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경아-
dc.creator김경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9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1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997-
dc.description.abstract고령화와 더불어 노인의 만성질환 유병율도 증가하고 있다. 노인의 만성질환 중 뇌졸중은 심각한 기능 및 인지 장애를 동반하는 질환으로 그 예방과 재활의 강조되고 있다. 뇌졸중을 앓고 있는 노인의 경우, 기본적인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과 더불어 질환의 특징으로 인해 더욱 사회적 고립감과 우울, 신체 기능의 저하를 경험하면서 삶의 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노인 뇌졸중환자가 받는 사회적 지지와 독립기능수행정도를 평가하고 그와 관련된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독립기능수행, 삶의 질을 평가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소재 1개 종합병원의 신경과, 신경외과 외래환자 88명이며, 자료수집은 2008년 4월~5월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8문항, 질병특성 4문항, 사회적 지지도구 26문항, ADL 14문항, IADL 4문항, 삶의 질 25문항이다. 사회적 지지의 Cronbach's α는 .98, ADL 도구의 Cronbach's α는 .91, IADL 도구의 Cronbach's α는 .94이었고, 삶의 질 도구의 Cronbach's α는 .91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sion 12.0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와 Scheffe 사후검증으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독립기능수행정도, 삶의 질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월소득에 따라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령에 따라 독립기능수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적을수록 독립기능수행정도가 높았다. 편마비가 없는 대상자의 독립기능수행이 편마비가 있는 대상자 보다 높았다. 월소득과 학력에 따라서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의 대상자에서 삶의 질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대상자에서 삶의 질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독립기능수행과 삶의 질,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독립기능수행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노인 뇌졸중환자의 경우 독립기능수행정도가 높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뇌졸중 후 장애를 경험하는 뇌졸중환자에게 독립기능과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간호중재의 개발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ocial support, independent functions,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ople with stroke.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88 elderly who were registered in a neurology and nuerosursury department of the S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May in 2008 using questionnaire. Questionnaire included the instruments by Social support, ADL, IADL & Quality of life. The survey results were analized using the SPSS PC Win 12.0 program, with percentage, mean, standard variation,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s of social support was 3.22 out of 5, ADL and IADL was 75.00 out of 100 and 8.15 out of 12, Quality of life was 3.81 out of 5. Income was associated with social support. Younger age, non-hemiplegia were associated with independent functions. High income, high education, non-hemiplegia were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2.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ocial support and independent functions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ADL and IADL were higher, Quality of life was also higher. Social support was higher, Quality of life was higher too. As a result, social support and independet functions improved quality of life. Thus, efficient and variou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elderly should be utilized, to improve social support, independent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4 II. 문헌고찰 = 6 A. 뇌졸중 = 6 B. 사회적 지지 = 9 C. 독립기능수행 = 13 D. 삶의 질 = 16 III. 연구방법 = 20 A. 연구설계 = 20 B. 연구대상 = 20 C. 연구도구 = 21 D.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23 E. 자료분석 방법 = 23 F.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 24 IV. 연구결과 및 논의 = 25 A. 대상자의 일반적특성 및 질병특성 = 25 B.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독립기능수행, 삶의 질 = 28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 = 30 D.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독립기능수행 = 32 E.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 34 F. 대상자의 질병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 = 36 G. 대상자의 질병 특성에 따른 독립기능수행 = 37 H. 대상자의 질병 특성에 따른 삶의 질 = 38 I.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 독립기능수행,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 39 V. 결론 및 제언 = 40 참고문헌 = 43 부록 = 51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68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뇌졸중환자의 사회적 지지, 독립기능수행과 삶의 질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ocial Support and Independent Functions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dc.creator.othernameKim, Kyoung Ah-
dc.format.pagev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