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현영-
dc.creator황현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6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1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659-
dc.description.abstractResidential space is a place which is a ground for living and it has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 beings. Most of basic behaviors of human beings are done in the residential space, and the time for activities at home takes up high proportion in individual living. Therefore house should be a space which is fit to the resident like the resident's clothes, and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it is the responsibility of designer who designs the space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space and the living of the resident, namely,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and substance. Our residential environment, however, is uniform in shape as stereotyped shape without being able to accommodate individuals' living patterns and behavioral patterns which are getting more and more diversified. As a space designer, this researcher began researching to find the way to change the residential space as a vessel which can contain the living of the resident in the space and tried to examine the improvement method through the enhancement for design process. Among the elements in the process of design,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Diagram, the role of which is expanding as a generator in modern residence, and used the Diagram as a tool for structuring of behavioral pattern and also tried to verify its usefulness. From this viewpoint, this researcher established the framework of theoretical research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concerning the flow of modern residential culture, residents' behavioral patterns and the programs and diagrams at residential spaces and identified the kinds of residential spa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ase studies on residential space to which diagram was applied as a tool for structuring of behavioral patterns. In addition, Block Diagram was developed to apply to the experiment and case study is also carried out so that the process to build space is tested through Activity Structuring Diagram and it was approved that the Activity Structuring Diagram is valuable as methodological alternative in creating space satisfying resident's behavioral pattern.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tivity Structuring Diagram is used as a tool to create resident's living oriented residence through enhancing organic relation between human behavior and space. In design process, Activity Structuring Diagram plays a role as a map to show us contents and methods, and represents key concepts and structures of space. Design process can be objectively structured through diagram which has qualitative information about resident's activity pattern and living behavior, it can also help to create space with more advanced structure than contemporary residence. Second, Activity Structuring Diagram is a 'three-dimensional and convenient system' which can reflect organic behavioral pattern of resident in the process of unfolding design and influence and support the whole processes of design so that behavioral pattern and requirements of resident are more compactly reflected. Especially, it has very close correlations with program and plays a role of a potential language for creation. Third, during the process of creating space through diagram, diagram itself establishes the function of space and at the same time carries out the role of creating shape. Provided, however, in the course of materializing process as concrete space, the scope of role as a tool for creation of shape is decided depending on how design interpret the space - directly(in simile) or indirectly(metaphoric). And the researcher knew that even though diagram works as a shape generator as a design motive, designer's formative viewpoint and approach were essentially required in order to enhance the aesthetic value of the created outputs. Fourth, Activity Structuring Diagram is used to analyze resident's activity data and to quantify program so that resonable inference process for space organization is visualized, in which, as a result, can provide with solid ground and strong persuasiveness for design creatures. Activity Structuring Diagram will be given enough possibility as a methodological