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주리-
dc.creator장주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7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1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758-
dc.description.abstractIn our society, there are various NGOs in diverse fields, and after 1990s, they are pursuing not only quantitative growth but also qualitative growth and constantly advancing. Because these NGOs are based in civil society,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how they are evaluated by people, how they communicate with people and maintain their relationship, and how they secure legitimacy and build reputation. Therefore, considering that reputation is a necessary element to the existence of NGO, the paper studied that of NGO. Particularly, focusing on influence of media and applying agenda setting theory advanced by political communication to the domain of NGO, the paper positively studied the influence of NGO agenda presented in media on public NGO agenda and evaluation. Research methods were content analysis and survey, and the paper selected 4 NGOs that have recognition in the country as research subjects. First, through content analysis of newspaper, the paper deduced attributes of NGO agenda and assessed media reputation index; next, through survey on the public, the paper examined the importance of attributes of public NGO agenda, attitude of NGO, and evaluation, and compared these with media's NGO agenda. Furthermore, through newspaper articles' content analysis, the paper analyzed issues related to research subject NGOs, and through survey, the paper examined public's awareness of importance of NGO issues as well. Survey was performed on 237 Seoul citizens, and for analysis, the paper utilized SPSS 12.0, to which the paper performed rank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media coverage and public's recognition of NGO. In other words, NGOs that are presented in media many times are recognized well by the public as well.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dia's NGO attributes and NGO evaluation. In other words, as media coverage on attributes of NGO presented in media increased, public's NGO reputation increased as well. Furthermore, NGO reputation attribute appeared in media was shown to have more influence on NGO reputation than NGO reputation attribute that are not presented in media. Third, it was shown that issue salience also affects NGO reputation, an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dia coverage of issue and public's awareness of its importance; and as public becomes more aware that NGO's relevance on certain issue is high, they evaluates NGO reputation higher.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media coverage, media visibility, and media reput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media reputation and public's NGO reputation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Through the above results of the study, the paper attempted to verify media's agenda setting effects on NGO reputation. Media's NGO agenda had correlation with public's NGO reputation evaluation, and issue salience too was found to have influence on NGO reputation evaluation. The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theoretically arrange NGO reputation attribute, which gets much attention recently, that it applied agenda setting theory advanced from political communication to NGO reputation study to which theoretical domain can be expanded, and that it attempted to study NGO reputation in sociological perspective.;우리 사회에는 다양한 분야에 다양한 NGO들이 활동을 하고 있고, 1990년대 이후 양적인 성장 뿐 만 아니라 질적인 성장을 추구하며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NGO는 시민사회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시민들에게 어떻게 평가 받고 있는지, 어떻게 시민들과 소통하고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지, 정당성을 확보하고 명성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NGO의 존립에 있어 명성이 필수적인 요인임을 고려하여 NGO의 명성을 연구하였다. 