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역동적 평가를 통한 학령기 다운증후군 아동의 이야기 학습 잠재력 연구

Title
역동적 평가를 통한 학령기 다운증후군 아동의 이야기 학습 잠재력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Potential of Narrative Learning for the School-aged Children with Down Syndrome Through Dynamic Assessment
Authors
구지혜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언어장애 아동의 중재에 있어서 선행되어야 할 중요한 단계 중 하나가 평가이다. 평가는 추후 중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중재의 방향 선정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언어평가에는 정적평가와 역동적 평가가 있다. 정적 평가는 수량화된 객관적 언어 수준을 보여준다는 이점이 있으나 평가 시 능력을 전부 보여주지 못해 대상자의 능력이 평가절하되는 경우가 많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Gutierrez-Clellen & Pena, 2001). 이런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역동적 평가이다. 역동적 평가는 아동과 평가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반응을 유도하게 되며 평가과정 중에 촉진이 주어지게 되므로 대상자가 가진 잠재능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추후 중재의 방향설정에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언어 평가의 영역은 어휘, 구문, 이야기 등 다양하다. 이 중 이야기 산출 능력은 읽기·쓰기 학습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고, 사회화, 교육에 두루 영향을 미치는 능력이다(Gillam, Pena, & Miller, 1999). 그러므로 학령기 아동들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능력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 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으며 기존 연구의 영역은 주로 어휘나 구문 학습 등에 한정되어 있다. 또한 동반장애 없는 언어장애 아동이 주 연구대상이 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다운증후군 아동을 대상으로 역동적 이야기 평가를 실시하여 다운증후군 아동의 이야기 학습 잠재력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다운증후군 아동은 제한된 구문표현 능력에 비해 이야기 표현 능력이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Miles & Chapman, 2002) 다운증후군 아동의 이야기학습 잠재력을 역동적 평가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역동적 평가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모형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평가-학습-재평가 방법(teach-test-teach)에 근거한 단기학습경험(MLE: Mediated Learning Expierience)을 이용하여 아동의 이야기능력을 평가하였다. MLE는 평가 대상자에게 중재에 대한 경험을 미리 1-2회 제공하여 학습 잠재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일반 아동 뿐 아니라 장애아동에게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평가방법이라는 장점이 있다(Gillam, Pena, & Miler, 1999). 본 연구에서는 어휘 연령이 4-6세 수준에 해당하는 학령기 다운증후군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MLE를 이용한 역동적 이야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야기 만들기 1차 평가를 실시하고 3회기에 걸쳐 단기학습을 실시한 뒤 2차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역동적 평가 과정에서 대상자의 이야기능력에 유의한 향상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다운증후군 아동의 학습 잠재력을 객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어휘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5명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역동적 이야기 평가를 실시하기 전 두 집단의 이야기능력을 비교한 뒤 같은 절차로 역동적 평가를 실시하여 다운증후군 아동의 이야기학습 잠재력을 알아보았다. 그 후 두 집단 간 이야기 학습 잠재력(1차 평가와 2차 평가 점수 차이)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야기 자료는 두 가지로 분석했는데 이야기의 형태적 측면은 구문복잡성을 C-unit 당 평균낱말길이(MLC-w: Mean Length of C-unit in word)로 평가하였고 이야기 내용적 측면은 이야기에 포함되는 이야기요소들과 이야기 구조를 형성하는 일화구조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다운증후군 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각 집단의 1차 평가 점수를 t-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또한 다운증후군 아동의 1차 평가와 2차 평가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고, 두 집단의 이야기 학습 잠재력(1차 평가와 2차 평가 간 차이)을 비교하기 공분산분석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연령을 일치시킨 다운증후군 아동과 일반아동의 1차 평가 비교 결과, 두 집단 간 MLC-w, 이야기요소, 일화구조에 있어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다운증후군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이야기 표현 능력을 나타냈다. 둘째, 다운증후군 아동은 역동적 이야기 평가를 통해 MLC-w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야기요소와 일화구조 표현능력에 있어서는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셋째, 다운증후군 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학습 잠재력을 비교한 결과, MLC-w와 일화구조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야기요소 학습 잠재력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운증후군 아동은 어휘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에 비해 형태와 내용을 포함한 이야기 표현능력이 떨어지지만 이야기 내용 학습에 있어 일반아동과 유사한 잠재력을 나타냈다. 또한 이야기 표현능력에 있어 이야기 요소에 비해 일화구조 학습 잠재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역동적 평가 결과는 추후 다운증후군 아동의 이야기능력 평가와 중재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otential of the Narrative learning for the school-aged children through dynamic assessment. As dynamic assessment evaluates how a child responds to a clue, it can measure the child’s potential and can be useful in providing significant information for intervention. Therefore, research on the potential of narrative ability,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abilities for the school-aged, has been conducted through dynamic assessment. Assessment has been done through MLE(Mediated Learning Experience), which is one of the dynamic assessment methods. The target of this study were 15 of school-aged children with Down Syndrome whose linguistic age(LA) are between 4 and 6 and 15 normal children with linguistic ability of the former’s linguistic age. The study consists of first evaluation, which includes 3 sessions of short-term learning through MLE and second evaluation. During the first evaluation, children were allowed to freely express the story with the picture book given and the short-term learning was carried out using the two picture books. Short-term learning was constituted of Intentionality, Transcendence, Meaning, Planning and Transfer which are the factors of MLE. After completion, second evaluation using a new picture book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syntactic complexity, MLC-w(Mean Length of C-unit in word) has been calculated while story component and episode structure have been calculated for the contents of the story. To compare the narrative ability of the two groups, T-test has been used for the results of the first evaluation. Also, the results of the first and second evaluation were compared through T-test to measure the potential of the narrative learning for the children with Down Syndrome. Lastly, ANCOVA was used for the comparison between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valuation) of the narrative learning for the children with Down Syndrome and that of the normal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hildren with Down Syndrome showed significantly lower ability in syntactic complexity using MLC-w, story components and episode structure than normal children. Secondly,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otential of the narrative learning for the children with Down Syndrome, the potential of syntactic learning did not show meaningful results while story components and episode structure did. Thirdly, when the narrative learning potential of the children with Down Syndrome and normal children are compared, potential for syntactic learning using MLC-w and episode structur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whereas the potential for story components learning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other words, the children with Down Syndrome had significantly lower story components learning potential than normal children. Through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although children with Down Syndrome lacks narrative expression ability compared to normal children, it was found that they have the potential for narrative learning. In addition,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with Down Syndrome and normal children in terms of the factors of narrative learning. Consequently, this will provide important reference for evaluating the narrative ability and the intervention for the children with Down Syndrome later 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