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3 Download: 0

조음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말운동통제 보상능력 및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 비교

Title
조음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말운동통제 보상능력 및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compensation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and ability of speech motor programming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s
Authors
송윤경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In the clinical practice, significant numbers of children with speech disorders do not have a clear etiology, and are usually referred as a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In such cases,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any structural deformity or any other symptoms which could have derived from significant neurologic deficiency. Diagnosis of articulation disorders is generally based on the use of standardized test battery which shows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error pattern, and tendency of phonological process. These references are compared with the chronological age to determine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the patients' deficits. However, evaluation through the standardized test battery does not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tiology or related factor. Although, the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is suspected to originate from the malfunction of physiologic aspect in the speech processing,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etiology or related factor even after the diagnosing process. In the speech process, content should be structured during the arrangement of utterance, and requires analysis of which speech sound chain constitutes the utterance, and finally requires directing process of the muscle contraction which is needed to adequately produce the sound. Out of these steps, motor control step for speech sound production and speech motor programming step which directs the muscle contraction have rarely been studied previously. Moreover, previous study covering these steps to determine the etiology or related factor of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is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physiologic etiology or 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speech processing by analyzing the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and ability of speech motor programming in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Study subject was constituted of 35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and 35 children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 whose age ranged from 5 to 6 years and lived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area. The groups had the same female to male ratio. All the study subjects in the both groups were free of development disorder, sensory disorder, emotional disorder, and structural or functional disorder in the articulator. Also, the subjects were in the normal range with picture vocabulary test. Urimal -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was used for classifying the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standard deviation with -2 or less was considered as articulation disorder whether standard deviation with -1 or more as normal. Two tasks were considered in the study. For the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compensation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was measured and analyzed in order to indirectly interpret the parameter. To acquire the data, subjects were asked to rapidly repeat /pha/, /tha/, /kha/, /phathakha/ diadochokinetic movement while mandible was free and mandible was stabilized with bite block. For the task of analyzing ability of speech motor programming, subjects were asked to repeat each words and nonwords rapidly. Words applied in the task are those acquainted with 5 to 6 year old children; six 2 syllable and 3 syllable words which does not include /c, c', ch, s, s', ɼ/. Nonwords are formed from previously selected words by vowel modification under the phonetically balanced matter. In the first task, time needed to repeat one syllable for 15 times, or three syllable for 5 times were measured. Also number of articulation error during the repetition was counted. And in the second task, time needed to repeat words and nonwords for 5 times were measured. Also number of articulation error during the repetition was counted. Data was acquired using Multi-Speech Main Program taken by Multi-Speech Model 3700(KAY) loaded on SONY Notebook(VGN-S36LP). Required time was assessed by drawing the wide band spectrograph and number of articulation error was assessed by repeated listening. To compare the performance between the groups, required time and number of articulation error during mandible free state and mandible stabilized with bite block state were assessed and their difference was compared with independent t - test. And also, required time and number of articulation error in each repetition with words and nonwords were evaluated and their difference was compared.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analysis of task performance with compensation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revealed significantly greater difference in required time for repeating 4 different diadochokinetic movement between mandible free and stabilized state compared to the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 group.