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해미-
dc.creator박해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1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0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196-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장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과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현장수업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2. 현장수업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3년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들인, 예비유아교사 17명으로써, 이들은 연구의 설계에 포함된 사전-사후 교사효능감 측정, 모의수업 및 1, 2, 3차에 걸친 현장수업에 모두 참여하였다. 연구문제 1번인 현장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현장수업 동영상 자료와 수업저널을 활용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초로 수업관찰 평가표를 제작하였다. 수업관찰 평가표는 6개의 범주 즉, 수업분위기 조성, 교재교구의 사용, 비언어적 표현, 언어적 표현, 유아와의 상호작용, 수업내용의 조직으로 구성하였다. 수업관찰 평가표에 의거하여 모의수업 1회와 현장수업 3회의 수업동영상 자료를 평가하였고,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2번인 현장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교사효능감에 대한 두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1번과 2번에 공통적인 분석 방법으로 현장수업 동영상 및 수업저널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의 변화 및 교사효능감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는 저널문장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기술 분석도구에 의한 수업동영상 평가결과와 수업관찰 영역에 따른 저널문장을 분석한 결과, 현장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동영상을 통해서 본 모의수업과 1, 2, 3차 현장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이 6개의 범주 즉, 수업분위기 조성, 교재교구의 사용, 비언어적 표현, 언어적 표현, 유아와의 상호작용, 수업내용의 조직의 6가지 측면 모두에서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현장수업경험이 교사효능감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사후 교사효능감에 대하여 두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모의수업과 1, 2, 3차 현장수업, 1차 현장수업과 2, 3차 현장수업, 그리고 2차 현장수업과 3차 현장수업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수업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 및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의수업을 위주로 이루어지는 현 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 현장수업과정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현장경험이 참관실습 이외의 다양하고 심화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예비유아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객관화시켜볼 수 있는 동영상분석과 수업저널의 기록은 교사교육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teaching experience in education and care center give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skills and teacher efficacy. The detailed issues based on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 1. What effects does the teaching experience in education and care center give on the change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skills? 2. What effects does the teaching experience in education and care center give on teacher efficacy? First, in order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experience in education and care center gives on the change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skill, I used digital video files which recorded the lessons in practice and the reflection journals of lessons. In order to assess the change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skills, I developed the observation and assessment table of classes in practic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observation and assessment table is composed of 6 categories: forming the atmosphere for the lesson, using the educational materials, nonverbal expression, verbal expression, communication with children, and formation of the contents of the lesson. Based on the observation and assessment table of classes, I assessed 1 digital video file for the preliminary lesson and 3 digital video files for 3 actual lessons in the field, and analyzed them by using statistical method technically. Also, I extracted the cases that I can perceive the chang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skills from digital video files and reflection journals of lessons. Second, I used two-paired test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teaching experience in education and care center gives on the changes of teacher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of digital video files with an analyzing tool for teaching skills and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for the observed areas of the classes showed the experience in education and care center enhanced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skills. A preliminary lesson and 1st, 2nd, 3rd actual lessons which were observed in digital video files showed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skills were getting enhanced in all of the 6 categories forming the atmosphere for the lesson, using the educational materials, nonverbal expression, verbal expression, communication with children, and formation of the contents of the lesson. Second, It is shown that the teaching experience in education and care center gave the positive effects on enhancement of teach efficac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wo-paired test before and after the experience in education and care center showed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preliminary lesson and 3 actual lessons, between 1st actual lesson and 2nd, 3rd actual lessons, and between 2nd actual lesson and 3rd actual lesson. Things that above results imply are as below. First, the teaching experience in education and care center gives the effects on the teaching skills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So,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ost of which is currently composed of preliminary lessons, needs to include more actual lessons in the field. Second, the current types of preliminary practices in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need to be diversified so that the teaching experience in the field for the pre-service teachers should not be only attendance in or observation of the classes. Last, the teachers for the pre-service teachers need to use actively the analysis of the digital video files and reflection journals in classes, with which the pre-service teachers can observe their own classes objectively, because they are good teaching methods the teachers for the pre-service teachers can u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유아교사와 현장수업경험 = 7 B. 유아교사와 수업능력 = 11 1. 수업의 의미 = 11 2. 교사와 수업전문성 = 16 C. 유아교사와 교사효능감 = 21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B. 연구절차 = 28 C. 연구도구 = 28 1. 수업기술 측정도구 = 28 2. 교사효능감 측정도구 = 29 D. 자료수집 = 3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1 A. 현장수업경험에 따른 수업기술의 변화 = 31 1. 수업기술 변화에 대한 분석 = 31 가.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기술 변화 = 31 나. 예비유아교사 개인별 수업기술 변화 = 33 다. 수업관찰 영역 및 항목에 따른 수업기술 변화 = 34 2. 수업기술 변화 추이분석 = 42 가. 수업분의기 조성에서의 변화 = 42 나. 교재교구 사용에서의 변화 = 51 다. 비언어적 표현에서의 변화 = 55 라. 언어적 표현에서의 변화 = 60 마. 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의 변화 = 62 바. 수업내용의 조직에서의 변화 = 78 B. 현장수업경험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변화 = 83 1. 현장수업 전·후 교사효능감의 변화 = 83 2. 현장수업 전·후 예비유아교사 개인별 교사효능감의 변화 = 84 Ⅴ. 논의 및 결론 = 91 A. 요약 및 논의 = 91 B. 결론 및 제언 = 102 참고문헌 = 105 부록차례 = 120 <부록 1> 수업기술 측정 도구 = 121 <부록 2> 교사효능감 측정도구 = 123 Abstract =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66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현장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eaching experience in education and care center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skills and teacher efficacy-
dc.creator.othernamePark, Haemee-
dc.format.pagevii, 12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