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3 Download: 0

국제결혼이주여성 자녀와 일반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비교연구

Title
국제결혼이주여성 자녀와 일반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s between the immigrant women's children and general students
Authors
신지혜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에는 이주여성자녀들이 학령기에 접어들면서 이주여성자녀가 경험하는 언어지체, 학습부진, 왕따 등 다양한 스트레스와 어려움이 표면화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복지기관 및 이주자 관련 상담소 등에서 마련하는 이주여성가정 지원 프로그램이 꾸준히 늘고 있으나 아직은 미흡한 상태이다. 이주여성자녀들 역시 아동으로써 건강하게 성장할 권리를 갖고 있다는 점과 약 10년 후에는 한국의 인재로 활동할 우리 사회의 구성원임을 고려한다면, 한국사회는 이주여성자녀의 욕구와 어려움을 초기에 파악하여 그들이 밝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 정책 전반에 걸친 노력을 시도해야할 시점에 있다. 그동안 이주여성자녀들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이주여성자녀가 많은 스트레스와 부적응을 경험할 것이라는 가정을 하고 이주여성자녀의 자아정체성 및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과 관련 요인을 밝히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즉, 이주여성자녀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이 객관적으로 어느 정도인지, 일반아동과 비교할 때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지, 어려움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밝히지는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주여성자녀와 일반아동의 비교를 통해 이주여성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과 관련 요인을 객관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복지증진을 위한 실천적, 이론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성별, 연령, 경제수준), 자아 탄력성, 부모 양육행동,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 차별경험이 이주여성자녀와 일반아동 간에 차이가? 둘째, 이주여성 자녀와 일반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이주여성자녀와 일반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인구학적 특성(성별, 연령, 경제수준), 자아탄력성, 부모의 양육행동,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차별경험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이주여성 자녀와 일반아동 간에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아동을 비교집단으로 포함하였으며 인구학적 요인, 자아탄력성, 부모의 양육행동,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 및 차별경험을 변수로 채택하여 심리사회적 적응과 관련한 다양한 요인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외국인 어머니와 한국인 아버지를 둔 아동과 부모님 두 분 모두 한국인인 일반아동으로 접근성을 고려한 경기, 인천, 충청도 지역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모집은 비확률표집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08년 4월 31일부터 5월 2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수거된 설문지는 259부이고 부적합설문지를 제외한 일반아동 102부, 이주여성자녀 105부의 총 207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심리사회적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오경자, 이혜련의 청소년용 자기행동평가척도(K-YSR)의 일부를 선택하여 사용하였고 자아탄력성은 Block & Block(1983)이 개발한 자아탄력성척도(Ego-Resiliency Scale ; ER)를 유성경(2002)이 번역하고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부모의 양육행동 측정은 Schaefed(1959)의 MB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를 토대로 오승연(1993)이 제작한 부모의 양육행동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래관계는Ladd & Kechenderfer, Coleman(1996)의 척도를 유선이(1999)가 번안하고 이를 이호선(2001)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교사관계의 측정은 Dubow와Ulman(1989)의 Social Support Appraisals Scale을 토대로 김영미(1999)가 총 10문항으로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했다. 마지막으로 차별경험의 측정은 Gully, Matthews & Joyce(2001)이 사용한 일상생활의 차별경험을 묻는 10문항만을 선택하여 김보미(2007)가 번역, 아동용으로 수정한 것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이주여성자녀와 일반아동의 학년은 이주여성자녀의 평균학년이 일반아동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분포와 경제수준은 이주여성자녀와 일반아동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주여성자녀의 경우 일반아동에 비해 자아탄력성, 긍정적인 또래관계, 교사와의 친밀한 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주여성자녀의 어머니와 아버지가 일반아동의 어머니 보다 모순적인 양육행동을 덜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경험 횟수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동이 지각한 차별경험의 원인에서 차이를 보였다. 즉, 일반아동은 자신의 나이, 키와 몸무게, 성별 때문에 차별을 경험했다고 인지했으나, 이주여성 자녀의 경우 자신이 ‘한국인이 아니라서’라고 인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적응과 내재화 및 외현화는 원점수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T점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즉, 임상범위에 속하는 이주여성자녀의 비율이 일반아동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이주여성자녀는 일반아동에 비해 다양한 인구학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사회적 적응이 높은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인구학적 요인 외에 이주여성자녀의 심리사회적 부적응과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차별경험, 자아탄력성, 어머니의 모순 양육행동, 아버지의 모순 양육행동으로 나타나 일반아동과 달리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의미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 이주여성자녀의 내재화는 일반아동과 달리 또래관계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일반아동의 외현화가 어머니의 독재 양육행동과 차별경험의 영향을 받는 것에 비해 이주여성자녀의 외현화는 차별경험, 자아탄력성, 아버지와 어머니의 모순 양육 행동, 어머니의 방임 양육행동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주여성자녀와 일반아동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성별, 자아탄력성, 차별경험의 영향은 일치하였다. 즉, 성별(남자), 자아탄력성은 내재화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차별경험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두 집단 모두 부모의 부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주여성자녀의 경우 어머니의 모순 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선행연구 결과들과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그 외에는 이주여성자녀의 경우 경제수준, 학년과 또래관계가 심리사회적 적응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적응관련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일반아동의 경우 차별경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고 다음으로 자아탄력성의 영향을 받은 것에 비해 이주여성자녀의 경우 심리사회적 부적응은 차별경험과 부모의 양육행동, 성별, 자아탄력성의 순서대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화의 경우 일반아동은 차별경험, 자아탄력성, 성별의 순서대로 영향을 받은 반면, 이주여성자녀의 내재화는 또래관계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성별, 차별경험, 학년, 경제수준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아동의 외현화가 차별경험의 영을 가장 크게 받고 어머니의 독재 양육행동의 영향을 받는 것에 비해 이주여성자녀의 외현화는 차별경험, 자아탄력성, 부모의 양육행동 순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의 심리사회적 적응과련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이주여성자녀의 심리사회적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주여성자녀를 위한 전문적이고 적극적인 자아탄력성 향상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 이주여성자녀가 또래와의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고 정서적 지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이주여성자녀가 일반아동에 비해 친구와의 관계에서 자기표현과 인정이 낮은 것을 고려하여, 친구들과 적극적이고, 친밀하며, 지지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또래집단 프로그램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또, 부모의 모순, 방임 양육행동이 이주여성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먼저, 방임은 아동을 위험환경에 노출시키고 부적응을 심화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방프로그램이 중요하다. 