특히, 미디어의 영향력에 초점을 맞춰 정치커뮤니케이션에서 발전된 의제설정이론을 NGO 영역에 적용하여 미디어에 나타난 NGO의 의제가 공중의 NGO의제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은 내용분석과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국내 인지도가 있는 4개의 NGO단체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신문기사의 내용 분석을 통해 NGO의 의제 속성을 도출하고 미디어명성지수를 산정하였고, 다음으로 공중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를 통해 공중의 NGO 의제 속성 중요도 및 NGO 태도, 평가를 조사하여 이를 미디어의 NGO 의제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신문기사의 내용분석을 통해 조사 대상 NGO단체가 관련된 이슈를 분석하고, 서베이를 통해 공중의 NGO이슈 중요도 인식을 조사하였다. 서베이는 서울시민 2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분석을 위해 SPSS 12.0을 이용하여, 순위상관관계분석, t검증, 위계적 다변인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의 보도빈도와 공중의 NGO 인지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미디어에서 많이 보도된 NGO 단체에 대해 공중 역시 잘 인지하고 있었다. 둘째, 미디어의 NGO 속성과 공중의 NGO 평가 간 상관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미디어에 나타난 NGO 속성에 대한 보도빈도가 높을수록, 공중의 NGO 명성 평가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에 나타난 NGO명성 속성이 미디어에 나타나지 않은 NGO명성 속성보다 NGO 명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슈 현저성 역시 NGO 명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슈의 보도빈도와 공중의 이슈 중요도 인식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공중이 이슈와 관련하여 NGO단체의 관련도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NGO 명성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넷째, 미디어의 보도빈도와 매체가시성, 미디어 명성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미디어 명성과 공중의 NGO 명성 간의 상관관계 또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NGO명성에 대한 미디어의 의제설정 효과를 검증해보았다. 미디어의 NGO의제는 공중의 NGO명성 평가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슈의 현저성 또한 NGO 명성 평가에 영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관심을 받고 있는 NGO의 명성요인을 이론적으로 정리했다는 점, 정치커뮤니케이션에서 발전된 의제설정이론을 NGO 명성 연구에 적용하여 이론의 영역을 확대했다는 점, 사회학적 관점에서 NGO 명성을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문제제기 = 1 Ⅱ. 이론적 논의 = 5 A. 명성의 구성요소 및 형성 경로 = 5 1. 기업 명성 개념 = 5 2. 기업 명성의 구성요소 및 형성경로 = 10 B. 기업 명성과 의제 설정 효과 = 13 1. 의제 설정 이론과 프라이밍 효과 = 13 가. 의제 설정 이론 = 13 나. 프라이밍 효과 = 20 2. 기업 명성의 미디어 의제 설정 효과 = 23 C. NGO 명성과 의제 설정효과 = 26 1. NGO 개념 및 특성 = 26 2. NGO 명성과 미디어 의제 설정 효과 = 32 Ⅲ. 연구 설계 = 37 A.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 = 37 1. 1차 의제 설정 효과와 공중의 NGO 인지도 = 38 2. 2차 의제 설정 효과와 공중의 NGO 의제 및 NGO 명성평가 = 39 3. 이슈 현저성과 공중의 NGO명성 = 40 4. NGO의 미디어 명성과 공중의 NGO 명성 = 41 B. 연구 대상 및 방법 = 41 1. 연구 대상 선정 = 41 2. 연구 방법 = 42 가. 1단계 : 미디어 내용분석 = 42 나. 2단계 : 서베이 = 44 3. 분석 방법 = 45 C. 주요 변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 46 1. 미디어의 NGO 의제 = 46 2. 공중의 NGO 의제 중요도, NGO 명성지수 및 NGO태도 = 47 3. 이슈 현저성, 이슈 중요도 인식 및 이슈 관련도 인식 = 49 4. 미디어 명성지수 = 49 5. 통제변인(신문노출/신문신뢰/관여도) = 49 Ⅳ. 연구 결과 = 51 A. 응답자 특성 및 측정 도구의 신뢰도 검증 = 51 1. 응답자 특성 = 51 2. 주요 변인의 속성 유형화 및 신뢰도 검증 = 52 B. 미디어의 NGO의제와 공중의 NGO의제 간 관련성 = 53 1. 1차 의제 설정 효과와 공중의 NGO인지도 = 53 2. 2차 의제 설정 효과와 공중의 NGO 의제 및 NGO 태도 = 55 가. NGO의 인지적 속성에 대한 의제 설정효과 = 55 나. NGO의 감정적 속성에 대한 의제설정 효과 = 64 3. 이슈 현저성과 공중의 NGO평가 = 65 4. NGO의 미디어 명성과 공중의 NGO 명성 = 68 Ⅴ. 결론 및 논의 = 73 A.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 74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 78 참고문헌 = 80 설문지 = 90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369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NGO 명성에 대한 미디어의 의제설정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genda-Setting Effects of Mass Media on NGO Reputation-
dc.creator.othernameJang, Ju Ri-
dc.format.pageviii,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