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혜영-
dc.creator백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7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0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772-
dc.description.abstract실어증은 뇌졸중과 같은 혈관장애나 교통사고 등의 외상성 뇌질환의 후유증으로 흔히 발생하는 언어장애이며 연 40,000∼70,000명가량의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김향희, 이현정, 김덕용, 허지회, 김용욱, 2006). 뇌졸중으로 인한 실어증은 점차적으로 진행되는 증세가 아닌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것으로 의사소통에 대한 단절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환자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에게 큰 충격을 주게 된다. 따라서 실어증 환자들에게 신속한 의사소통 중재를 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지난 40년 동안 실어증 치료의 초점은 복잡한 신경 손상에 대해 기술하고 그와 연관된 언어적 손상에 맞추어져 왔으며, 나아가 손상된 언어적 결손을 치료하여 구어의 개선을 보이는 것에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복잡한 사회적 환경에서 실어증 환자 개인들의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확장시키는 것에 치료의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Holland, 1982; Ulatowska & Bond, 1983) 개개인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Holland, 1982; Ulatowska & Bond, 1983). 오늘날 많은 치료 접근법들은 환자들의 독립적인 생활의 영위와 삶의 질 향상, 그리고 개인의 사회적 시스템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Fox, 1990; Fox & Friend-Oken, 1996, Thelander, & Worsley, 1997). 특히 중증의 실어증 환자에게는 개인적이고 기능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접근이 더욱 필요하다. 이러한 개인적이고 기능적인 의사소통 방법의 대표적인 예로서 보완대체 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을 들 수 있다. 이제까지 국내에서 보완대체 의사소통에 관련한 논문들은 대부분 뇌성마비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자폐나 정신지체 아동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보완대체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중증의 실어증환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도록 중재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시급하다. 다중양식 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Vanderheiden & Yoder, 1986)는 성인 실어증 환자들의 의사소통 성공에 필요한 전략들이 요구되기 때문에 적합하다고 하였다(Beukelman & Garrett, 1988). 실어증 환자는 단순한 언어장애에 한정되지 않고 정도의 차이가 있을지라도 전 언어영역에 걸쳐 손상이 있음으로 다양한 의사소통 수단을 제공하고 잔존능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다중양식 체계가 의사소통을 위해 효과적임을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가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치료시간에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하여 AAC 훈련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말실행증을 동반한 브로카 실어증 환자 3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중재는 주 2회 언어치료실에서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분석절차에 따라 전사하여 그 내용을 의사소통행동의 발생 빈도와 기능별 빈도 및 형태별 빈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는 대상자들의 의사소통행동 발생빈도를 증가시켰고, 의사소통기능을 다양화시켰으며, 형태별 발생빈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중재의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를 통해 변화된 의사소통행동의 발생빈도와 의사소통행동의 기능 및 형태별 발생빈도는 다른 대상자로 일반화되었다. 셋째,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를 통해 변화된 의사소통행동의 발생빈도와 의사소통행동의 기능 및 형태별 발생빈도는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기초선 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가 실어증환자의 의사소통 발생빈도를 증가시키고 의사소통기능 및 형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급증하고 있는 실어증환자들의 삶의 질과 관련된 개인적이고 기능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접근이 절실한 때에 의사소통 장애를 가지고 있는 성인 환자들에게 다중양식 체계를 이용한 AAC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입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Aphasia means that language disorder could happen easily by vascular disease such as stroke or sequelae of traumatic brain injury caused by traffic accidents and it shows a high rate of occurrence about 40,000-70,000 people per year. Aphasia caused by stroke occurs not gradually but suddenly and people with that aphasia could experience the interruptions about communication. It will have a deep impact on family members as wells as a patient itself.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fast communication interv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aphasic patients. In the past, much research in the area of aphasia has focused on describing the complex of neurologic and linguistic deficits associated with the aphasia syndrome, and devising treatment techniques that focused on strengthening deficit areas. More recently the literature pertaining to adult aphasia has begun to describe the communicative competencies demonstrated by these individuals. Both individual and functional approach to aphasic person is still more need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approach, there is a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Down to this day, most papers in relation with AAC in the nation just have targets who are children and adults with cerebral palsy, autism and mental retardation. Few studies have focused on AAC with aphasic patients. So it is urgent that the adults with aphasia have an intervention strategy to communication effectively. The multimodal nature of AAC approaches is well suited to the adult with aphasia, as their intermittent processing patterns require an array of strategies to ensure communicative success. Therefore it shows us that the multimodal system with ACC which support variable communicative methods and use the rest ability would be effective for communication. This research was designed based on the intervention plans the apply the AAC during intervention and see the effect on communication. The intervention was made according to AAC training procedure. The research subjects are 38-53 aged Broca's aphasic patients with AOS.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baseline design across the participants and a multiple probe design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the multimodal system using ACC increase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ve behaviors of Broca's aphasia and it diversified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 and it increase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modes. So it reported us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Secon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ve behaviors, the function of communicative behaviors an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modes which is changed the multimodal system using ACC became generalized with others. Thir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ve behaviors, the function of communicative behaviors an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modes which is changed the multimodal system using ACC maintained in higher quality than the beginning after the intervention has been don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ultimodal system using AAC increases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and affects the communication function, modes. Also, this research discussed the efficiency of the usage of multimodal system. When the approach about individual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in related to quality of life of patients is needed, it is worthwhile to give demonstration of the effect of applying AAC which use the multimodal system to the aphasic adult pati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8 A. 보완 대체 의사소통 = 8 B.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실어증 환자의 분류 = 11 C.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실어증 환자의 평가 = 14 D. 실어증 환자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 = 18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5 A. 연구 대상 = 25 B. 실험 기간 = 30 C. 실험 장소 = 31 D. 실험 도구 = 31 E. 실험 설계 및 실험 절차 = 34 F. 관찰 및 측정 = 37 G. 관찰자간 신뢰도 = 40 H. 중재 충실도 = 42 I. 사회적 타당도 (Social Validity) = 43 Ⅳ. 연구 결과 = 44 A.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가 의사소통행동의 발생 빈도에 미치는 중재효과 = 44 B.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가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일반화 효과 = 57 C.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가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유지 효과 = 59 Ⅴ. 논의 및 제언 = 61 A. 논의 = 62 B. 제한점 = 71 C. 제언 = 72 참고문헌 = 73 부록 = 79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38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가 말실행증을 동반한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th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using multimodal system on the communication of Broca's aphasic patients with AOS-
dc.creator.othernameBaek, Hye-young-
dc.format.pageviii,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