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4 Download: 0

18세기 이후 배자의 유행과 확산

Title
18세기 이후 배자의 유행과 확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Baeja(Vest)
Authors
이수연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후기부터 현재까지 배자(背子)가 각 시대별로 나타나는 형태와 특징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현재 확산되는 요인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배자는 ‘소매가 없고 깃이 맞닿아 앞에서 마주 여며지는 옷’으로, 이것은 길이에 따라 단배자(短背子)와 장배자(長背子)로 나누어진다. 우리나라의 배자는 고구려벽화에서부터 착용모습이 나타나고 이후 조선후기에 비로소 지금의 단배자 형태로 정착되었다. 조선시대 중·후기 신분제도가 해이해지고 일상복식에 문란현상이 나타나면서 배자는 넓은 신분층에서 다양하게 착용되었으며, 왕실에서도 일상복으로 배자를 착용하였다. 17~18세기의 남성의 배자는 X자로 여미는 형태와 앞이 길고 뒤가 짧은 형태, 반소매와 방령깃 형태 등의 다양한 배자들이 나타났다. 19~20세기 초 남성의 배자는 짧은 단배자 형태로 뒷길이가 앞길이보다 길고 대(帶)로 앞에서 여며 묶게 되는데, 옆선이 당의와 같은 곡선 형태에서 점차 완만하게 변화되었다. 또한 착용연령과 계절에 따라 색상과 소재, 장식에 차이를 보였다. 소재는 명주와 단 등을 사용하여 안감과 배색하였고 누비거나 솜을 두기도 하였으며, 모피를 대어 만든 털배자도 있었다. 회화에 보이는 남성의 배자 착용방식은 두 가지로 저고리 위에 배자를 입는 유형과 포위에 배자를 입는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외 남아의 배자는 돌띠에 금박을 찍기도 하고 자수·조각 잇기·누비 등 다양하게 장식되었다. 조선시대 여성배자에 대한 문헌기록들은 많지 않으나 16세기 말에 출토 유물이 있으며, 이후 18세기에는 각각의 다른 형태로 소량 출토되었다. 19~20세기 초 여성의 배자는 짧아진 저고리 길이에 맞춰 같이 짧아진 형태로서 단(緞)과 사(紗)로 만든 홑?겹배자와 양단에 모피를 대어 만든 털배자가 있었다. 배자는 추운 이북지방에서 일상복으로 입었던 것으로, 이남지방에서 젊은 여성의 배자차림은 점잖지 못하다고 여겨 주로 노인이나 어린이가 착용하였다. 이북지방에서는 모피를 댄 털배자를 주로 착용하였는데 평상시·명절과 혼례시 등 그 착용목적이 다양하였다. 기생들의 배자는 주로 털을 대지 않은 홑·겹으로 저고리 길이에 맞춰 짧게 하여 장식적인 요소로 착용하였다. 개항이후 서양문물이 들어오면서 전통복식에는 조끼가 입혀지기 시작하였다. 양복조끼를 본 따 만든 한복조끼의 형태도 나타나는데, 실용성과 제작방법의 용이성·새로운 의복에 대한 동경 등의 요인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1945년~1960년대는 주로 중년·노인 여성들이 일상생활에서 양단에 모피를 대어 만든 털배자를 착용하였다. 여자아이들은 행사시에 흰털을 댄 배자를 입었다. 1970년~1980년대는 한복이 예복화(禮服化)되는 시기로 새해 명절에 혹은 기업의 명절광고에 여자아이들이 조끼형의 배자를 착용하였다. 80년대 중후반에는 한복디자이너들이 여성한복에 조끼형의 배자를, 남자아이 한복에 전통형 배자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1990년대~2000년대는 세계화?개방화가 되면서 민족의 정체성과 전통을 회복하려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전통적인 한복디자인으로 회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90년대 초중반부터 한복디자이너들이 남녀한복에 전통형의 배자를 제시하기 시작하였고 점차 대중들에게 확산되어 현재는 명절, 행사, 모임, 결혼예복, 돌 복 등 남녀노소 모두 한복에 배자를 착용하고 있다. 현재 배자가 대중들에게 확산되면서 디자인이 다양화되고 화려한 장식 기법들이 나타나고 있다. 남성의 배자는 기본적인 전통형에서 장식 요소들만 변화를 주는 디자인이 대부분이며, 조끼형·답호형·쾌자형 등으로 일부 형태가 변형되기도 한다. 여성의 배자는 변화가 매우 심한데 형태와 장식들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털배자와 털을 대지 않은 배자로 나뉘고 전통적인 형태에서 변화된 조끼형·쾌자형·당의형 등은 길이에 차이를 주기도 하며 다양한 장식 요소들이 사용된다. 배자가 대중들에게 확산된 요인으로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전통에 대한 관심, 대중매체의 영향, 교육의 결과 등을 들 수 있다. 첫째, 21세기 현대인들은 이동이 많은 생활 형태로 변화하면서 활동에 구애 받지 않고 신체를 자유롭게 하는 기능적이고 편안한 의복을 선호하게 되는데, 배자는 고유의 기능성을 바탕으로 패션성까지 가미하여 대중들에게 인기를 끌 수 있었다. 둘째, 세계화·개방화로 인해 문화의 동질화 현상이 일어나면서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민족의 정체성을 찾고자하는 의식을 갖게 되었고,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으며 한복은 복고풍을 띠면서 배자가 인기를 끌게 되었다. 셋째, 대중매체에서 연예인들이 착용하는 의상은 자연스럽게 일반인들에게 전파된다. 한복업체에서 배자를 협찬하는 사례들이 늘어남에 따라 배자는 대중적으로 확산되었다. 넷째, 학계에서도 전통복식에 대한 연구 성과들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를 전시와 도서 출판 등을 통해 대중들이 접할 수 있도록 기회를 늘려가고 있다. 한복디자이너들의 수준도 점차 높아져, 전통복식의 다양한 요소들을 응용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Bae-ja(背子) since late Joseon period and thereupon, and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its popularization today. Bae-ja means a 'clothing' with no sleeves and collars join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Depending on its length, Bae-ja is divided into short one and long one. In Korea, Bae-ja was firstly appeared on Koguryo wall paintings, and short Bae-ja looked like present one was established during late Joseon period. According to the weakening of social class system and confusion of daily costume in mid and late Joseon period, Bae-ja was began to be worn by people from diverse classes, and also was used as daily costume at court. During 17th and 18th centuries, male Bae-ja had various shapes. There were 'X' shape by joining collars, shorter back, half-sleeves, Bangrungbanbee(方領半臂), etc. From 19th to 20th centuries, male Bae-ja was became shorter and its back is shorter than its front. Collars were joined by a belt in the front, and the side line had gradually been changed from the curve like Dang-ui(唐衣) to a more gentle one. In addition, its color tones, fabrics and decorations were differed depending on wearers' age and seasons. Fabrics as Myung-joo(明紬) and Dan(緞) were used by