alternative to make residential space actively harmonize with the life of resident while granting the diversification and suitability which modern residential space should be equipped with. Especially, this approach seems to provide a momentum to break from the customary planning and space pattern which appears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our country. Under such dimension, this research will bear the significance as basic research for the application of diagram method in the design of residential space.;주거공간은 삶의 터전이 되는 곳으로 인간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인간이 영위하는 기본적인 행위의 대부분은 주거공간에서 이루어지며, 집안에서의 활동시간은 개인의 생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므로 집은 거주자에게 자신이 입는 옷처럼 딱 맞는 공간이어야 하며, 주거공간과 거주자의 생활, 즉 형식과 내용의 관계성을 높이는 것이 공간을 디자인하는 사람의 몫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주거환경은 다양해지는 개개인의 생활방식과 행동패턴을 수용하지 못한 채 천편일률적인 모습으로 획일화되어 있다. 본 연구자는 공간디자이너로서 거주자의 삶을 담아낼 수 있는 그릇으로 주거공간을 변화시킬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디자인 과정에 대한 제고를 통해 그것의 개선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중 현대주거에서 생성자(生成子)로서 그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다이어그램(Diagram)에 주목하여 이를 행동패턴 구조화 도구로 사용하여 독창적이고 기능적으로 우수한 주거공간을 계획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으로 본 연구자는 현대 주거문화의 흐름, 거주자 행동패턴, 주거공간에서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이론적 연구의 틀을 확립하고 행동패턴 구조화 도구로서 다이어그램이 적용된 주거공간 사례연구를 통해 그것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 적용할 블럭 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을 개발하고 모형사례연구를 진행하여 행동패턴 구조화 다이어그램(Activity Structuring Diagram)을 통해 공간이 구축되는 과정을 실험하고 그것이 거주자의 행동패턴에 부합하는 공간을 창출하는데 있어 방법적 대안으로 가치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패턴 구조화 다이어그램(Activity Structuring Diagram)은 인간의 행위와 공간의 유기적 관계성을 높이는 기제로 작용하여 보다 거주자의 삶에 밀접한 주거공간을 창출하도록 지원한다. 디자인 과정에서 행동패턴 구조화 다이어그램(Activity Structuring Diagram)은 내용과 방법을 동시에 보여주는 지도와 같은 역할을 하며, 공간의 핵심적인 개념이자 구조를 상징한다. 거주자의 행동패턴과 생활방식에 관한 정량적 정보를 담고 있는 다이어그램을 통해 디자인 과정을 객관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주거와는 차별화된 구성을 가진 공간을 창출할 수 있다. 둘째, 행동패턴 구조화 다이어그램(Activity Structuring Diagram)은 거주자의 행동패턴을 유기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입체적리고 편리한 시스템’으로 디자인 프로세스 전 과정에 작용하여 거주자 행동특성 및 요구사항이 밀도 있게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프로그램과도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잠재력 있는 생성언어로서 역할을 한다. 셋째, 다이어그램 방법을 통해 공간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다이어그램 스스로가 공간의 기능을 구축함과 동시에 형태생성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다만, 구체적인 공간으로 구현되는 과정에서 디자이너에 의해 어떻게 해석되느냐 - 직접적(직유적) 혹은 간접적(은유적) - 에 따라 형태생성 도구로서 역할의 범위가 결정된다. 특히, 생성물의 미학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디자이너의 조형적 관점과 접근이 반드시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행동패턴 구조화 다이어그램(Activity Structuring Diagram)을 통해 거주자의 행위 데이터를 해석하고 프로그램을 정량화하며 공간조직의 합리적 추론과정을 가시화함으로써 디자인 생성물의 객관적인 근거를 마련하고 논리적 설득력을 가질 수 있게 한다. 현대주거공간이 갖춰야할 다양성과 적합성을 부여하며, 주거공간이 적극적으로 거주자의 삶에 융화될 수 있게 하는 방법적 대안으로서 행동패턴 구조화 다이어그램(Activity Structuring Diagram)은 충분한 가능성을 가진다. 특히, 이러한 접근은 우리나라 주거환경에 나타나는 관습적인 계획방법 및 공간유형을 탈피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보여진다. 그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는 주거공간 디자인에서 다이어그램 방법 적용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II. 주거문화와 거주자 행동패턴 = 4 2-1. 현대 주거문화의 특징 = 4 2-2. 주거공간과 거주자 행동패턴 = 7 2-2-1. 주거공간에서의 환경-행태적 접근 = 7 2-2-2. 거주자 행동패턴의 종류와 특징 = 11 III. 주거공간과 행동패턴 구조화 다이어그램 = 16 3-1. 공간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건축적 개념과 변화 = 17 3-2. 주거공간에서 공간 프로그램과 다이어그램의 기능 및 한계점 = 19 3-3. 행동패턴 구조화 도구로서의 다이어그램 = 23 3-4.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본 다이어그램의 종류와 적용 = 28 3-4-1. 프로젝트 선정 및 분석 기준 = 28 3-4-2. 작품별 분석 = 29 3-4-3. 분석 종합 = 43 IV. 행동패턴 구조화 다이어그램에 의한 주거공간 디자인 = 48 4-1. 디자인 개요 = 48 4-2. 디자인 분석 = 51 4-2-1. 대상지 분석 = 51 4-2-2. 사용자 분석 = 54 4-3. 디자인 전개 = 58 4-3-1. 행동패턴 구조화 다이어그램 (Activity Structuring Diagram) = 58 4-3-2. 공간조직 = 61 4-3-3. 공간형성 = 66 4-3-4. 형태생성 = 71 4-4. 디자인 최종안 = 77 4-4-1. PLAN (Grond Floor) = 77 4-4-2. SITE PLAN = 82 4-4-3. ELEVATION = 83 4-4-4. SECTION = 85 4-4-5. 최종모형 = 86 4-4-6. PERSPECTIVE = 92 4-5. 종합 및 평가 = 96 V. 결론 = 100 참고문헌 = 103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9943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행동패턴 구조화 다이어그램에 의한 주거공간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idential Design by Activity Structuring Diagram-
dc.creator.othernameHwang, Hyun Young-
dc.format.pageviii,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