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미란-
dc.creator최미란-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8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1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877-
dc.description.abstractAfter the perio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20th century, the period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culture has been developed in the 21st century.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was receiving the spotlight as the high-value industry that aimed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through the production of various profit models with one successful content. Especially, with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original comics as the motivating force of the economic development, dramas, movies, and games were manufactured, and the industrial importance was emphasized in the fact that the synergy effect was produced by combining successful drama or movie with the touristic industry or fashion industry. Such synergy effect also appeared in the fashion field; due to the success of a drama or a movie based on the comics as the original story, the fashion of characters in the drama or movie greatly influences the public. Especially,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drama field and the public fashion, and the drama based on the comics was manufactured with the effect of the fashion of characters in comics as well as the structure of the story in the comics. The fashion appeared in the drama sometimes created a new trend by adding practicality and actuality to the imagination of the comics. As the characteristic of the TV, the drama could approach the public more easily and absorb them more strongly, and i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ublic fashion when the specific design or characters' props becomes a tren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various categories of fashion including the coordinator who studies the effect of the fashion of characters in comics on the public fashion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original story using the spreading effect, caused by the industry mobility and easy access, of the comics to the public and proposes the fashion of a drama based on the comics and the fashion style because it had been determined that a research on the connection of the public fashion and the fashion of the comics should be conducted. Also,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that propose the fashion style of the performance art using the original work in other genre and to search for a specialized, new field as a fashion designer. In this research, characteristics of the comics as the high-value cultural contents industry were examined, and cases that were classified into drama, movie, game and other fields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comics as the original story based on the social background where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comics influences the present public culture were analyzed. Especially, the drama field, which has greater effect on the public fashion, was selected, the connection of characters of heroines and their fashion was studied, and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ashion of heroines appeared in the comics and drama was as follows: Firstly, the comics can be defined as the synthetic artistic genre that uses various time and space with the arrangement and connection of blocks, relationship between blocks and a page, connecting pattern of pictures and letter text, and the combination of icons. There are four characteristics of the comics: characteristic as the media to the public, ease of access that can be understood by anyone, complex industrialization, and popularity. These characteristics made the comics to become the center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Secondly, cases classified by drama, movie, game, and other fields based on the comics as the original story were examined. In the movie field, movies such as 'Spiderman' and 'Cat Woman' focused on reproducing the action and scale of the original comics with fantastic images. In the game fiel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game is created based on the comics due to the similar characteristic that the game consists of fantastic images and story with the infinite imagination as the origin. Especially, the expansion of the market can be expected with various industries such as fancy industry using characters in the game. In other