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진-
dc.creator권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6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0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67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emotion regulation of toddler, is especially focused on relation of mother's availability and moth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toddlers whose age is 18-30 months and their mothers of middle classes residing Seoul and Gyeonggi-Do. Emotion regulation and moth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assessed in food delay procedure and mother's availability procedure. Emotion regulation of toddlers was assessed by emotion reactivity such as negation emotion duration, emotion strategies such as fussing, mother-orientation, active distraction, passive distraction, problem solving, tension release, avoidance, comfort seeking, and focus on desired object.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f mothers were assessed by strategies such as mother-initiated active engagement, child-initiated engagement, ongoing engagement, redirection of attention, reassurance, following, mother-initiated physical comfort, child-initiated physical comfort, ongoing physical comfort, focus on desired object, passive and other behavior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emotion regulation reactivity and some strategies of toddlers in mother's available situ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m in mother's unavailable situation. That is, toddlers whose mothers were available to help, support and interact with were less stressful and played actively. On the other hand, toddlers whose mothers were unavailable were more stressful, fussing and demanding. Second, moth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o use to reduce distress of their childre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motion regulation of toddler. It means that distress and strategies of toddlers affected the use of mother's strategies. Also, mother's strategies to support and help their children affected the distress of children and made children more active.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mother's strategies between 18 and 30 months' group. Mothers whose children were 18 months used more strategies such as mother-initiated active engagement, redirection of attention, following, mother-initiated physical comfort, child-initiated physical comfort, ongoing physical comfort. On the other hand, mothers whose children were 30 months used more strategies such as child-initiated engagement, ongoing engagement. The two groups had some difference about cognition, language, autonomy and physical ability. So children's age affected the mother's strategies because they reflected children's ability.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availability and mother's strategies had important relations with emotion regulation of toddlers. It means mother's variables is worthy to protect children from problems related with emotion regulation.;정서 조절은 개인이 어떤 특정 정서에 대해 적응적으로 기능하기 위해 필요한 조절 전략이다. 정서 조절의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후기의 발달을 예언한다는 점이다. 즉, 정서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발달 초기의 능력은 또래 및 가족 간의 관계에서 적절한 적응 및 대처를 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나아가 개인의 정신 병리까지도 예언한다고 선행 연구(예, Eisenberg, 1997; Cicchetti, 1995)들을 통해 밝혀졌다. 따라서 초기 정서 조절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다양한 탐색이 필요하다. 걸음마기 시기에는 일차적 사회화의 대행자인 어머니의 영향력이 매우 클 것이다. 특히, 유아의 부정적인 정서가 유발되는 상황에서 유아가 도움이나 참조를 구할 수 있는 어머니의 가용성 여부, 어머니가 아동을 돕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은 유아의 정서 조절 반응 및 전략에 직접적인 영향력과 높은 관련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유아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전략의 변화도 더불어 탐색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가용성, 정서 조절 전략에 초점을 두어서 걸음마기 유아의 정서조절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어머니와 유아 40쌍(18개월 21쌍, 30개월 19쌍)을 대상으로 다음 절차를 시행하였다. 