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면접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의 활용 연구

Title
면접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의 활용 연구
Other Titles
An Applicative Research on the Cyber Self Fashion Coordination System for the Image-Making in Interviews : Focused on Female Interviewee for General Office Job
Authors
이언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Modern society has progressed a high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s a society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knowledge base, and visual communication became very fast and various each other by advanced various digital media and supply. Particularly, in case of corporation, human resource became more important factor with coming of knowledge based society since the subject is human to intensify competitiveness. To hire high creative human resource with positive image and humanity, corporation is changing from a written examination to test knowledge only in the past to hiring system to evaluate humanit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job interview is weighing more, and interview type is also being various and complicated. The interview is a chance to appeal one's own character strongly to the person of human resource team for short time, first feeling and image as a Primacy Effect give major effect to oneself.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image as a distinguished strategy of self expression in interview is becoming to major factor seriously that impacts to get job, and more effective image making way is needed to appeal one's own positive image. Modern young candidates preparing job searching, those who are familiar with computer, are getting various and much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various web service research is progressed actively in fashion. Considering this, the application of fashion coordination by using web is ideal way, but current most web sites are focused on simply predicative coordination information and virtual model creating and idea, so it's a not enough situation to produce correspond to situation by acquiring total coordin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P.O. concept and image. Therefore, this research purpose is to make the way of fashion coordination for image making systematic in academy, and to develop contents of cyber self fashion coordination system for interview image making and to implement we site. For these, studied design feature about interview cloths, and researched appeal way correspond to body and face type. It is able to advance the capacity of self image making increase through realize cyber self fashion coordination for systemic interview image making by using virtual space to job candidates, and hereafter is expected to be an useful information supply in interview fashion image making. The research scope is general office job, which is interview situation in woman student of university who is easy to appeal expression of change of fashion coordination factor. To analyze design feature of interview clothes, used visual material is selected diagram that was written in literature of fashion design(2007) by Sunggy Han and Eyoung Kim, and the hue and tone of color is selected Hue & Tone 120, and the photo of planning and design and fashion stylist of textile and is selected in pattern. The research method is that analyze fashion magazine, job portal site and image making site, internet web site of fashion and coordination specialized with literaute of inside and outside and medium material,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practical and multiply like interview with candidate and person in charge of interview in human resource team of corporation and fashion specialist and 1 & 1 interview and visiting and investigation of participating in image making program. Based on analyzed result, made and cooperated and purchased real interview clothes, made