fields, the webtoon was introduc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culture, and the comics was developing as the large-scale industry by expanding its market to the online and combining with other media such as game and character industry. Especially, in the drama field, the drama based on the comics as the original story recorded a high viewing rate, and the fashion style of heroines influenced the public fashion along with their popularity. Thirdly, 'Full House', which recorded the highest viewing rate from 2003 to 2008 according to the TNS media Korea(www.tnsmk.com) and AGB Nielsen Research(www.agbnielsen.co.kr) and expanded its market to the foreign nations beyond Korea through industrialization of the original work, has been selected, characters in the comics and drama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requency by classifying the fashion style into silhouette, items based on the silhouette, and details. As the result, the fashion style were classified into 5 types according to the purpose: daily life, leisure, leaving, social life, and visiting. As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ashion of comics and drama, it was confirmed that the fashion style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character though it was divided into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he fashion style that reflects the comics also appeared. From this analysis, the fact that the heroine in the drama was different from that in the original comics was discussed and criticized even from the casting stage, and it could not satisfy the expectation of fans of the original work. Fourthly, based on the result above, the design that applied the modern trend based on the characters and fashion that sufficiently reflect the fashion of the heroine in the original comics was proposed in this chapter. Characters and fashion style of the drama ‘Shocola’, which is being produced based on the comics as the original story, were analyzed, and ‘Go A Ra’ was selected as the actress that represents the pure and lively characteristics of Hwang Geum Jee in the comics based on the concept of ’Naive & Happy Memories‘. In the process of dramatizing Hwang Geum Jee who is an imaginary character, the pretty casual style was proposed by creating a new character by combining the existing image of the actress ’Go A Ra‘.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shion of characters in the drama as well as the fashion in the comics had an influence on the public when the drama based on the comics as the original story succeeded. Accordingly, the fact that the synergy effect as a different industry can be produced when using the comics as the source of origin in other genres as well as in the drama was discovered. Thus, this research can provided the way for the fashion of characters in the comics to approach the public in more familiar manner and, furthermore, can be provided as the basic data for suggesting the fashion style of performance art that uses original work in other genres as well as the comics.;20세기의 정보통신 시대를 거쳐 21세기에 이르러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 콘텐츠 시대로 진화하였다. 문화 콘텐츠 산업은 하나의 성공한 콘텐츠가 다양한 수익 구조를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경쟁력 향상을 추구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원작만화의 산업화는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어 드라마, 영화, 게임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성공한 드라마나 영화가 관광 산업이나 패션 산업과 접목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산업적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시너지 효과는 패션분야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만화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나 영화가 흥행에 성공함으로써 드라마와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패션이 대중들에게 파급되는 영향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그러한 사례들 중 드라마 분야는 대중패션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만화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는 만화의 스토리 구성뿐만 아니라 만화 캐릭터 패션에 영향을 받아 제작되고 있다. 드라마에 나타난 패션은 원작 만화의 상상력에 현실성과 실용성을 가미하여 새로운 트렌드를 창출하기도 한다. 