대부분 저소득층에 속한 이주여성자녀의 부모는 맞벌이를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주여성자녀의 방과 후 생활에 대한 실태 조사와 조사를 토대로 한 방과 후 학습 및 보호의 지원이 필요하다. 또, 아동뿐 아니라 이주여성에 대한 지원 역시 필요하다. 이주여성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경과 언어의 문제로 가사와 양육의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으며 가족이라는 체계 내에서 이러한 상황은 아동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주여성이 양육과 경제적 부담을 덜고, 건강한 가족 체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주여성을 위한 일자리 지원 및 이주여성가정 특성에 맞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주여성자녀가 차별경험을 겪는 이유를 ‘자신이 외국인이어서’라고 응답한 것에서 우리사회가 다민족을 포용하기위한 의식개선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함을 확인하였다. 이주여성자녀들이 건강하고 밝게 성장할 수 있도록 단일민족 중심의 학교 교과서 개정, 국가차원의 인식개선 캠페인 등이 요구된다.;Recently, our society moving away from its homogeneous self into multiracial society. This is partly due to Korea's place in the world which has increased the number of people immigrating into Korea since 2000. The number of immigrant women that marry Korean men has especially increased along with their offspring which has caused interest about immigrant women families as a society. The immigrant women's children have recently entered school which allowed stressful and difficulties including language delays, poor study progress, isolation issues to surface. In order to find solutions for these issues, many welfare and immigrant consultation centers have been increasing the number of immigrant women family support programs but are still insufficient. It is a fact that immigrant women's children have the right to have a healthy upbringing and that they will be taking part in acting as Korea's working force in about ten years. It is time for Korean society to put social and policy efforts to understand the immigrant women's children needs and difficulties from early stage in order for the children to have a bright, healthy upbringing. Until now, the Korean study on immigrant women's children has assumed that the children has a lot of stress and have difficulties adapting. This assumption has led most studies to look at self-identity and psychological social adjustment levels and its causes. In other words, these studies have not clarified the immigrant women children's level of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levels objectively, what difficulties children are facing compar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how serious the difficulties are. So this study focuses on the immigrant women children's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levels and its causes through comparing these children to the 'general' children. This approach has allowed to derive in practical as well as theoretical welfare advancement. First, the study of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immigrant women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regarding population attributes (sex, age, economical status), ego-resiliency, parental behaviors, peer relations, teacher relations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Second,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immigrant women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in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Third,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immigrant women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in the causes for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Fourth,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immigrant women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in the causes to effect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regarding population attributes(sex, age, economical status), ego-resiliency, parental behaviors, peer relations, teacher relations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To solve these study issues, this study has included 'general' children as comparison group and has collected population attributes(sex, age, economical status), ego-resiliency, parental behaviors, peer relations, teacher relations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for in-depth study on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and various related causes. The study was on children with foreign mother and Korean father compared with children with Korean mother and father. The study included fourth to sixth grade children from Kyonggi province, Incheon and Chungchung province elementary school. The data collection was held from April 31, 2008 through May 26th 2008 and total number of surveys is 259. Out of these surveys, unsuitable surveys were excluded and have used 102surveys of 'general' children and 105surveys of immigrant women children which totaled to 207surveys. In order to measure the pscyhological social adaptation, Oh Kyungja and Lee Hyeryun's K-YSR was partly used as study methods. As for ego-resiliency, the Ego-Resiliency Scale(ER) that was developed by Block & Block (1983) which has been translated, edited, and supplemented by Yoo Sungkyung(2002) was used. The parental behaviors behavior examination method that was developed by Oh Seungyoung(1993) which was based on MBRI by Schaefed(1959) was used for parental behaviors. The Ladd & Kechenderfer, Colman(1996) scale which was adapted by Yoo Sunlee(1999) and edited by Lee Hosun(2001) was used for peer relations. The ten section scale that was re-formed from the Dubow and Ulaman(1989) Social Support Appraisals Scale was used for teacher relations. The ten questions that dealt with everyday life's discrimination experiences from the Gully, Matthew, &Joyce(2001) which was translated and edited for children by Kim Bomi(2007) was utilized for discrimination experiences. Study finds that the immigrant women children had lower grades compared to the 'general' children that took part in this study. Study also found that the distribution of sex economic status was not different between immigrant women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In comparing the immigrant women children with the 'general' children, it was found that the immigrant women children's ego-resiliency, positive peer and teacher relations were lower. Also, it seemed that the parents' contradictory upbringing behaviors were lower for immigrant women children compared to the 'general' children. The number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 causes of discrimination was different. In other words, the 'general' children recognized their discrimination from their age, height, weight and sex but the percentage of immigrant women children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was high on the fact that they was discriminated because 'they were not Korean'.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analyzing the immigrant women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with its causes and effect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conomic status the better the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was. As for the effect of sex on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the male immigrant women children and male 'general' children experienced less internalization.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s was the biggest factor effecting the immigrant women children's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followed by parent's inconsistent upbringing behaviors, sex, and ego-resiliency, the economic status. For the 'general' children,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ego-resiliency were the biggest factors effecting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The biggest causes effecting internalization for immigrant women children was peer relations followed by sex, discrimination experiences, grades, the economic status whereas discrimination experiences followed by ego-resiliency were the biggest factor effecting 'general' children's internalization. The biggest causes effecting externalization for immigrant women children was discrimination experiences followed ego-resiliency and parental behaviors whereas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s was the biggest factor effecting externalization for 'general' children followed by dictating upbringing behaviors by the mother. In other words, there ar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between immigrant women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as well as its effects. For the immigrant women children, ego-resiliency, discrimination experiences, peer relations and parental behaviors were important factors. The proposal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enhance the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of immigrant women children, professional and active ego-resiliency enhancement programs need to be provided for immigrant women children.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the immigrant women children to form positive peer relations through emotional suppor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immigrant women children have lower self expression and recognition compared to 'general' children, peer relation programs need to be set in place in order to form active, friendly relations with their peers. Also, the inconsistent upbringing behaviors of the father and mother's non-intervent upbringing behaviors effected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of the immigrant women children. Mother's inconsistent upbringing behavior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mmigrant women children's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First, nonintervention put children in dangerous environment and worsen maladaptation which is why prevention programs are importan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most low income immigrant women children parents both work which is why research is needed. Based on this research, the after school study and protection support will need to take place. Support is also required for the immigrant women as immigrant women can experience economic difficulties and language difficulties which in turn brings household and upbringing difficulties. Therefore, job support and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fitted to the immigrant women families need to be arranged in order to help immigrant women's upbringing and economic burdens as well as to maintain a healthy family. Furhermore, for the improvements on general attitudes toward the immigrant women's children in this society, education about variety of cultures is essenti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