mannequin directly as a 6 virtual model considered body type & style and took a photo by putting on clothes. The total 138 clothes taken a photo are operated by 2D image, and 6 mannequins made are operated by illustration so finished virtual model. Also, investigated preference of web site from job searcher and developed contents of cyber self fashion coordination system and implemented web site for interview image making. Through implemented web site, put cyber self fashion coordination system into job searcher in real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The research result is summarized like below. First, image is divided to internal image and outer image largely, and Mind Identity(M.I) is included into internal image as a emotional factor like confidence and friendly feeling, and defined outer image for voice factor like voice and pronunciation and behavioral identity(B.I) including behavioral factor like attitude and expression and visual identity(V.I) like image, clothes and hair, make up because those are related to shape. Second, reflection rate of interview in person of responsible in corporation is 68.97% so that catch the importance. Among factors of reflection in interview, it was evaluated that outward appearance(31.03%) and etiquette(31.03%) are most important, and among those, reflection rate of clothes appearance is evaluated the highest by 65.52%. Therefore, to make good image of interview, it is needed advanced outward image, and it is needed to appear proper clothes going well with oneself and needs image making. Thir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image making is to make up internal and outer factors by individual character while job candidates had low recognition of one's own body and face type in right interview image making and choice of clothes. Therefore, fashion coordination information is needed by body and face type and choice of clothes and I can catch up the needs of supply of cyber self fashion coordination information program considered that most using of information of job searcher is internet. Fourth, through investigating by interview with persons of responsible in human resource of corporation to develop the interview cyber self fashion coordination system, selected proper clothes in image making of interview by total 23 suits including jackets 6, shirts & blouses 6 and skirts 6, pants 5, those design feature are below. In items, jackets are tailored jacket, tuxedo jacket, channel jacket, eaton jacket, blazer jacket and shirts & blouses are button shirts, dress shirts, shirts waist blouse, bow blouse, gibson blouse, and skirts are tight skirt, A line skirt, goword skirt pleats skirt, flared skirt, and pants are strait pants, boots cut pants, angle pants in turn. Color is used by Hue & Tone 120 chart and evaluated, and most are preferred by an achromatic color that feels modern and specific image except for shirts & blouses. Navy & black color are appeared mostly that feels conservative and powerful, and gray that feels polished and high class, white that feels clean and bright, and beige that feels worm and flexible, those color are evaluated as a proper color. In shirts & blouses, there are many whites, and blue & pink and yellow that gives bright image are preferred as a point color in achromatic suit. Pattern is restricted and expressed by mostly solid, pin stripe and stripe of choke stripe, basket check. Fifth, made and operated and took a photo directly clothes 23, 6 body type of standard, triangle, inverted triangle, rectangular, hourglass, circle and 6 face type of egg, circle, triangle, inverted triangle, long type, those which are suitable for selected interview image making. As a result of modern image making application practice investigation, and 3D image expression is difficult too big to transect in speed and traffic in web , and in case of clothes mapping coordination, as 2D is more applicative so made it based on 2D image. Based on this, structured contents that have