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契約의 無權代理에 관한 硏究

Title
契約의 無權代理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about the contract : focused on the case that legal position of the non authorized representative and the principal belongs to the same person
Authors
김영선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Korean Civil Law regards the case which does not have a speciality to be de facto apparent representation as a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and defines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has no effects on the principal (Article 130 of the Civil Law). However,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is good to the principal and fits with intention of the other party who expects the action has legal effects, the civil law permits the principal to approve the action and make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have the same effects as the representation with authority through approval of a contract between the non authorized representative and the other party. In other words,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about the contract can affect on the principal, retroactive to the time contract made by approval. Alternatively, the principal can make the action explicitly void by refusing the approval. As can be seen in the above, both the right to approve and the right to reject approval of the principal are a legal effect related to the principal and the other party among legal effects of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concerning a contract. Especially, it could be a problem in relation to the legal effects when "the legal position of the non authorized representative and the principal belongs to the same person." It might be mainly a problem in succession between the principal and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In addition, when the non-authorized person has a right to represent after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and acquires objects of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there is a similar discussion. First, in the problem of the succession between the principal and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when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succeeds to the principal, there are the theory of natural validity that says the approval or the rejection of approval is no longer available because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has natural validity by the succession, the theory of possibility of rejection of approval that describes natural validity does not established because the succeeder has a position of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and the principal in the same time. However, the non-authorized person can not exercise the right to reject approval because of the principle of due diligence, and the theory of compromise that insists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is naturally valid in case of a sole succession, but it is not valid without approval of coheirs in case of joint inheritance. The judicial precedent says that insisting invalidity of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when the non-authorized person solely succeeds to the principal is not permitted, based on the principal of estoppel and due diligence. Legal effects from the sole succession and the joint inheritance should be distinguished in this case. In the sole succession,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can reject the approval and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has legal effects on the principal. It could be also a reasonable explanation for the situation that a third party succeeds to both the position of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and the principal. As the third party, the succeeder, also succeeds to the position of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as well as the position of the principal, the two positions are connected each other due to succession of both the legal positions. As a result, it is unjustice that the right to reject the approval is recognized as the legal effects belong to the same person. However, unlike the sole