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2 Download: 0

안기옥 거문고산조 연구

Title
안기옥 거문고산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hn Gi-Oak's Geomungo sanjo : Focused on the Jinyangjo Melodies
Authors
박세휘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가야금산조의 명인으로 알려진 안기옥은 백낙준의 초기 제자임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 거문고 연주와 관련된 자료를 거의 찾을 수 없었다. 그런데 최근 월북 이후의 활동이 알려지면서 안기옥이 작곡가로도 유명한 김용실에게 거문고산조를 전수하였고 안기옥의 거문고산조가 현재 북한에서 제작한 유성기 음반에 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본고는 1950년대 연주된 안기옥의 거문고산조 음원을 입수하여 진양조 선율을 중심으로 백낙준 가락과의 유사 정도를 살핌으로써 안기옥 거문고산조의 음악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본고의 연구대상이 된 거문고산조는 다스름과 진양조 총 26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비교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백낙준의 산조를 원형으로 보았을 때 안기옥의 거문고 산조는 백낙준의 가락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 연주자들이 처음 산조를 전수받을 때에는 스승의 가락과 동일한 음악을 구사하겠지만, 배우는 사람의 개성에 따라 점차 자신만의 음악 세계를 표현하게 되며 가락이나 시김새 구사 방법에서도 차이를 보이게 된다. 그러나 안기옥의 산조는 총 26장단 중 19장단이 백낙준의 산조와 거의 유사한 선율 형태를 보였으며, 다만 주법을 달리하여 동일한 가락을 조금씩 자신의 색깔로 재해석하여 변화를 주고 있었다. 안기옥의 산조 20번째 장단부터 마지막 7장단은 백낙준 가락과 매우 상이한데 다른 유파와 비교한 결과 신쾌동류와 유사한 선율임을 알아냈다. 안기옥류와 신쾌동류에서 유사한 선율이 발견되는 점은 여러 가지로 해석이 가능한데, 백낙준이 안기옥과 신쾌동에게 전수했던 선율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비록 백낙준의 음반에는 들어있지 않지만, 그의 제자들인 안기옥과 신쾌동의 가락에 모두 등장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안기옥 가락과 백낙준 가락의 음고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안기옥은 F음을 청으로 하고 문현을 C음로 조율한 반면, 백낙준은 C음을 청으로 하고 문현을 G음으로 조율함으로써 두 연주자 간에 뚜렷한 음역 차이가 나타났다. 동시대는 아닐지라도 백낙준과 안기옥의 활동 시기가 비슷한 점을 감안할 때 이런 현상은 연주자 개인의 음악적 특징이라고 해석된다. 즉 안기옥이 낮은 음역대를 선호했다는 추정도 가능하다. 이밖에 또 다른 시각에서 남ㆍ북의 음악관이 달랐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는 좀 더 연구해 볼 과제이다. 셋째, 템포에 있어서도 안기옥은 백낙준과 다른 면모를 보였다. 다스름을 제외하면 안기옥의 진양조는 26장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 5분 2초의 연주 시간이 소요되었다. 반면, 백낙준의 진양조는 62장단이며 총 6분 26초의 연주시간이 소요되었다. 백낙준 가락의 연주 템포는 =48~60 정도의 속도로써 1장단의 소요시간이 6초 내지 8초 사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으로 보아 안기옥의 진양조가 백낙준에 비해 매우 느렸음을 알 수 있다. 백낙준이 활동했던 20세기 전기의 연주음반이 대체로 현행보다 빠른데 안기옥이 현재 연주되는 산조보다 느리게 연주했다는 사실은 또 다른 그의 음악적 특징으로 이해된다. 안기옥은 연주 및 작곡, 교본 집필에 이르기까지 전통음악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던 음악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북이라는 시대적 제약으로 인해 그의 음악적 활동이 구체적으로 조명되지 못했다. 이는 20세기 전통음악의 전모를 이해하는데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안기옥뿐만 아니라 박동실, 공기남, 조상선, 정남희 등 월북국악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Even though An Gi Ok, who is known as a master of Kayageum Sanjo, was a pupil of Baek Nak Jun,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Geomungo could be rarely found. However, his activity after crossing over the border into North Korea was recently exposed; he handed down Geomungo sanjo to Kim Yong Sil, who was known as a composer, and Geomungo sanjo of An Gi Ok is now left in the phonograph record, which was recorded in North Korea. Therefore,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record that An Gi Ok performed Geomungo sanjo in 1950s, was to look about how the melody of Baek Nak Jun and An Gi Ok are similar focused on Jinyangjo melody and was to examine musical characteristics of An Gi Ok's Geomungo sanjo. Research object is Geomungo sanjo, which is composed of total 26 Jangdans of Daseulm and Jinyangjo, and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are as followings; First, if sanjo of Baek Nak Jun was considered as the archetype, it could be verified that Geomungo sanjo of An Gi Ok was based on melody of Baek Nak Jun. Most players performed the same melody with their teachers when they first learned sanjo, while they gradually became to represent their own musical world and to differentiate the representation of melody and Sigimsae. However, sanjo of An Gi Ok showed that 19 Jangdan among total 26 Jangdan were almost similar melody mode with Baek Nak Jun, while he differentiated the technique so that he reinterpreted the same melody through his own color and chanted it. Sanjo of An Gi Ok which ranged from 20th Jangdan to last 7 jangdan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melody of Baek Nak Jun, and the result of comparing to other schools showed it was similar with Shin Kwei Dong school. From such result, it can be assumed that Baek Nak Jun might teach such melody to An Gi Ok and Shin Kwei Dong. Even though such melody was not recorded in the disc of Baek Nak Jun, in terms of that his followers, An Gi Ok and Shin Kwei Dong represened such melody, this assumption was possible. Second, the pitch between An Gi Ok's melody and Baek Nak Jun's melody was different. An Gi Ok tuned F sharp as Cheong and tuned C sharp as Munhyen, while Baek Nak Jun tuned C sharp as Cheong and tuned G sharp as Munhyen, which showed clear difference between two players in pitch extent. Although they were not contemporary performers, the period of their activity was near, and from this point, the difference in pitch extent could be interpreted as individual musical characteristic of performers. That is, it could be assumed that An Gi Ok preferred to low range. Also, it could be assumed that such difference results from musical valu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such assumption needed more research. Third, in the aspect of tempo, An Gi Ok was different from Baek Nak Jun. Excepts for Daseulm, Jinyangjo of An Gi Ok was composed of 26 jangdans and total 5 minutes and 2 seconds were taken for his performance. In contrast, Jinyangjo of Baek Nak Jun was composed of 62 jangdans, and total 6 minutes and 26 seconds were taken for his performance. Playing tempo of Baek Nak Jun's melody was around ♩.=48~60, which means playing time was between 6 seconds and 8 seconds. It showed that Jinyangjo of An Gi Ok was slower than that of Baek Nak Jun. Playing speed of the disc in early 20th when Baek Nak Jun was in activity was generally faster than that of current disc, while the fact that An Gi Ok played more slowly than playing sanjo presently could be understood as his another musical feature. An Gi Ok was a musician who displayed various activities from performance and composition to writing the textbooks in Korean traditional musical area. Nevertheless, because of periodic limitation, going to North Korea, musical activities of An Gi Ok was not lighted up. It prevents us to understand the whole pictu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20th century. Based on this study, I hope that Korean classical musicians, who are not only An Gi Ok but also Park Dong Sil, Gong Gi Nam, Jo Sang Seon, Jeong Nam Hee and etc, will continue to be studied a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