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스타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 디자인 개발

Title
스타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 디자인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utilizing The Star Image
Authors
이지은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는 대중매체와 인터넷의 발달 등으로 다양한 이미지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매체의 발달로 인해 이러한 이미지는 문화 콘텐츠로 자리 잡게 되었다. 매체 속 스타는 이미지의 주체로서 노출빈도가 높기에 대중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특히, 스타 이미지는 유행을 선도하며 스타를 패션 아이콘 또는 패셔니스타로 등장시켰다. 여기에 사회문화적 신드롬 현상인 워너비 현상과 맞물려 새로운 패션문화를 형성하게 되면서 스타는 패션을 리드하는 것에서 발전하여 그들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디자인을 전개하는 등 패션이미지를 상품화 시키고 있다. 이러한 잠재력을 지닌 스타 이미지를 활용하여 스타마케팅의 새로운 방법으로 발전시키고 영향력이 큰 스타들을 모방하고자 하는 타겟층을 겨냥한 스타 이미지를 활용한 디자인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타의 개념 및 스타패션의 기능에 대해 고찰하고, 워너비 현상의 개념과 확산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스타 이미지가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스타의 이미지가 패션브랜드 내에서 어떻게 연계되어왔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전개되고 있는 기존의 스타 이미지를 바탕으로 한 브랜드 내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 및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스타는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연기자, 가수 등 연예인이나 운동선수를 의미하는데, 스타의 의미가 확대되면서 유명인사를 뜻하는 셀러브리티나 사회적 우상 역시 포함되고 있다. 스타는 대중들의 패션을 선도하는 패션 아이콘으로 불리며, 스타패션은 매체 속 영상구성의 기능, 이미지메이킹의 기능, 유행선도의 기능을 수행하며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였다. 둘째, 스타패션이 대중들의 소비문화를 변화시킨 데는 워너비 현상이라는 사회문화적인 현상이 존재한다. 워너비는 ‘무엇인가 되고 싶다’ 라는 뜻의 영어‘Want to be’를 연음 발음한 것으로 스타를 관찰하고 동일시되고 싶어 하는 사회․문화적 신드롬을 나타낸다. 이러한 워너비 현상은 엔터테인먼트의 발전, 대중소비의 증가,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인해 확산되었고 대중의 소비패턴을 변화시며 중요한 콘텐츠로 대두되었다. 셋째, 대중들에게 영향력이 큰 스타들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패션 브랜드와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는 광고, PPL 등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하거나 기존 브랜드 내 라인전개, 직접 자신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패션브랜드를 전개하는 직접참여의 방식으로 나타나며 대중과 패션산업 간의 연계관계를 맺고 있었다. 넷째, 스타 패션브랜드는 스타의 이미지를 브랜드에 투영시켜 디자인을 전개하고 있다. 해외의 경우, 매 작품의 캐릭터마다 이미지변신을 해야 하는 배우들에 비해 가수는 뮤직비디오라는 매체를 통해 일관된 이미지를 빠른 시간 내에 각인시킬 수 있어 유행선도력이 큰 장점을 이용하여 가수들의 패션브랜드 진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국내는 아직 배우 중심으로 활성화되어지고 있으며, 가수들은 아직 발전단계에 있다. 2001년부터 제니퍼 로페즈를 시작으로 하여 스타 패션브랜드가 활성화되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2004년 이혜영의 패션브랜드를 시작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국내․외 스타 패션브랜드의 아이템별 디자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슬림 실루엣과 피티드 실루엣이 주로 나타나며 단순화되고, 대중화되어 실루엣이 전개되었다. 컬러는 화려한 스타들의 이미지와는 달리 대중화 시켜 전반적으로 블랙, 화이트, 그레이의 모노톤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소재는 부드러운 소재의 사용이 주로 나타났으며, 디테일 면에서 스타의 이미지를 반영하여 전개되었다. 즉, 스타의 패션이미지를 그대로 반영하되 브랜드화 시킬 경우는 대중들의 취향과 대중성을 고려하여 디자인이 포멀하게 전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위의 도출된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여자가수 중 패션 아이콘 이효리를 선정하여 그녀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Be the Stylish Girl’이라는 컨셉아래 이효리의 섹시하고 캐주얼한 이미지와 매니쉬한 느낌을 더하여 디자인한 비즈니스 캐주얼 2벌, 빈티지하고 섹시한 이미지를 반영한 캐릭터 캐주얼 3벌, 총 5벌의 의상디자인을 제시하였다. 타겟은 그녀의 패션 스타일을 동경하고 모방하는 20대 중반의 사회 초년생들로, 다른 스타브랜드들과는 가격과 퀄리티에 차별화를 두어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는 국내 스타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브랜드 내 디자인 전개를 함으로 스타 마케팅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며, 패션산업과 스타의 연결을 통한 패션시장의 시너지 창출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이상 살펴본 결과, 스타가 이미지를 반영한 패션브랜드 창업 시, 이미지를 반영하되 대중화시켜 포멀하게 디자인을 전개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매 캐릭터 마다 이미지 변신을 하는 배우들에 비해 뮤직비디오 매체 등을 통해 이미지 일관화가 유리한 가수들이 스타 패션브랜드 런칭 시 가수들이 배우보다 유리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아시아권에서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는 국내 스타들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브랜드를 전개할 경우에 시장변화 양상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Diverse images have been being presen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and internet in the 21st centuries and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the images take root as cultural contents. The stars in the media as the subjects of the image have drawn people's interest due to their frequent exposures. Especially, the star image has led fashion and made the stars as a fashion icon or a fashionistar. Since this phenomenon engaging with Wannabe syndrome has molded a new fashion culture, the stars have been developed from leading the fashion into commercializing the fashion image by evolving design via utilizing their image. There is needs for design research which utilizes star fashion