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상현-
dc.creator이상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1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0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159-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essay is on the study of 'Gammoyeoje-do(感慕如在圖)'s the origin, formation, and type with focus on classification of Gammoyeoje-do for a systemic analysis. The terminology "gammoyeyje(感慕如在)" refers to a respect to someone who passed away as if they were alive. Gammoyeo-do is a ritual painting containing the wish of ancestors' advents. This painting is produced to use in an sacrificial rite in an ancestral shrine, a sacrificial table, offer for the rite. Kyo-ei(交椅), and a tablet as its structural elements. The examination into "Ancestral Portrait(祖宗畵)" of China continue with the study of the origin of Gammoyeoje -do. Common people cannot afford the construction of Family shrine, so they build "yeongdang(影堂)"- a shrine hall where the portrait of an illustrious person is enshrined - as a substitution. However, performing rites with portrait scroll is inappropriate in the viewpoint of Confucian ideas, for such reason the term yeongdang was changed into "sadang(祠堂, shrine)." Consequently, sadang includes yeongdang which enshrines a portrait scroll. Ancestral Portrait is enshrined in yeongdang or house, and used for funeral and sacrificial rites is set down as an origin of "painted Spirit House." Ancestral Portrait is used for ritual purpose and burned after its use if a copy is available. Almost all of this type of painting are made in a form of a scroll for convenience of carrying to fit the enshrinement process. This Ancestral Portrait grew up in the toil of Confucianism and Taoism and became itself the toil of "Shrine Painting(家堂圖)." This painting which is derived from Ancestral portrait is also used for ritual purpose in a memorial service, but in this painting Sadang takes considerable portion as well as the a person in contrast with Ancestral Portrait. This Shrine Painting is considered having many influences to the style and function of Gammoyeoje-do.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Gammoyeoje-do, it is necessary to know the Shrine system(祠堂制度) in Korea. The Shrine system was practiced on a full scale from the founding of Chosun dynasty after adopting 『chu hsi's family rituals(朱子家禮)』 in the late Koryo period, although Shrine system developed during the Three Kingdom period as Confucianism derived. The system started in the early Cho-sun period but it did not spread among the commoners under King Yeong-jo in the 18th century. Gammoyeoje-do popularized in the late Cho-sun period when Confucianism firmly settled. While Shrine system became common, these who could not afford to build Sadang or provide food for the service substitute these with Gammoyeoje-do. Additionally, due to its mobility, it is used in occasions such as long journey or exile and move for work as a substitution of a Sadang, a tablet and a sacrificial table. In the latter part,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is painting depended on type, tried to examine the process of style development in this painting. Gammoyeoje-do can be boldly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is having Sadang in the painting and it can be sorted again into 1-1 and 1-2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ritual food on a table. 