matching colors with lining, and some Bae-ja was closely quilted or supported by cotton. There were also Bae-ja made of fur. Paintings of those days showed various wearing ways of male Bae-ja, and they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two ways. One is wearing Bae-ja over Chogori(赤古里), and another is over Pho(袍). Except for adult one, Bae-ja of boys had a long belt plated with gold, and were decorated diversely with embroidery, patchwork or quilting. Although there weren't many records about female Bae-ja, remains of late 16th century were excavated and few remains of different shapes were excavated at 18th century. By 19th and early 20th century, female Bae-ja was been shorter in accord with shorter Chogori. There were single or multi layered Bae-ja made with Dan and Sa and fur Bae-ja made with Yang-Dan(洋緞) and attached fur on hem. Bae-ja was worn usually in the cold North Korean regions, while it was dismissed as not gentle in the South Korean regions. In the North Korean regions, the fur Bae-ja was worn primarily on such diverse occasions as everyday lives, festive days and wedding ceremony. Gisaeng's Bae-ja was single or multi layered with no fur. It was been shorter in accord with Chogori, and being worn primarily for decoration. After the Western civilization began to be introduced to Korea since opening her door, Chokki and Magoja were begun to be worn over traditional costumes. Hanbok vest imitating the Western vest was appeared and it was quickly spreaded by factors of practicality, easy manufacturing, and yearning for new costume. From 1945 to 1960's, middle-aged and old women worn the fur Bae-ja at daily lives. Girls worn Bae-ja with white fur attached on events. From 1970's to 1980's when Hanbok was begun to be worn for ceremonial events, girls wearing a vest-like Bae-ja were shown on the New Year's Day or business ads for festive days. During mid and late 1980's, Hanbok designers suggested vest-like Bae-ja for female Hanbok and traditional Bae-ja for male Hanbok. In 1990's and 2000's, the social atmosphere for recovery of the national identity and tradition began to be risen by globalization and the open-door principle, and a trend regressing to the traditional Hanbok design was also appeared. Since early and mid 1990's, Hanbok designers began to recommend traditional Bae-ja for both male and female Hanbok, and it was gradually been spreaded among people. Now, people of all ages and both sexes tends to wear Bae-ja over Hanbok on festive days, events, meetings, wedding ceremony and baby's first birthday. Today, as Bae-ja has spreaded among people, diversified and colorful decoration techniques are shown. Most of male Bae-ja are designed to look traditional with its decoration elements varied only, and there are some varied types like 'Chokki, Dappo(?), Que-ja(快子:掛子)'. While female Bae-ja are extremely varied with complicated forms and decorations. Female Bae-ja are largely divided into that with fur and that without fur attached. And 'Chokki, Que-ja, Dang-ui' type varied from traditional one are differed in their length and decorated with diverse elements. The reasons why Bae-ja has spread among people are concerns about tradition, changed life style, influence of mass media and effect of education. First, as the world culture tends to be homogeneous due to globalization and door opening, people are more conscious of the national identity and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Hanbok designs are trending toward to retro style, and that enhances popularity of Bae-ja. Second, as the life style of 21st century has been changed to nomadic one, people tend to prefer functional and comfortable clothes not being restricted by activities and freeing their body. So, Bae-ja could match such modern life style to be popular. Third, the clothing worn by entertainers featured by mass media are merchandised and advertised naturally for the ordinary people. According to the more Hanbok manufacturers has sponsored entertainers, Bae-ja has been more spread popularly. Fourth, the academic community has given more opportunities to people for being close to traditional costume by exhibitions and books, etc. Also the educational degree of Hanbok designers have been gradually higher, and diverse elements of traditional costumes have been more appli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