succession, in the joint inheritance, as a coheir can not infringe rights of other coheirs, it should be regarded that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would be not naturally valid. Regarding exercising rights related to the joint inheritance, while the agreement of all coheirs is needed as the approving action is a action generating measure effects by making floating invalidity valid (Article 264), rejecting the approval can be done individually because it is an action to maintain status quo, which makes floating invalidity firmly invalid (Article 265). In other words, to approve the action of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the agreement of all the coheirs is needed. While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would not reject the approval, other coheirs could reject the approval. When the other party request observance of a contract but the coheirs reject the approval,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has only share for legal allocation of the inheritance and the legal effects before the separation of the inheritance will differ from those after the separation of the inheritance. Also, in case of the principal succeeding to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there are three theories; theory of natural validity, theory of possibility of rejection of approval and theory of compromise which admits the rejection of approval for specific kinds of credit, otherwise regards the non authorized action as a naturally valid action. There is no juridical precedent for this case. The case that the principal is a succeeder should be differ from the case that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is a succeeder. In this case, as the principal is not a person doing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there is no reason that the principal is reliable for the action. Therefore, the principal can exercise the right to approve as well as the right to reject the approval. When the approval is rejected, he may be reliable for obedience or compensation for the damage. Although it is not the case the position of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and the principal belong to the same person, there is the case that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acquires the right to represent and the objects of the action after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as a exceptional discussion about the case that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has effects on the principal. First, in case of acquiring the right to represent, in voluntary representation, if the principal does not recognize there is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and he/she acquires the right, he/she can approve or reject the action. Otherwise, as acquiring the right is regarded as approval of the unauthorized representation, the principal can not reject to approve it. Although, basically, the legal representative has the right to approve and the right to reject the approval, limita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due diligence will be applied to the specific case. There are two opinions regarding the case that objects of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is acquired; the opinion that it should be distinguished because it is not the case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succeeds to the principal, and the opinion that it should follow the theory of natural validity or non-natural validity because it is similar with the case that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succeeds to the principal. However, the right to approve can not be allocated to someone who are not qualified and do not have a legal base by arbitrary interpretation as it is a Gestaltungsrecht (the right to change the legal relationship) which is given to a person who is qualified according to the certain legal base. As a result, in this case, as the succession described in the above, it can not be solved as connection or coexistence of positions because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does not succeed to the position of the principal. Although it has a similar appearance with the case