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9 Download: 0

이반 볼랜드의 시에 나타난 잃어버린 땅 되찾기

Title
이반 볼랜드의 시에 나타난 잃어버린 땅 되찾기
Other Titles
Reclaiming the Lost Land in the Poetry of Eavan Boland
Authors
최지은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explores an Irish woman poet, Eavan Boland’s search for her identity as an Irish woman poet overcoming double estrangements generated by the British colonial system and its aftermath and by the Irish patriarchal system. Boland, while searching for her identity through poetry, reclaims the “lost land,” which means both “Ireland” that has been oppressed by the British empire and a “room of women’s own” that has not been allowed by the Irish patriarchy. In doing so, she tries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the imperial system between England and Ireland and the patriarchal system between man and woman within Ireland, finally getting over the double-layered alienation to create an imaginary land for Irish woman poets. The second chapter examines Boland’s sense of crisis in terms of the national and gender identity by focusing on the double alienation that she experienced when she was in England as an Irish child and when she was in Ireland as a woman poet. The third chapter explores Boland’s attempt to de-mystify the imperial and patriarchal myths repressing and consequently disfiguring Irish woman to destruct the oppressive boundaries of nation and gender. The fourth chapter reveals Boland’s reconfiguration of Irish his/her-story with emphasis on her re-entering the imaginary world of poetry where women can share the sense of solidarity and where history and her-story coexist. Reclaiming the lost land as an Irish woman poet, Boland re-constructs a new form of national and gender identity.;본 논문은 아일랜드의 여성시인 이반 볼랜드(Eavan Boland 1944~ )가 아일랜드 인으로서 영국의 식민 체제 및 그 여파에 의해, 그리고 동시에 여성으로서 아일랜드의 가부장적 체제에 의해 이중적으로 소외된 상태를 극복하며 아일랜드 여성 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찾는 과정을 밝혀보고자 한다. 즉, 볼랜드는 자신의 시를 통해 제국에 의해 억압되어왔던 아일랜드라는 공간, 그리고 남성 중심주의에 의해 배제되어 왔던 아일랜드 여성의 공간을 동시에 의미하는 “잃어버린 땅”을 되찾아 아일랜드, 여성, 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추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녀는 영국과 아일랜드 사이의 갈등 관계와 아일랜드 내부에서의 성차에 따른 갈등 관계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아 이중적인 소외 상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Ⅱ장은 볼랜드가 아일랜드 인으로서 어린 시절 영국에 살면서 겪은 소외의식과, 성장한 후 돌아온 아일랜드에서 여성으로 겪은 소외의식을 살펴봄으로써 그녀가 경험한 국가적 정체성 및 여성적 정체성의 위기의 제 양상을 밝혀보고자 한다. Ⅲ장은 이처럼 이중적으로 억압되어 온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볼랜드가 아일랜드 여성의 현실을 구성하던 기존의 가부장적 신화를 탈신화화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Ⅳ장은 볼랜드가 여성이 배제된 기존의 신화 체계에 의해 왜곡된 여성의 모습을 재형상화하고 여성이 배제되어 왔던 아일랜드 역사에 여성들의 이야기를 개입시킴으로써 시를 통해 새로운 아일랜드 역사쓰기를 시도하였음을 밝히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