the function of prior setting, master coordination and etiquette learning, consulting according to major function and clothes oriented of user member information, user body information, category & preference, self codi, point giving and portfolio of cyber self fashion coordination system for interview image making. Sixth, implemented web based on investigated preference result according to structure and design of web for job searcher. Seventh, validate the effectiveness from gob searcher by executing cyber self fashion coordination web site for completed interview image making. That result of 5 candidates of job searcher, is 4 candidates are increasing gradually the point of cyber self fashion coordination except for 1 candidate, so I can find out that interview image making capacity is increasing by cyber self fashion coordination system. This research services basic information to job search student that have impact from image making through contents and web site of cyber self fashion coordination for interview image making, and it will contribute to increase capacity of self image making by suppling optimized fashion coordination service. Also, considering that modern young generation is familiar with computer and they have much concern for own image and have impact much from media, make it possible to express positive image in health cyber environment by suppling program of cyber fashion coordination, and expects that will contribute to make right clothes living culture.;현대 사회는 지식정보·지식기반 사회로서 사회 전반에 걸쳐 정보화가 고도로 진척되고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과 보급으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이 매우 빠르고 다양해졌다. 특히 기업의 경우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로 말미암아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적 자원은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긍정적인 이미지와 인성을 지닌 창의성 높은 인적 자원을 선발하기 위해 과거 단편적인 지식만을 평가하는 필기시험에서 벗어나 인성을 평가할 수 있는 채용 제도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취업 면접의 비중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면접의 형태도 다양하고 복잡해지고 있다. 면접은 주어진 짧은 시간동안 인사담당자에게 자신을 가장 확실하고 특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회가 되며, 초두 효과(Primacy Effect)로 인해 첫인상과 첫 이미지가 전체 자신의 이미지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면접에 있어 자기표현의 차별화 전략인 이미지의 적절한 표현은 취업의 당락에 영향을 끼치는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자신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이미지메이킹 방법이 요구된다. 컴퓨터와 친근한 젊은 층의 취업 준비생들은 많은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얻고 있으며, 패션 분야에 있어서도 다양한 웹 서비스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웹을 통한 패션 코디네이션 활용이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나 현존하는 대부분의 웹 사이트들이 단편적인 서술형의 코디네이션 정보, 가상 모델의 생성과 착의에 중심을 두고 있어 T.P.O.나 컨셉, 이미지에 따른 총괄적인 토탈 코디네이션 정보를 습득하여 상황에 어울리도록 연출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패션 코디네이션 방법을 보다 학문적으로 체계화시키고, 면접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의 콘텐츠 개발 및 웹 사이트 구현하여 취업 준비생의 셀프 이미지메이킹 향상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면접 의상에 관한 디자인 특징을 살펴보고, 체형과 얼굴형에 맞는 면접 이미지메이킹의 연출 방법을 모색하여 취업 준비생들에게 가상공간을 이용한 체계적인 면접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셀프 이미지메이킹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향후 면접 패션 이미지메이킹에 유용한 정보 제공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범위는 일반 사무직의 면접 상황으로 설정하고, 패션 코디네이션 요소의 변화 표현이 용이한 여대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면접 의상의 디자인 특징 분석을 위해서 사용된 시각적 자료는 한성지·김이영의 패션 디자인(2007)의 문헌자료에 수록된 도식화를, 색상은 Hue & Tone 120 색상·색조 차트, 문양은 텍스타일 기획과 디자인, 텍스타일 패션 스타일리스트의 사진 자료를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문헌자료와 매체자료를 중심으로 패션 잡지, 취업 포탈 사이트, 이미지메이킹 사이트, 패션 및 코디네이션의 전문 인터넷 웹 사이트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취업 준비생, 기업 인사과 면접 담당자, 패션 전문가 집단의 설문 조사 및 1 : 1 면접 조사, 방문 조사,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참여 조사 등 실질적으로 다각적인 조사?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면접 의상을 제작·협찬·구입하였으며, 체형과 얼굴형을 고려한 6가지 형태의 가상 모델이 될 마네킨을 직접 제작하고 의상을 착의시켜 사진 촬영 하였다. 