in previous periods. During the Joseon period, Punch'ong Jantaks and white porcelain Jantaks were produced, but they were also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oryeo period in terms of their forms. A variety of Jantaks ranging from the ones of the early Goryeo period to the ones of the later Goryeo period were excavated from production and consumption sites. Most of Jantaks in the early Goryeo period were found at kilns that produced only high quality ceramics. However, Jantaks produced after the mid Goryeo period were found in various areas, indicating that divisions were made within the quality of Jantaks produced in the period. Jantaks have been found at temple sites, tombs, building sites, and ships that sank around the nation. Based on the sites where they were excavated, the use of Jantak was guessed. Especially the ones found at temple sites accounted for the largest part of Jantaks ever found. As written in 『Seonwoncheonggyu(禪院淸規)』, Jantak is presumed to have been used in rituals at the temples. Besides, Jantaks found at tombs with defined excavation stratigraphy and scope show how they went with Paengihyeongjan(a top-shaped cup) and Hwahyeongjan(花形盞, a flower-shaped cup), cups produced with Jantaks in a set. Compared with Jantaks discovered at temple sites and tombs, the ones excavated from ships that sank well maintained their original shapes. Through other relics excavated with them, their age could be estimated. Especially it is noteworthy that Jantaks of the late Goryeo period, which had not been discovered at kilns so far, were excavated from the ship that had sunken. After the examination of various literature, paintings, excavated Jantaks, and well preserved Jantaks,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duction of Jantaks of the Goryeo era could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Jantaks of each period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ir patterns and changes made. During the first period from the mid-10th century to the late 11th century, various forms of Jantaks were produced at one ceramic production site under the influence of Yue wares of the Five Dynasty period. During the second period from the late 11th century to the early 12th century, significant changes were made in Goryeo celadon and Jantaks began to be produced in Gangjin(康津) and Buan(扶安). As in the first period, various forms of Jantaks were produced. In addition, each site where ceramics were produced had its peculiar characteristics. Although patterns were vigorously used to decorate Jantaks, but inlay methods were little used. During the third period from the mid-12th century to the mid-13th century, divisions were made in the quality of Jantak. Besides, various patterns and decoration methods were employed. Furthermore, inlay methods(象嵌技法) were vigorously employed, and patterns like white tiger pattern(白虎紋) and decoration methods were used. The fourth period was from the late 13th century to the 14th century. As no kilns that produced Jantaks of this period has been excavated so far, the characteristics of Jantaks of this period were examined through ceramics excavated at consumption sites whose ages could be traced. Specifically, Jantaks produced from the late 13th century to the 14th century showed more sophisticated and splendid patterns and methods. They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produc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in the mid and late 14th centu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