image that targets those who would like to copy the fashion image of the stars with a huge influence and which is to develop these potential star image into star marketing as a new tool. Therefore, she has examined the concept of the stars as well as the role of star fashion and also have taken a close look at Wannabe concept and the reason for its proliferation via this study . Also, as the influence of star fashion image on the populace has increased, she has analysed how images of the stars are related in the fashion brand, based on which she has analyzed the design feature in a brand grounded on an evolving existing star fashion image In result, she wa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star means such entertainers as popular actors(actress), singers or the athletes and it also includes celebrities or social idols as the meaning of the star has been extended. The star is called fashion icon leading fashion of the populace and the star fashion have played film making, image making, fashion leading roles. Second, there is Wannabe syndrome as a sociocultural symptom does exist in changing consumption culture of the populace. Wannabe is the contraction of ‘want to be something’, which means a sociocultural syndrome to watch stars and to identify oneself with a star. This Wannabe syndrome has developed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increased the consumption of the populace as well as spreaded due to mass media ending up with the change of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s. Third, the stars with influence on the populace are associated in a direct or indirect way. this has been playing a part of communication between fashion industries and the populace since it was born in a way that evolve fashion brand utilizing advertisement, PPL, line evolvement in the existing brand and self-image. Forth, star fashion brand is evolving design by reflecting the star image into a brand. In case of overseas countries, singers are extending their activity category into fashion industries taking advantage of the power of leading fashion because singers can create and engrave a consistent image via the music video, comparing to actors(actress) who have to change their images depending on each character in every works. On the contrary, fashion brand is dominated by actors(actress) in domestic environment and singers are on a immature stage. Since the case of Jennifer Lopez in 2001, star fashion brand has been activated. In Korea, it has been settled from fashion brand of Lee Hye-Young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sign feature of the items in overseas and domestic star fashion brands, she has found that slim and pitted silhouette were dominant and the silhouette was evolved in a simple and popularized way. The color with a high frequency takes on a popularized monotonous tone such as black, white, gray, which is not congruent with a luxurious star image. Product materials were very soft and they reflect the details of the star image. In other words, design was found to be formally evolved considering the taste and popularity of the populace when the materials were branded literally reflecting stars' fashion image. Fifth, she has suggested a design after choosing a Korea fashion icon Lee Hyo-Ri and analyzed her fashion image based on the above results from the case analysis. Under the concept of ‘Be the Stylish Girl’, she proposed two business casuals that are featured with her sexy as well as casual image plus mannish image and also proposed three character casuals reflecting her vintage and sexy image. The target is those in their twenties who are admiring and trying to copy her fashion style. To meet their needs, the she has designed differentiating in the price and the quality from the other star brands. Finally, she had found the concept of star and the roles of the star fashion as a fashion icon through the analysis. Also, she understood how stars are related to fashion brands as influence of the star image increases and she has studied the design feature of the brand reflecting the star image. Based on what she had found, she had developed fashion design by adopting a domestic fashion icon, 'Lee Hyo-Ri', targeting those in their twenties who are very sensitive to their image and fashion style and longing to be like Lee Hyo-Ri by copying her fashion style. She has suggested a new way of star marketing by proposing a way of designing that utilizes the domestic fashion image and think that it will be helpful for predicting the direction future changes if a brand is evolved the use of star images that has been gaining more influence in Asian count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