촬영된 총 138벌의 면접 의상을 2D 이미지로 포토샵 작업하였으며, 제작된 6가지의 마네킨은 일러스트로 작업하여 가상 모델을 완성하였다. 또한 취업 준비생들에게 웹 사이트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면접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의 콘텐츠 개발 및 웹 사이트를 구현에 활용하였다. 구현된 웹 사이트를 통해 취업 준비생들에게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을 실제로 실행하여 그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정리 할 수 있다. 첫째, 이미지는 크게 내적 이미지와 외적 이미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마인드 아이덴티티(M.I)는 자신감, 친근감 등의 정서적 요소로서 내적 이미지에 포함되고 목소리, 발음 등의 음성적 요소, 자세, 표정 등의 행위적 요소를 포함하는 행동적 아이덴티티(B.I)와 인상, 의상, 헤어·메이크업 등의 시각적 아이덴티티(V.I)는 겉으로 나타나는 행동이나 형상에 관한 것이므로 외적 이미지로 정의하였다. 둘째, 기업의 인사과 면접 담당자들은 취업 시 면접 반영 비율이 68.97%로 나타나 면접의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면접 반영 요소 중에서는 외모(31.03%)와 에티켓(31.03%)이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의상 연출 반영 비율이 65.52%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좋은 면접 이미지 형성을 위해서는 외적 이미지 향상이 요구되며, 본인에게 적합한 의상 연출 및 이미지메이킹이 필요하였다. 셋째, 이미지메이킹에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개인의 특징을 살려 알맞은 내적?외적 요소를 보충시키는 것임에 반해 취업 준비생들은 올바른 면접 이미지메이킹에 있어 본인의 체형이나 얼굴형에 관한 인지 및 의상 선택에 관한 인식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형과 얼굴형, 의상 선택에 따른 패션 코디네이션 정보가 필요하며, 취업 준비생들의 정보 이용의 대부분이 인터넷임을 착안하여 웹 사이트를 통한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의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면접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업 인사과 면접 담당자들과의 면접조사를 통해 재킷 6벌, 셔츠 & 블라우스 6벌, 스커트 6벌, 팬츠 5벌로 총 23벌의 면접 이미지메이킹에 적합한 의상을 선정하였으며, 그 디자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아이템 중 재킷은 테일러드 재킷, 턱시도 재킷, 샤넬 재킷, 이튼 재킷, 블레이져 재킷이었고, 셔츠 & 블라우스는 버튼 다운 셔츠, 드레스 셔츠, 셔츠 웨이스트 블라우스, 보우 블라우스, 깁슨 블라우스로, 스커트는 타이트 스커트, A라인 스커트, 고어드 스커트, 플리츠 스커트, 플레어 스커트, 팬츠는 스트레이트 팬츠, 부츠컷 팬츠, 앵클 팬츠 순으로 선정되었다. 색상은 Hue & Tone 120 색상?색조 차트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는데, 셔츠 & 블라우스를 제외한 대부분은 현대적이고 전문적인 이미지를 주는 무채색이 선호되었다. 보수적이고 권위적인 느낌을 주는 네이비와 블랙 색상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그레이와 깨끗함과 선명한 느낌의 화이트, 온화함과 융통성의 이미지를 갖는 베이지 등이 알맞다고 평가되었다. 셔츠 & 블라우스는 화이트가 가장 많았고, 화사한 이미지를 주는 블루와 핑크, 옐로우 색상은 무채색 수트에 포인트 색상이 되어 선호되었다. 문양은 대부분 솔리드 문양과 핀 스트라이프, 초크 스트라이프의 스트라이프 문양, 바스켓 체크 문양으로 극히 제한되게 표현되었다. 다섯째, 선정된 면접 이미지메이킹에 적합한 의상 23벌과 표준형, 삼각형, 역삼각형, 직사각형, 모래시계형, 둥근형의 6가지 체형, 계란형, 둥근형, 사각형, 삼각형, 역삼각형, 긴형의 6가지 얼굴형을 직접 제작?시술하여 촬영하였다. 현대 이미지메이킹의 활용 사례 조사 결과 3D 이미지 표현은 웹상에서 처리하기에 그 용량이 커서 구동속도와 트래픽 처리 능력에 어려움이 있으며, 의상 맵핑 코디네이션의 경우 2D가 더 활용도가 높으므로 2D 이미지 기반의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면접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의 사용자 회원 정보, 사용자 신체 정보, 분류 및 편향, 셀프 코디, 점수 부여, 포트폴리오의 주요 기능과 의상 중첩에 따른 우선순위 설정 기능, 마스터 코디, 에티켓 학습, 컨설팅의 부가 기능을 지닌 콘텐츠로 구성하였다. 여섯째, 취업 준비생들을 대상으로 한 웹 사이트의 구성 및 디자인에 따른 선호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웹 사이트를 구현하였다. 구현된 웹 사이트의 주소는 http://fashionimage.ewha.ac.kr이며, 사이트의 구성은 ABOUT US, INTERVIEW, SELF COORDINATION, TESTING & CONSULTING, PORTFOLIO, BOARD로 구성하여 면접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 및 절차, 면접 의상 코디네이션 연출 방법, 면접에 필요한 에티켓 등에 관한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하였다. 일곱째, 완성된 면접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웹사이트를 통해 취업 준비생에게 셀프 코디네이션을 실행 하도록 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5명의 취업 준비생들의 실행 결과 1명을 제외한 나머지 4명의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의 점수가 점차 향상되고 있어 이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을 통해 면접 이미지메이킹의 능력이 증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미지메이킹의 효과에 크게 좌우하는 취업 준비생들에게 면접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사이버 셀프 패션 코디네이션 콘텐츠 및 웹 사이트를 통해 기초 정보를 제공하며, 최적의 패션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여 셀프 이미지메이킹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컴퓨터와 친근함을 지닌 현대 젊은 층들이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관심이 많고 대중매체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점을 고려할 때, 사이버 패션 코디네이션과 같은 프로그램의 보급으로 건전한 사이버 환경 속에서 긍정적인 이미지 표현을 가능하게하며 올바른 의생활 문화 형성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