1-1 type represents the painting has a sacrificial table with food on it and its chronological classification is tried through a parallel comparison with the alter of "Nectar Ritual Painting." In "Surak-san Hunguk-sa Nacutar Ritual Painting(1868)," the flower vase is taken off the alter and is put on the floor. Using this portrait as a standard for classifying the made year of Gammoyeoje-do work pieces, sort these having a flower vase are made before 1868 and others not having are made after that time. 1-2 type takes the biggest portion among Gammoyeoje-do pieces and shows the styles of early and latter periods are intermixed, so make it possible to see the development process. The type 1-2 can be broken into 3 categories once again. These three are one having an wall and a gate, other having a Sadang and a tree, and the other having just Sadang in the painting. The last one which only having Sadang in it is supposed be portable, considering its size. The second category is kyo-ei type Gammoyeoje-do containing koy-ei(交椅); tall Chair for displaying an ancestral table, in the painting. This type of painting still open the possibility have accompanied by a sacrificial table when it used in a sacrificial rites. When sorting this type of painting by chronological order, some pieces of Kyo-ei having conformable made year are used to make a comparison for the shapes with the Kyo-ei in the paintings'. Among this type of paintings, there are some paintings printed with wood plate. This reflects the demands of this painting at that time. The third category is a sacrificial table type Gammoyeoje-do which is divided into the table style Buddhist portrait painting used in Buddhism ceremony and the Ancestral table chamber type and folding screen type Gammoyeoje-do among folks. Base on the figures in table style Buddhist portrait paintings with record on it, find relevant figures in the pieces of tablet type Gammoyeoje-do and assume the dates. As formerly mentioned, Gammoyeoje-do varies from a image of Buddha which is an acculturation of Buddhism to food images prepared for the ancestors as well as watermelons and yellow melons which their plenty seeds mean prospering family, to add auspicious meaning. Gammoyeoje-do became even more simple which led to the disappearence of ritual food on a table and a sacrificial table. Furthermore, it also combined with Munjado(文字圖) and the appearance of Sadang in the Munjado can be found. This combination of Munjado and Sadangdo is also visible in Vietnam. The purpose of this Gammoyeoje-do research is to collect Gammoyeoje-do and to categorize into various types and to try to make chronological order which will ultimately benefit the research in a near future.;이 논문은 感慕如在圖를 대상으로 그 연원, 성립 배경, 유형 등을 종합적으로고찰한 것이다. 특히 감모여재도感慕如在圖의 유형을 분류하여 체계적인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용어에 대해 살펴보면 感慕如在란 사모하는 마음이 지극하면 그의 모습이 실제 나타난 것과 같다는 의미로 感慕如在圖는 조상의 재림을 기원하며 숭배하는 마음을 담아 제작한 의례용 그림이다. 이 그림은 조상의 제사를 지내기 위해 별도로 지은 사당(祠堂)과 제상, 제수, 교의, 위패 등을 구성요소로 삼고 있으며, 제사에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다음으로 감모여재도의 연원을 중국에서 의례용으로 사용된 조종화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중국에서 서민들은 가묘를 세울 수 없어서 영당(影堂)을 세우도록 하였는데 영정을 대상으로 제사를 지내는 것이 유교적 관점에서 볼 때 옳지 않기 때문에 영당이라는 말을 사당이라고 고쳤다고 한다. 