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rticulation error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found during the mandible free state. However, after the stabilization of mandible, significantly more articulation errors were made in the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With task performance related to the ability of speech motor programming, there revealed significantly greater difference in required time of repeating words and nonwords in both 2 syllables and 3 syllables among the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Also, children with the articulation disorder showed larger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rticulation error during words and nonwords repetition compared to the children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compensation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or ability of speech motor programming in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was analyzed.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the two parameters was irrelevant. These aforementioned results all points out to the fact that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have poor compensation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and poor ability of speech motor programming compared to the children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 But, judging from the correlation results, those poor ability does not have any relation with the severity of articulation disorder, and suggests that these results reflect either general 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This study suggests that poor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and/or poor ability of speech motor programming can act as etiology or related factor in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Furthermore, by reviewing the individu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e study suggest that some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could be classified into cases with poorer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or poorer ability of speech motor programming. Therefore, classification within the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to specific subtypes could be possible, and the classification is expected to provide more benefits and assistance in the therapy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임상에서 만나게 되는 다수의 말장애 아동은 그 원인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흔히 기능적 조음장애라고 불린다. 이 경우는 눈에 띄는 구조적 결함도 없고, 확실한 신경학적 결함을 의심할 만한 마비나 기능이상을 찾기도 어렵다. 조음장애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조음음운검사 도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보통 그 결과 자음정확도, 그리고 오류패턴 또는 음운변동 양상의 특성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생활연령에 비교하여 장애의 유무 및 그 정도를 파악한다. 그러나 표준화된 검사 도구를 사용한 평가 결과는 그 원인 또는 관련된 요소에 대한 정보를 주지는 못한다. 기능적 조음장애는 말처리 과정의 생리적 차원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추정은 하지만, 진단과정을 거치고 나서도 그 원인 또는 관련된 특성이 어떤 것인지 알기 어렵다. 말이 산출되기 위해서는 발화를 기획하는 과정에서 내용을 정하고, 그 발화가 어떤 소리의 연쇄들로 구성되는가를 결정한 뒤에, 그 소리가 적절히 산출될 수 있도록 근육의 움직임을 지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중에서 말소리 산출을 위한 근육운동의 통제, 그리고 그 근육운동을 지시하는 말운동 프로그래밍 과정에 대한 선행연구는 드물고, 특히 기능적 조음장애의 원인 또는 관련된 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 영역을 평가해 본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적 조음장애아동의 말운동통제 능력과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을 파악하여 이들이 가진 말처리 과정에서 생리학적 차원의 원인, 또는 관련된 요소들의 일부를 추론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만 5세와 6세의 서울, 경기 지역 거주 아동으로 연령과 성별의 비율을 같게 분포시킨 조음장애아동 35명과 비장애아동 35명으로 하였다. 조음장애집단과 비장애집단 모두 발달장애, 감각장애, 정서장애 및 조음기관의 구조적, 기능적 장애를 갖고 있지 않고, 그림 어휘력 검사 상 정상 범위에 속하였다. 우리말 조음음운 평가 결과 자음정확도가 -2 표준편차 이하에 속하는 아동들은 조음장애집단에 해당하였고, -1 표준편차 이상에 해당하는 아동들은 비장애집단에 해당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과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었다. 먼저 말운동통제 능력은 말운동통제 보상능력을 살펴봄으로써 간접적으로 유추해보기로 하였는데, 이를 위한 과제는 개구장치를 입에 물기 전 후에 /파/, /타/, /카/, /파타카/ 길항반복운동을 빠르게 반복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을 보는 과제는 단어와 비단어를 각각 빠르게 반복하는 것이었다. 과제에 사용된 단어는 5세와 6세 아동이 익숙하게 사용하는 단어로, /ㅈ, ㅉ, ㅊ, ㅅ, ㅆ, ㄹ/가 포함되지 않은 2음절 단어 6개와 3음절 단어 6개였다. 비단어는 이미 선택한 단어를 음성학적으로 균형을 맞추어 모음만을 변형시켜 만들었다. 두 과제 모두 정해진 횟수를 반복하는 동안 소요된 시간과 그 반복 동안에 나타난 조음오류수를 측정하였다. SONY Notebook(VGN-S36LP)에 Multi-Speech Model 3700(KAY)을 탑재하여 Multi-Speech Main Program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광대역 스펙트로그래프를 그려 소요시간을 파악하고, 반복하여 들음으로써 조음오류수를 파악하였다. 두 집단의 수행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된 두 집단의 t 검정으로, 개구장치를 물기 전의 소요시간과 조음오류수, 물고 난 후의 소요시간과 조음오류수를 구하고 그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또 단어를 반복할 때에 소요된 시간과 그 때에 나타난 조음오류수, 비단어를 반복할 때에 소요된 시간과 그 때에 나타난 조음오류수를 구하고 그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말운동통제 보상능력에 대한 분석 결과, 조음장애집단은 턱 고정 전 후 네 가지 길항반복운동 소요시간 변화에서 모두 비장애집단에 비하여 더 큰 변화를 보여주었다. 또한 조음장애집단은 턱 고정 전의 조음오류수는 비장애집단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턱 고정 후 비장애집단에 비하여 더 많은 조음오류수를 나타내었다. 두 번째,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에 대한 분석 결과, 조음장애집단은 단어와 비단어 반복에 소요된 시간변화에서 2음절과 3음절 모두 비장애집단보다 더 큰 변화를 보여주었다. 또한 조음장애집단은 단어와 비단어 반복에 나타난 조음오류수의 변화에 있어서 비장애집단보다 더 많은 변화를 보였다. 세 번째, 조음장애아동의 자음정확도와 말운동통제 보상능력 및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의 상관분석 결과, 두 가지 능력 모두 자음정확도와는 상관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조음장애집단의 아동들이 비장애집단의 아동들보다 말운동통제 보상능력과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에 취약성이 있음을 제시해준다. 그러나 상관결과를 보면 조음장애아동들의 이러한 취약성이 조음장애의 중증도와는 상관이 없으며, 조음장애아동의 전반적인 특성이거나, 혹은 개별적인 특성이 반영된 것임을 짐작하게 해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말운동통제 능력의 취약성 또는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의 취약성이 기능적 조음장애의 원인 또는 관련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개별적인 수행력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일부 조음장애아동은 말운동통제 보상능력이나 말운동프로그래밍 능력에 특별히 더 취약성을 보이는 경우로 나눌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점은 기능적 조음장애집단 내에서도 하위유형의 분류가 가능하다는 것을 말해주며, 이러한 분류는 다양한 측면에서 조음장애아동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제시해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