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민정-
dc.creator강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1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0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17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 care and education programs in Korea by: (1) identifying Japanese teachers' general perceptions about In Jung Children's Centers, which refer to the newly implemented integration model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rograms in Japan and (2) analyzing administration practices of the programs.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 teachers perceive In Jung Children's Centers? 1-1. How do teachers perceive In Jung Children's Centers in general? 1-2. Do teachers perceive In Jung Children's Cente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founders, types, and teachers' status? 2. Are In Jung Children's Centers administe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types? 2-1. How are integrated programs of education and care administered? 2-2. How are education-oriented programs administered? 2-3. How are care-oriented programs administered? 2-4. How are self-governed, local programs administer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ducted in February 2005, consist of 321 teachers and 69 directors from 105 In Jung Children's Centers in Japan. Frequencies, percentiles, independent samples t-tests, Chi-Squares, one-way ANOVAs, and post hoc Scheffé 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teachers' and administrators' general perceptions about the administration of In Jung Children's Centers and to identify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administration practices where founders, types, and teachers' status differed. To investigate how the programs are administered, additional data were collected by visiting four In Jung Children's Centers from each of the following different types of program: (1) integrated programs of education and care, (2) education-focused programs, (3) care-focused programs, and (4) self-governed, local programs. The data were described and interpreted based on sub-categories for addressing administration practices. The study results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teachers reported that it is necessary to unify child care and education programs. They think that it is a critical problem that two different ministries are responsible for either child care or education programs. Teachers suggest that the division problem should be solved by one ministry taking over all the responsibilities.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would be most suited to manage the unified child care and education system. Second, teachers positively responded that the program systems provide a variety of care services that meet parents' needs. However, they perceived that too much flexible time in the program will negatively effect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Furthermore, the separated responsibilities within two different ministries for care and education programs made administrative jobs more complicated. The teachers from integration centers of education and care especially perceived this problem. The teachers positively recognized that children in In Jung Children's Centers have opportunities to associate with children of different ages which helps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Regarding the accreditation of In Jung Children's Centers, they think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determine the basic criteria, and that more detailed accreditation standards can be set up by local government based on local conditions. When it comes to daily routines, the teachers think that it is appropriate to allocate half-day during which all children stay in the classrooms for education-oriented time, with the remaining half-day dedicated to care-oriented time. However, teachers from care-oriented programs expressed negative impressions about this situation. Teachers, especially those from public program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strongly expressed the need for new curriculum in In Jung Children's Centers. Teachers also expressed that extending the hours of service and providing parent counseling programs would help meet parents' needs. Third, teachers responded that the following requirements are considered necessary in managing In Jung Children's Centers in this contemporary society: meal service, eight hours of education, care services for infants, education-oriented and play-oriented education, sliding scale service fees based on family income, school bus, and year-round program operation without vacation. In regard to teacher qualifications, they think that both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 certificates should be required to work in the centers. Furthermore, teachers had positive views that the quality and quantity of In Jung Children's Centers will progressively increase.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erms of administrative practices between the types of centers. Administrators had different philosophies and circumstances in managing their programs, which provided them with different motivations to change their businesses into In Jung Children's Centers. Consequently, this affected their administrative practices. The combined forms of In Jung Children's Centers experienced more significant changes than did other types of centers in terms of education and care environments. This is because they simply unified service functions while maintaining devised care and education systems. Most centers of all different types provided child-care support for local parents because this was one of the accreditation standards. However, the centers offered different curriculums according to center types or parental demands. All types of centers indicated that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was necessary to systemically establish and develop In Jung Children's Centers. However, there were modest differences by center type in determining particular parts needed financial support. Based on the study results, future directions for unifying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programs were suggested. Most of all, we need to consider congruence between