그러므로 사당이라는 말에 영정을 모시는 영당이 포함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중국에서 영당이나 집안에 보셔진, 장례와 제례에 사용하던 조상의 모습을 그린 祖宗畵를 감모여재도의 연원으로 삼고자 하였다. 祖宗畵는 의례용으로 사용되다가 손상되면 모본을 만들고 원본을 태우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대부분이 이동이 간편한 족자의 형태로 제작되어 봉안 절차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祖宗畵는 불교와 도교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 되었으며, 家堂圖의 탄생 배경이 되었다. 祖宗畵에서 파생된 家堂圖 역시 제사 시 의례용으로 사용되었으며, 祖宗畵와는 달리 인물과 함께 사당의 비중이 큰 그림으로 사당을 대신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이러한 家堂圖는 感慕如在圖에 형식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 感慕如在圖의 성립배경을 알기위해 사당제도에 관해서 살펴보면, 우리나라에 사당제도가 수용된 것은 유교가 들어온 삼국시대 이후부터이나 고려말에『朱子家禮』가 수용되고 조선이 건국되면서 본격적으로 사당제도가 시행되었다. 사당제도는 조선전기부터 시행되었으나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일반 서민들에게까지 일반화된 것은 18세기 英祖이후로 보인다. 이 그림은 조선후기 제사를 중요시하는 유교문화가 생활 깊숙이 자리 잡으면서 확산되었는데, 사당제도가 일반화 되었다 하더라도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사람은 사당을 갖출 수가 없거나 제사음식을 차리지 못하는 경우 感慕如在圖로 대신하였다. 또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멀리 여행 또는 귀양을 갔을 때, 관직의 이동이 있을 때에 사당과 제상, 위패의 기능을 대신하였다고 한다. 다음으로 感慕如在圖의 유형 분류를 통하여 이 그림이 어떠한 양식으로 전개되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感慕如在圖는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사당형 감모여재도로, 그림에 사당이 표현된 유형으로 제상위에 음식이 진설된 것의 유무로 다시 1-1, 1-2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1-1 유형은 제상위에 祭需가 진설된 그림으로 甘露幀의 齋壇과 비교 분석을 통하여 感慕如在圖의 편년을 시도하였다. 즉 1868년에 제작된 水落山 興國寺 甘露幀을 기준으로 재단에 있던 화병이 땅으로 내려오는데 그것을 感慕如在圖의 편년에 적용하여 화병이 제상에 있으면 1868년 이전으로, 화병이 바닥으로 내려오면 이후의 작품으로 편년하였다. 1-2 유형은 祭需가 없는 유형으로 가장 많은 수의 감感慕如在圖가 분포되어있고, 또한 초기와 후기의 양식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형식으로 감모여재도의 전개양상을 살펴 볼 수 있었다. 1-2 유형 안에서 다시 담, 대문을 갖춘 感慕如在圖와 사당과 나무가 표현된 感慕如在圖, 사당만 표현된 感慕如在圖 이렇게 다시 세 가지로 좀 더 세분화 하였다. 사당만 표현된 感慕如在圖는 크기로 보아 주로 이동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두 번째 유형은 交椅형 감모여재도로 제사 시 사용된 交椅를 화폭에 담은 유형으로 그림 앞에 제상을 따로 차려서 제사를 지냈을 가능성도 있는 형식이다. 교의형 感慕如在圖에서는 제작시기를 알 수 있는 교의와 형태 비교분석을 통하여 편년을 시도하였다. 이 유형 중에는 목판으로 제작된 感慕如在圖가 있어 그 당시에 수요를 반영해주기도 한다. 세 번째로는 위패형 감모여재도로 불교에서 사용된 위패형 진영과, 민간에서 사용된 감실형, 병풍형 감모여재도가 있다. 畵記가 있는 위패형 진영에 있는 도상의 분석으로 비슷한 도상이 있는 感慕如在圖의 편년을 추정 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感慕如在圖는 불교와의 習合으로 불상이 그려진 것도 있고, 조상을 위한 음식 뿐 아니라 자손의 번창을 위하여 씨가 많은 수박과 참외를 넣기도 하여 길상적 의미를 더하고 있다. 感慕如在圖는 점차 간결해 지면서 제상의 음식과 제상 등이 사라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문자도와 결합하여 문자도 안에 사당의 모습이 나타나기도 하였고, 베트남에서도 문자도와 사당도가 결합한 형식이 나타나고 있다. 본 感慕如在圖 연구는 感慕如在圖를 모아 유형을 분류하고 편년을 시도함으로써 앞으로 이루어질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 1 Ⅱ. 감모여재도(感慕如在圖)의 연원(淵源) = 7 1. 조종화(祖宗畵) = 8 2. 가당도(家堂圖) = 16 Ⅲ. . 감모여재도(感慕如在圖)의 성립배경 = 18 1. 주자가례(朱子家禮)의 도입과 확대 = 19 2. 조선시대 사당제도(祠堂制度) = 25 Ⅳ. 조선후기 감모여재도의 유형과 양식 = 32 1. 사당형 감모여재도(感慕如在圖) = 34 1) 1-1 유형 = 34 2) 1-2 유형 = 44 2. 교의(交椅)형 감모여재도(感慕如在圖) = 54 3. 위패형 감모여재도 = 56 Ⅴ. 맺음말 = 64 參考文獻 = 68 도판목록 = 75 도판 = 79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133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感慕如在圖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Gammoyeoje-do(感慕如在圖)'-
dc.creator.othernameLee, sang hyun-
dc.format.pageiv,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