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0 Download: 0

보육시설 만 1, 2, 3세 학급에서의 어머니-교사 관계에 대한 상호인식 분석

Title
보육시설 만 1, 2, 3세 학급에서의 어머니-교사 관계에 대한 상호인식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Mutual Perception for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Teacher in the Classes for 1, 2, 3 years old children at Day-care centers
Authors
손세란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만 1, 2, 3세 학급에서의 어머니-교사 관계에 대한 상호인식을 알아보는 것으로써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이 영유아의 개인적 변인, 어머니의 개인적 변인, 학급크기 및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관계대상의 어머니에 따른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지, 그리고 어머니-교사 관계에 대한 상호인식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유아의 개인적 변인(영유아의 연령, 영유아의 재원기간, 영유아의 하루보육시간)에 따른 어머니와 교사의 관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개인적 변인(어머니의 학력,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어머니와 교사의 관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3. 학급크기 및 교사의 개인적 변인(교사의 경력, 교사의 학력, 교사의 결혼 여부)에 따른 어머니와 교사의 관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4. 어머니-교사 관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머니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 어머니-교사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교사의 인식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남의 주요도시에 소재한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영아반(만 1세, 만 2세, 만 3세)을 담당하는 교사 69명과 이들 학급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 3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Elicker와 동료들이 제작한 부모-교사 관계 측정 도구(PCRS)를 번역 및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척도의 신뢰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값을 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교사 관계에 대한 상호인식을 알아본 결과, 어머니는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자녀의 하루보육시간이 길어질수록 교사와의 관계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교사의 인식에서는 영유아의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교사는 영유아의 하루보육시간이 길어질수록 어머니와의 관계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영유아의 재원기간에 따라서는 어머니와 교사의 두 인식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가정 및 어머니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교사 관계에 대한 상호인식을 알아본 결과 어머니는 취업모일 때 교사와의 관계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는 어머니의 학력이 전문대 졸이나 대졸일 때, 취업모일 때 어머니와의 관계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학급크기 및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교사 관계에 대한 상호인식을 알아본 결과, 어머니는 교사의 경력이 1년 이상일 때 교사와의 관계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교사는 경력이 높고(10년 이상 제외), 학력이 높을수록 어머니와의 관계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교사의 결혼여부, 학급크기에 따른 어머니와 교사의 두 인식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관계 대상 어머니에 따른 어머니-교사 관계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사들은 관계대상의 어머니에 따라 다양한 관계적 양상을 나타냈었다. 다섯째, 어머니-교사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교사의 인식의 관계는 상호의 전체적 인식과 모든 하위요인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tual perception of mother-teacher relationship in infant and toddler classes of day-care centers. It is to search how mothers’ and teachers’ perception changes along with variables such as children, mothers, class size, and teachers. Also, the study is about how teachers’ perception changes with regard to different objects, or mothers, and how mutual perception appears among mother-teacher relationship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How dose perception toward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differ along with children's variables(the child's age, time that children spent in day-care center, and time that children are being taken care of)? 2. How does perception toward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differ along with mothers’ private variables (mothers’ academic background, and whether mothers are employed or not)? 3. How does perception toward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differ along with variables of the class size, and teachers’ private variables? (teachers’ experience, teachers’ education background, and whether teachers are married or not) 4. How does teachers’ perception toward mother-teacher relationship differs with regard to mothers? 5. How is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ception and teachers’ perception differ with regard to mother-teacher relationship?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69 teachers of infant and toddler classes and 367 mothers who send their children to the day-care centers (classes for 1, 2, or 3 year-old children) in Kyung-nam. The research was measured by Parent-Caregiver Relationship Scales(PCRS) which was developed by Elicker and his co-workers(1997). The study made use of frequency analysis, percentiles, means, technical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s and cronbach's α, and conducte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earching the mutual perception toward mother-teacher relationship with regard to children's private variables, mothers recognize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 more positively, as the age of children is younger, and the time spent in day-care center is long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 with regard to the children’s age, and teachers thought more positively about the relationship with mothers, as time spent in day-care center is longer. However, there was no similar difference in both mothers’ and teachers’ perception with regard to the period of time that children spent in day-care center. Second, as a result of searching the mutual relationship of mother-teacher relationship along with family’s and mothers’ private variables, mothers considered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s more positively when they are employe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others’ educations background. The teachers thought more positively about their relationship with the mothers, when the mothers graduated from colleges, universities, or are now employed. Third, as a result of searching the mutual perception of mother-teacher relationship along with the variables from the class size and teachers’ private variables, the mothers though their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s more positively when their career experience is over one year. The teachers thought more positively about their relationship with the mothers, when they have more experience and they are more educated. There was no similar difference in both mothers’ and teachers’ perception in the case of whether teachers are married or not, and the class size. Forth, as a result of searching the difference of teachers’ perception of mother-teacher relationship along with the different mothers, the teachers showed various aspects according to mothers. Fifth,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perception toward mother-teacher relationship shows a passive relation among the whole mutual perception and all sub-fact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