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주소현-
dc.creator주소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6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1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0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190-
dc.description.abstract자산 배분은 자산을 축적하기 위한 중요한 의사결정 중 하나이며 부(wealth)의 수준을 결정짓고 포트폴리오의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산 배분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고령화와 저금리시대에 가계의 자산축적을 위한 효율적인 자산 관리에 대한 해답을 자산배분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가계의 자산배분에 대한 연구 대부분은 Friend and Blume(1970)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위험자산의 비중을 통해 위험회피도(risk aversion)와 부(wealth)와의 관계를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위 연구들은 자산배분 중 위험자산의 배분에만 한정된 분석이며 위험 자산의 범위와 비중 도출을 위한 부(wealth)의 정의에 따라서 그 결과가 달라진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순자산을 부(wealth)의 대용변수로 사용하고 순자산을 5 계층으로 구분하여 위험자산, 실물자산 그리고 부채의 비중이 각 계층에 따라서 그 차이가 유의한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생애주기가설(Life Cycle Theory)은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이 자산배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며 실제 많은 연구들이 생애주기가설(Life Cycle Theory)를 바탕으로 생애주기를 통제한 후의 자산배분과 부(wealth)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생애주기를 통제한 후의 우리나라 가계 포트폴리오의 부(wealth)와 자산배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우리나라 가계 포트폴리오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최종 회귀 모형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순자산 5 계층은 위험자산, 실물자산, 부채에서 모두 그 비중 차이가 유의하게 존재하였다. 특히 위험자산의 비중은 순자산이 커질수록 그 비중도 함께 커져 순자산과 위험회피도(risk aversion)간의 음의 관계를 밝혔다. 실물자산은 투자부동산에서 그 차이와 패턴이 명확하게 나타나 순자산이 높을수록 투자부동산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고 부채 비중의 경우 순자산과 부채의 비중은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계층별 위험회피도(risk aversion)와 순자산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는 두 가지 방법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Friend and Blume(1970)의 이론은 위험회피도(risk aversion)는 순자산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다시 위험자산의 비중을 결정하기 때문에 순자산이 위험자산의 비중을 결정한다고 본다. 하지만 CAPM의 이론으로 보면 위험자산의 비중에 따라서 순자산의 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수인 연령, 성별, 주택소유여부, 교육수준과 함께 두 가지 방향의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두 가지 방향의 회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회귀모형을 도출하고 분석한 결과 순자산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은 위험자산의 비중, 주택소유여부, 교육수준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험자산의 비중이 매우 작음에도 불구하고 순자산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기 나타났기 때문에 앞으로 주식과 채권 시장의 활발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하나의 동기를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순자산과 위험자산의 관계를 밝히고 위험자산의 비중이 순자산뿐만 아니라 인구통계학적 변수들과도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밝힘으로써 우리나라 가계 포트폴리오의 특징을 보여주고 가계의 재무 설계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Asset alloc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decision-makings in managing portfolio of household because the level of wealth would be determined by asset allocation. Based on the importance of asset alloc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solution of managing portfolio to accumulate wealth efficiently. Recently Korean households are interested in pursuing high rate of return and holding diverse assets, and are interested in how to best allocate their asset across asset classes because of cheap money policy and entrance to a graying soci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asset allocation of Korean household among five net worth groups, and the influence on other variables of individual status such as age, gender, marrying and education. There are two ways which can be explained persuas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t allocation and net worth. One is that high proportion of risk assets leads high expected rate of return based on the theory of high risk high return. In this respect, it is a possible interpretation that net worth can be determined by asset allocation. The other explain is a person who have low risk aversion invests high proportion of risk assets. Because risk aversion is determined by wealth, after all, the proportion of risk assets is influenced by wealth. This paper exams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t allocation and net worth through two ways mentioned above. In conclusion, five net worth groups of Korean households have different proportion of risk assets, real estate and debt portfolio. This paper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ortfolios in Korea are concentration on safe financial assets and real estate assets. In the test of comparison with two interpretations, the result is that explanation of CAPM is more persuasive. Additionally, two ways suggest the same result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asset allocation and net worth. In the point of high correlation between asset allocation and net worth, it concludes that households can accumulate wealth by efficient asset alloc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this paper is that risk assets is the most influence factor on net worth, in spite of low proportion of portfolios. This result suggests one of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in stock and bond market in Korea. In this paper, more diverse assets and reason of using debt are not considered. Though there are these limitations, the result will be helpful for households' rational financial behavior as well as financial planner and private banker for their financial advi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 1 1.1 연구 배경 = 1 1.2 연구 목적 = 3 1.3 논문의 구성 = 5 제2장 이론적 배경 = 6 2.1 위험회피도(Risk Aversion)와 위험자산의 비중 = 6 2.2 생애주기가설(Life Cycle Theory) = 7 제3장 선행연구 고찰과 논의 = 9 3.1 선행연구 고찰 = 9 3.2 논의 = 14 제4장 연구가설과 분석방법 = 18 4.1 연구가설 = 18 4.2 분석방법 = 19 4.3 분석자료 = 23 제5장 실증분석 = 24 5.1 기초통계량 분석 = 24 5.2 가설검증 = 27 5.2.1 가설Ⅰ의 검증 = 27 5.2.2 가설Ⅱ의 검증 = 28 5.2.3 가설Ⅲ의 검증 = 29 5.3 다변량 분석 = 31 5.3.1 각 자산의 비중이 순자산에 미치는 영향력: 그림1의 (a)방향 = 31 5.3.2 순자산이 각 자산비중에 미치는 영향력: 그림1의 (b)방향 = 34 5.3.3 최종 모형의 도출 = 36 제6장 결론 = 39 참고문헌 = 43 부록 = 45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17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계의 순자산과 자산 배분과의 관계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Asset Allocation and Net Worth-
dc.creator.othernameJoo, So Hyun-
dc.format.pagevi, 5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