유아의 정서 조절 반응 및 전략과 어머니의 정서 조절 전략을 측정하고자, Golden(1977)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Grolnick(1998)에 의해 수정된 음식지연 절차와 Diner와 Mangeldorf(1999)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가용성/비가용성 절차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정서 조절 반응성은 선행 연구(송혜선, 2005; Calkins, 1998)를 참조하여 부정적인 음성반응의 지속시간을 초로 평정하였고, 정서 조절 전략도 선행 연구(예, Diner & Mangeldorf , 1999; Grolnick, 1998 등)에 기초하여 9가지 전략으로 평정하였다. 어머니의 정서 조절 전략은 Grolnick(1998)의 연구에 기초하여 총 12개지 전략으로 평정하였다. 어머니의 가용성에 따른 유아의 정서 조절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종속 t검증을, 어머니의 정서 조절 전략과 유아의 정서 조절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유아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 조절 전략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에게 경미한 좌절을 유발시키는 음식 지연 절차 동안, 어머니가 가용적인지 비가용적인지 조건에 따라 유아의 부정적 정서 반응성과 6개의 전략-칭얼대기, 모향하기, 적극적 주의 분산, 수동적 주의 분산, 긴장 방출-이 차이가 있었다. 즉, 어머니가 유아와 자유롭게 상호작용하며 유아의 좌절을 경감시키도록 도움을 줄 수 있었던 가용적 상황에서 유아는 스트레스를 덜 받았고 좀 더 적극적으로 놀이를 할 수 있었다. 반대로, 어머니의 행동에 제한을 가지며 유아에게 먼저 상호작용을 시도할 수 없던 비가용적 상황에서는 유아는 더 많이 스트레스를 받았으며, 어머니에게 짜증을 내며 어머니에게 더 많이 다가가거나 요구를 하였다. 또한 수동적으로 환경을 탐색하거나 좌절 등의 정서로 인한 긴장을 방출하려는 시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음식 지연 절차 동안, 어머니가 유아의 좌절을 돕기 위해 사용하는 정서 조절 전략은 유아의 정서 조절 반응 및 전략과 상관을 나타냈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 조절 반응의 경우 주의 전환, 안심시키기, 신체적 위안 같은 어머니 전략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어머니 개입 중 아동이 시작한 경우와 지속적인 개입의 경우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와 같은 상관 결과는 양방향적인 관계로 해석되어질 수 있다. 즉, 유아의 좌절 수준이 어머니의 전략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볼 수 있었으며, 역으로 유아 스스로 적극적인 사회적 파트너가 되서 놀이할 수 있도록 장려해주는 어머니의 전략도 유아의 좌절 수준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이다. 이런 양방향적인 관계는 유아의 정서 조절 전략과 어머니 전략 간의 관계에서도 부분적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정서 조절 전략 12개 중 8개의 전략에서 유아의 연령(18개월 vs 30개월)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가 시작하는 적극적 개입, 주의 전환, 따라하기, 어머니가 시작하는 신체적 위안,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신체적 위안, 아동이 시작하는 신체적 위안의 경우 18개월 유아의 어머니가 더 빈번하게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개입 중 아동이 먼저 시작한 경우와 지속적인 개입은 30개월 유아의 어머니가 더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18개월과 30개월은 인지, 언어, 신체운동 및 자율성 측면에서 그 능력에 차이가 있기에 자녀의 능력을 반영하는 어머니의 전략도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 어머니의 가용성 및 정서 조절 전략 같은 어머니 변인이 유아가 경험하는 좌절 상황 동안의 유아의 정서 조절 반응 및 전략에 영향을 끼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발달 초기 정서 조절과 관련된 개인적, 환경적 문제 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어머니 변인의 가치 및 바람직한 대처방식에 대해 의미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정서 조절 = 5 1. 개념 = 5 2. 유아의 정서 조절과 관련된 변인들 = 6 B. 걸음마기 유아의 정서 조절과 관련된 어머니 변인들 = 9 1. 어머니의 가용성과 유아의 정서 조절 반응 및 전략 = 9 2. 어머니의 정서 조절 전략과 유아의 정서 조절 반응 및 전략 = 11 3. 유아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 조절 전략의 차이 = 13 Ⅲ. 연구 방법 = 16 A. 연구 대상 = 16 B. 연구 도구 = 18 1. 정서 조절 = 18 2. 어머니의 가용성 = 19 3. 정서 조절 평정 = 20 (1) 좌절 상황에서의 아동 정서 조절 평정 = 20 (2) 어머니 정서 조절 전략 평정 = 22 C. 연구 절차 = 25 D. 자료 분석 = 27 Ⅳ. 연구 결과 = 28 A.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 28 B. 어머니 가용성/비가용성 조건에 따른 유아 정서 조절의 차이 분석 = 31 C. 어머니 정서 조절 전략과 유아의 정서 조절간의 관계 분석 = 33 D. 유아의 연령차에 따른 어머니 정서 조절 전략의 차이 분석 = 36 Ⅴ. 결론 및 제언 = 39 A. 결과 요약 및 논의 = 39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44 참고문헌 = 46 부록목차 = 51 AB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62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걸음마기 유아의 정서 조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어머니의 가용성, 정서 조절 전략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Emotion regulation of toddlers : focused on relation of mother's availability, moth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dc.creator.othernameKwon, Jin-
dc.format.pagevii, 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