that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succeeds to the principal, only property right of the objects of the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transfers from the principal to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and the other party's claim of observance to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observance of objects acquired) is simply easier by such transfer. In sum up, in representation without authority of a contract, issue of legal position of the non-authorized representative and the principal belonging to the same person requires an individual decision whether both positions is confused and connected or coexisted in a specific case as the area crossing property law and succession law. All the principle of equity and due diligence can be considered as the standards of the decision.;민법은 표현대리라고 볼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무권대리라 하여, 본인에 대하여 효과가 발생할 수 없다고 규정한다(민법 제130조). 그러나 무권대리행위라도 본인에게 이익이 되는 동시에 본인과의 사이에 법적효력을 발생시킬 것을 기대한 상대방의 의사에도 부합하는 경우라면, 본인에게 추인권을 인정하여 무권대리인과 상대방 사이의 계약을 추인하게 함으로써 그 무권대리는 처음부터 대리권을 가진 것과 동일한 효력을 발생하게 하고 있다. 즉, 계약의 무권대리는 본인이 추인함으로써 계약시에 소급하여 본인에 대하여 효력이 있게 된다. 물론 본인은 추인을 거절하여 무권대리행위를 확정적으로 무효화 시킬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본인의 추인권 및 추인거절권은, 계약의 무권대리의 법률효과 중 본인과 상대방 사이의 법률효과로서 특히 「무권대리인과 본인의 법적 지위가 동일인에게 귀속되는 경우」의 법률효과와 관련하여 문제된다. 이는 무권대리인과 본인간의 상속으로 인한 법률관계에서 주로 문제되며, 더불어 무권대리인이 무권대리행위 이후 ‘대리권을 취득하는 경우’나 ‘무권대리행위의 목적물을 취득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선 무권대리인과 본인간의 상속이 문제되는 경우 중 ‘무권대리인이 본인을 상속한 경우’에 있어서 상속으로 인하여 무권대리행위가 당연히 유효로 되므로 더 이상 추인이나 추인거절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당연유효설, 무권대리인의 지위와 본인의 지위가 병존하므로 당연유효로 볼 수 없으며, 다만 신의칙상 무권대리인은 추인거절권을 행사할 수 없다고 보는 추인거절가능설 그리고 단독상속의 경우에는 무권대리행위가 당연히 유효이지만, 공동상속의 경우에는 상속인 전원의 추인이 없으면 유효하게 되지 않는다는 절충설이 존재하며, 판례는 무권대리인이 본인을 단독상속한 경우에 관하여 무권대리행위의 무효를 주장하는 것은 금반언의 원칙이나 신의칙에 반하여 허용될 수 없다고 한다. 그런데 이 경우는 단독상속과 공동상속에서의 법률효과를 구별하여야 한다. 단독상속의 경우 무권대리인은 추인을 거절할 수 없으며, 그 무권대리행위는 본인에게 유효하다. 이는 ‘무권대리인의 지위와 본인의 지위 모두를 제3자가 단독상속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합리적인 해석일 것이다. 왜냐하면 상속인인 제3자는 본인의 지위를 상속함과 동시에 무권대리인의 지위 역시 상속하였으므로 법률상의 양 지위를 승계하여 두 자격이 융합되었고, 이로 인하여 동일인에게 법률효과가 귀속되므로 추인거절권을 인정하는 것은 부당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동상속의 경우는 단독상속의 경우와 달리, 다른 공동상속인의 권리를 침해할 수 없으므로 무권대리행위가 당연히 유효하지는 않다고 보아야 한다. 이에 따른 권리 행사와 관련하여서는, 추인행위는 유동적 무효를 유효화하는 처분적 효과를 생기게 하는 행위이므로 전원의 동의를 필요로 하지만(제264조), 추인거절은 유동적 무효를 확정적 무효로 하는 현상유지적 행위라 할 수 있으므로 각자가 단독으로 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제265조 참조). 즉 추인을 하기 위해서는 공동상속인 전원의 동의가 필요하며, 무권대리인은 추인을 거절할 수 없지만 다른 공동상속인은 추인을 거절할 수 있다. 상대방이 이행을 청구하였으나 공동상속인이 추인을 거절한 경우, 무권대리인은 자기의 법정상속분에 응하는 지분권만을 보유하며 유산분할 전·후에 있어서 각각 법률효과가 달라진다. 본인이 무권대리인을 상속한 경우 역시 당연유효설, 추인거절가능설 및 특정물채권인 때에는 추인거절을 인정하고 그 외의 채권인 때에는 당연유효로 된다는 절충설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여기에 관한 판례는 아직 없다. 본인이 상속인이 된 경우는 무권대리인이 본인을 상속한 경우와는 달리 보아야 한다. 이 경우 본인은 무권대리행위를 한 자가 아니어서 그 책임을 질 이유가 없다. 따라서 그는 추인뿐만 아니라 추인거절도 할 수 있고 추인을 거절한 때에는 이행 또는 손해배상책임도 진다고 할 것이다. 무권대리인과 본인의 지위가 동일인에게 귀속하는 경우라고 할 수는 없지만, 무권대리행위가 본인에게 예외적으로 유효한 경우의 논의로서 무권대리행위 이후 무권대리인의 대리권 취득과 무권대리행위의 목적물 취득의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먼저 대리권 취득의 경우, 임의대리의 경우는 본인이 무권대리행위가 있었음을 모르고 수권을 하였다면 추인 또는 추인거절을 할 수 있지만, 알고 수권한 경우에는 무권대리행위의 추인으로 해석되므로 추인거절을 할 수 없다. 법정대리인이 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본인은 추인권과 추인거절권을 갖지만, 구체적인 경우에 있어서 신의칙에 따른 제한이 있다. 무권대리행위의 목적물을 취득한 경우는 무권대리인이 본인을 상속한 경우가 아니므로 달리 보아야 한다는 견해와, 이 경우 역시 무권대리인이 본인을 상속한 경우와 유사한 경우로서 기술한 당연유효설 혹은 비당연유효설을 따라야 한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그러나 추인권은 일정한 자에게 법률상 일정한 근거에서 주어지는 형성권이므로, 그러한 자격과 법률상 근거가 없는 자에게 자의적으로 유추하여 부여할 수 없는 것이다. 즉, 이 경우에는 본인의 지위를 상속한 것이 아니므로, 앞서 언급한 상속의 경우와 같은 지위의 융합 또는 병존의 문제로 해결할 것이 아니다. 비록 무권대리인이 본인을 상속한 경우와 유사한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하더라도 무권대리행위의 목적물의 소유권이 본인으로부터 무권대리인에게 이전된 것일 뿐이며, 그로인해 상대방의 무권대리인에 대한 이행청구가 좀 더 용이(그 취득한 목적물의 이행청구)해졌을 뿐이다. 결국 계약의 무권대리에 있어서 본인과 상대방 사이의 법률효과로서 추인권 및 추인거절권과 관련한 무권대리인의 법적지위와 본인의 법적지위가 동일인에게 귀속하는 경우의 문제는, 재산법 규정과 상속법 규정이 교차하는 영역으로서 구체적인 경우에 양 지위가 혼동·융합되는지 아니면 각각의 지위가 병존하는지에 대한 개별적 판단이 필요하며, 그 판단의 기준으로서 당사자간의 형평과 신의칙을 모두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