드라마는 TV라는 매체적 특징 때문에 영화보다 대중에게 접근이 용이하며 흡수력이 강하여 등장인물이 착용한 패션이나 소품들은 대중들의 큰 호응을 얻어 특정한 디자인이 유행이 되기도 하는 등 대중 패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작 만화의 패션과 대중패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산업 이전력이 높고 접근이 용이하여 대중들에게 파급 효과가 큰 만화의 장점을 활용한 원작 산업화를 통해 만화 캐릭터 패션이 대중패션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여 만화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의 패션을 제안하고 패션 스타일을 제안하는 코디네이터 등 패션의 다양한 범주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 뿐 만 아니라 타 장르에서 원작을 활용한 공연 예술의 패션 스타일을 제안하는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고 이 분야의 패션 디자이너로서 특성화된 새로운 분야를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부가가치의 문화 콘텐츠 산업으로서 만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원작 만화의 산업화가 최근 대중문화 전반에 미치는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원작 만화의 수요가 높은 드라마, 영화, 게임 및 그 외의 분야로 분류하여 그 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대중패션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드라마 분야를 선정하여 여주인공들의 캐릭터와 패션과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고, 만화와 드라마에서 나타나는 여주인공의 패션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화란 칸들의 배열과 상호연결, 칸과 페이지의 관계, 그림과 문자 텍스트의 연결방식, 아이콘의 조합으로 다양한 시공간을 연출하는 종합 예술의 장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만화의 특징은 대중전달 매체인 매체적 특성,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접근 용이성, 복합 산업성, 대중성 4가지로 나뉘며 이러한 특징은 만화가 문화콘텐츠산업의 원작으로 각광받게 하였다. 둘째, 만화를 원작으로 한 산업을 드라마, 영화, 게임, 그 외의 분야로 나누어 그 사례를 살펴보았다. 영화 분야에서는 ‘스파이더맨’, ‘캣우먼’ 등 원작 만화의 판타지한 영상미를 부각시켜 액션과 스케일을 그대로 재현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 게임분야에서는 무한한 상상력을 원천으로 판타지한 영상과 스토리로 구성된다는 만화와의 공통적 특징 때문에 만화에서 소스를 얻어 게임을 만드는 경우가 많이 있다. 특히 게임 캐릭터를 활용한 팬시사업 등 다양한 산업으로 시장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그 외의 분야에서는 인터넷 문화의 발달로 웹툰이 등장하고 만화는 온라인으로 시장이 확대되어 게임, 캐릭터 산업 등 여러 미디어와 결합하여 거대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드라마 분야에서 만화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가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여주인공의 인기와 더불어 패션 스타일도 대중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셋째, 2003년에서 2008년까지 방영된 드라마를 시청률조사회사 TNS미디어코리아(www.tnsmk.com)와 AGB닐슨리서치(www.agbnielsen.co.kr)에서 시청률을 조사한 결과 가장 시청률이 높았으며 원작 산업화를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까지 전파력이 높았던 ‘풀 하우스‘를 선정하여 만화와 드라마의 캐릭터를 비교 분석한 후 그 패션 스타일을 실루엣과 실루엣에 따른 아이템, 디테일로 나누어 빈도 분석에 따라 패션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상생활용, 오락용, 외출용, 사교용, 방문용 5가지 용도별 패션 스타일로 나뉘며 만화와 드라마 패션을 비교 분석한 결과 공통점과 차이점으로 나누어지며 만화를 반영한 패션 스타일도 나타났지만 캐릭터의 차이로 그 패션 스타일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캐스팅 단계부터 원작 만화의 여주인공과 다르다는 지적을 받으며 논란을 일으켰으며 원작 팬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장에서는 원작 만화 드라마의 여주인공 패션을 만화가 충분히 반영된 캐릭터와 패션을 바탕으로 현대적 트렌드를 적용한 디자인을 제시하고자하였다. 만화를 원작으로 제작 중인 드라마 ‘쇼콜라’를 선정하여 캐릭터와 패션 스타일을 분석하고 ‘Naive & Happy Memories’라는 컨셉 아래 만화 여주인공 황금지의 순수하고 발랄한 캐릭터를 바탕으로 가장 흡사한 이미지의 배우로 ‘고아라’를 선정하였다. 허구의 인물인 황금지를 드라마화시키는 과정에서 배우 ‘고아라’의 기존 이미지와 결합한 새로운 캐릭터를 창출하여 Pretty Casual Style을 제안하였다. 이상으로 살펴 본 결과, 만화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의 성공은 만화 속 패션뿐만 아니라 드라마 캐릭터의 패션 또한 대중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로 미루어 볼 때 만화는 이를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뿐만 아니라 타 장르에서도 원천 소스로 활용되어 다른 산업으로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화 캐릭터 패션이 대중에게 더욱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서는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것뿐만 아니라 타 장르의 원작을 활용한 공연 예술의 패션 스타일을 제안하는 기초적 자료로 제공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 3 Ⅱ. 원작 만화의 산업화가 대중패션에 미치는 영향 = 6 A. 만화의 일반적 고찰 = 6 1. 만화의 정의 = 6 2. 문화콘텐츠산업으로서 만화의 특징 = 8 B. 원작 만화의 산업화 = 10 1. 국내 만화 산업의 현황 = 11 2. 원작 만화 산업의 사례 분석 = 13 가. 드라마 분야 = 13 나. 영화 분야 = 17 다. 게임 분야 = 22 라. 그 외의 분야 = 25 C. 원작 만화의 드라마화가 대중패션에 미치는 영향 = 29 1. 만화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 속 패션 = 30 2. 만화를 통한 패션 아이템 광고 = 33 Ⅲ. 만화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 속 패션 사례 분석 = 37 A. 『풀 하우스』의 일반적 고찰 = 38 1. 만화와 드라마 『풀 하우스』의 줄거리 분석 = 38 2. 만화와 드라마 『풀 하우스』의 여주인공 캐릭터 분석 = 40 B. 『풀 하우스』의 여주인공 패션 스타일 비교 분석 = 42 1. 만화와 드라마에서의 평상복에 나타난 패션 스타일 비교 분석 = 45 가. 일상생활용 = 46 나. 오락용 = 51 다. 외출용 = 56 2. 만화와 드라마에서의 사교·의례복에 나타난 패션 스타일 비교 분석 = 61 가. 사교용 = 61 나. 방문용 = 65 Ⅳ. 디자인 개발 = 72 A. 제작 의도 및 방법 = 72 1. 만화 『쇼콜라』 여주인공 캐릭터 및 패션 스타일 분석 = 73 가. 만화 여주인공 캐릭터 분석 = 73 나. 만화 속 패션 분석 = 74 2. 드라마 ‘쇼콜라’ 배우 선정 및 캐릭터 분석 = 87 3. 만화 『쇼콜라』 여주인공과 배우의 캐릭터 비교 분석 = 91 4. 만화 『쇼콜라』 여주인공과 배우의 패션 스타일 비교 분석 = 92 5. 컨셉 = 92 6. 컬러 = 93 7. 소재 = 93 8. 이미지 포지션 (Image Position) = 94 9. 디자인 계획(Composition) = 96 10. 이미지 맵 (Image Map) = 97 11. 컬러 맵 (Color Map) = 98 12. 참고 치수 = 99 B. 작품 디자인 = 100 1. 작품 Ⅰ = 100 2. 작품 Ⅱ = 110 3. 작품 Ⅲ = 120 4. 작품 Ⅳ = 131 5. 작품 Ⅴ = 142 Ⅴ. 결론 및 제언 = 151 참고문헌 = 155 부록 = 161 ABSTRACT = 1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4070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만화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 속 패션 디자인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Featured in TV Drama Based on the Comics-
dc.creator.othernameChoi, Mi Ran-
dc.format.pagexvi, 1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