early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and free education for preschoolers, and we also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ushering in the era of continuing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rections for integrating care and education programs should correspond with those of OECD countries. In addition, the separate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for care and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ged zero to five should be incorporated into one administrative unit,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unification of devised responsibilities would be a long-term plan, and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related laws, teacher qualifications, and in-service education would be accomplished progressively. Children's rights should be a central point, and parents should be supported in raising their children as they work. National accreditation standards and criteria should be set up for managing integrated care and education programs, and an accredit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assess the programs. Prospective unified programs should provide both care and education to help parents in raising their children. Finally, government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establish high quality programs.;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유보일원화 시설인 인정어린이원에 대한 교원들의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고, 인정어린이원의 운영 실제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일본의 인정어린이원에 대한 교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인정어린이원에 대한 교원의 전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1-2. 인정어린이원에 대한 교원의 인식은 설립 주체, 기관 유형,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인정어린이원의 유형별 운영 실제는 어떠한가? 2-1.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운영 실제는 어떠한가? 2-2. 유치원형 인정어린이원의 운영 실제는 어떠한가? 2-3. 보육소형 인정어린이원의 운영 실제는 어떠한가? 2-4. 지방재량형 인정어린이원의 운영 실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05년 2월 현재 일본 전국의 인정어린이원 105곳의 교사 321명과 원장 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본 교원들의 인정어린이원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및 이들의 설립 주체, 유형, 직위 등의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독립표본 t-검정, 카이제곱 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é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정어린이원의 운영 실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보연계형, 유치원형, 보육소형, 지방재량형 4곳의 인정어린이원을 대상으로 기관을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미리 작성한 운영 현황의 범주대로 나누어 기술하였고, 범주에 따라 수집한 자료를 해석하는 작업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인정어린이원 교원들의 유보일원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 본 결과, 교원들은 유보일원화가 필요하며, 일원화 부처로는 문부과학성을 들었고, 그 첫 번째 과제로는 행정부처의 단일화의 필요성에 높게 응답했다. 둘째, 인정어린이원 운영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알아 본 결과, 인정어린이원 제도가 보호자들에게 그들의 실정에 맞는 다양한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유아들에게는 보육 시간이 불규칙으로 운영되어 정서적으로 나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인정어린이원의 문제점으로는 교원들은 관할청의 이원화로 행정 업무가 복잡한 것을 지적하였으며, 특히 유보연계형의 교원들이 행정 업무의 복잡성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들에게 있어 인정어린이원의 바람직한 점으로 다양한 연령과의 교류로 인간관계가 폭 넓어 진다에 높게 응답하고 있었는데, 보육소형의 교원들은 다른 유형에 비해 인정어린이원이 교육과 보육의 통합으로 전인적 발달을 이룰 수 있다에 높게 응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과 운영면에서 장시간아와 단시간아가 함께 있는 시간은 교육시간으로, 단시간아가 귀가한 후 장시간아만 있을 때에는 보육시간으로 하는 것에 대하여 교원들은 비교적 바람직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또한 인정어린이원의 교육과정은 ‘0세에서 2세는 보육소지침, 3세 이상은 유치원교육요령’에 의해 운영되기 보다는 새로운 교육과정을 만들 필요가 있다에 높게 응답하였으며, 이는 국·공립 교원들과 사회복지 법인 교원들이 더 높게 응답하고 있었다. 지역의 보호자들을 위한 자녀 양육 지원 프로그램으로 교원들은 육아 상담, 연장 보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정어린이원의 운영 형태를 알아 본 결과, 교원들은 원에서 제공되는 급식, 8시간의 보육, 0세부터의 보육, 교육 중심, 놀이 중심 교육, 수입에 따른 차등 보육료 방식, 버스 이용, 방학이 없는 것을 들고 있었다. 또한 인정어린이원 교사의 소지 자격으로는 유치원 교사 자격과 보육사 자격 양쪽 다 필요하며 향후 인정어린이원의 수와 교육의 질은 증가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인정어린이원의 유형별 운영 실제를 알아 본 결과, 인정어린이원의 전환 동기는 원의 사정이나 원장의 운영철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곧 실제 원 운영에도 차이가 있었다. 교육·보육환경면에서는 다른 유형의 어린이원보다 유보연계형의 어린이원이 가장 많은 변화가 있었다. 지역의 보호자들을 위한 자녀양육 지원은 인정기준이기 때문에 네 유형의 어린이원 모두 실시하고 있었으나 프로그램의 종류는 기관유형, 보호자들의 요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인정어린이원이 제도적으로 정착되고 발전하기 위한 과제로 네 유형의 인정어린이원 모두 국가의 재정적 지원을 들고 있었으며 재정적 지원 분야에 있어서는 기관유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교원들의 인정어린이원에 대한 인식과 운영 실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향후 우리나라의 유보통합은 상급학교와의 연계, 취학 전 의무교육의 강화, 평생학습 사회의 도래 등을 고려하여 0세에서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OECD 선진국의 유보통합 방향과 일치하는 교육과학기술부 주관의 행정부처 단일화로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실천단계로 행정부처 단일화를 장기목표로 세워 교육과정의 일원화, 관련법 일원화, 교사 자격 및 양성 과정의 일원화를 부분적으로 추진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보통합의 방향은 유아들의 권리를 최우선으로 하는 관점에서 통합에 대한 근본적인 목적과 중심은 유아에 두면서 부모들이 일과 자녀의 양육을 양립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유보통합 시설 운영 시에는 유아들의 권리와 성장, 발달에 적합한 국가 수준에서의 인정기준과 지침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평가하는 시스템도 제도화되어야 할 것이다. 즉, 유보통합 시설은 유아들에게 교육, 보육 및 복지를 함께 지원하며, 지역의 부모들에게는 자녀 양육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곳이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이러한 제도 정비와 함께 유아들에게 질 높은 유보통합 시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우선 국가가 유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을 하여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7 C. 용어의 정의 = 8 II. 이론적 배경 = 9 A. 일본의 유보일원화 개념 = 9 B. 일본의 유보일원화의 변천 과정 = 10 C. 일본의 유보일원화 시설 : 인정어린이원 = 16 D. 관련연구 = 30 III. 연구 방법 = 36 A. 연구 대상 = 36 B. 연구 도구 = 38 C. 연구 절차 = 41 D. 자료 분석 = 4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46 A. 인정어린이원에 대한 교원의 인식 = 46 1. 유보일원화에 대한 인식 = 46 2. 인정어린이원 운영에 대한 인식 = 49 3. 사회에서 요구하는 보육시설 운영형태 및 전망 = 70 B. 인정어린이원의 운영실제 = 80 1. 유보연계형 : 모모치 어린이원 = 80 2. 유치원형 : 오오이타 어린이원 = 98 3. 보육소형 : 구루메 어린이원 = 110 4. 지방재량형 : 사사구리 어린이원 = 119 Ⅴ. 논의 및 결론 = 129 A. 요약 및 논의 = 129 B. 결론 및 제언 = 147 참고문헌 = 152 부록 = 160 ABSTRACT = 1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007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본의「인정어린이원」에 대한 교원의 인식과 운영 실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Japanese teachers' general perceptions and administration practices about In Jung Children's Centers-
dc.creator.othernameKang, Min Jung-
dc.format.pageviii, 17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