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지원-
dc.creator정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7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0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750-
dc.description.abstract한국 미술계에서 창작 활동을 하는 예술가 중에, 직업적 예술가가 아니면서도 전문가 수준으로 진지하게 예술 활동을 하는 일반인들이 가시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들은 정기적으로 전시회를 하고 작품을 팔기도 하면서 한국 미술 협회라는 공식적인 전문 미술인 결사체에 가입되어 있다. 그러면서도 비정규 교육기관에 소속되어 창작 작업을 계속하는 특징이 있다. 한국 미술계에서 나타나는 일반인들의 진지한 예술 활동은 서구 선진사회의 특징의 하나로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인 프로-암, 즉 전문적 아마추어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비직업적으로 진지하게 예술 활동을 하는 사람들을 전문적 아마추어 화가로 보고 특히 비정규 교육기관 소속 화가를 중심으로 이들의 전문가적 특징과 존재방식을 다음과 같이 고찰한다. 첫째, 전문적 아마추어 화가를 비직업적으로 진지한 예술 활동을 하는 사람들이라는 기본적인 개념에 따라, 생계유지, 생계유지 의도, 독자적 활동, 전문 결사체 소속, 예술 활동 소득의 6가지 예술가의 기준을 적용하여 정의한다. 전문적 아마추어 화가는 예술 활동으로 생계를 유지할 의도가 없고, 독자적으로 활동하기 보다는 비정규 교육기관에 소속되어 활동하는, 미협 회원이거나 작품 판매 소득이 있는 사람으로 정의할 수 있다. 둘째, 비정규 교육기관 소속 화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그 중에서 전문적 아마추어화가의 정의에 부합하는 사람과 취미화가를 분류하고 전문적 아마추어 화가들의 예술가적 특성을 예술적 전문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예술가의 기준을 어느 것도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예술가로 분류되지 않는 취미화가와 비교할 때, 전문적 아마추어화가들은 전문화가는 아니지만 협회소속과 작품소득의 기준을 일부 만족시키므로 예술가적 가치가 있다고 보고 예술가적 특성을 본다.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전문적 아마추어화가들은 전문비평을 받을 만큼 기술적 숙련도가 높거나 예술 활동에 소비하는 시간이 전문화가에 비해 길지 않고 예술가 정체성을 갖는 확률이 낮다. 그러나 전문화가보다 오히려 전공분야의 대학교육의 필요성을 더 느끼고 있고 취미화가와 비교하면 전문적 아마추어화가들은 예술가의 명성을 중시하며 예술 활동에 투자하는 시간도 상당하다. 이 때 예술 활동에 투자하는 시간에 비례하여 예술가 정체성을 갖는 비율이 증가한다. 전문적 아마추어 화가들은 비전공자가 대부분이고 비정규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예술 활동을 계속하는 경향이 있다. 작품 전시회를 지속적으로 함으로써 전문성을 추구하고 발휘하지만 예술세계에서 전문성을 인정받는 데는 한계가 있다. 셋째, 전문적 아마추어 화가들이 전문화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예술적 전문성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예술세계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존재방식과 기제를 분석한다. 전문적 아마추어 화가들은 대부분 비정규 교육기관을 통해 미술을 시작하고 창작활동을 지속한다. 같은 교육기관의 동료들, 지도강사와 이루는 연결망은 전문적 아마추어화가의 예술 활동의 근거가 된다. 또한 바깥 예술세계와의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하는 지도강사를 통해 활동 범위를 넓힘으로써 예술세계와 연결되고 상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비정규 교육기관은 비직업적인 전문적 아마추어화가들이 예술세계와 연결되어 진지하게 예술 활동을 지속해갈 수 있게 해주는 기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전문적 아마추어 화가의 존재를 통해 직업적인 전문 예술가와는 다른 다양한 목적과 형태로 예술 활동에 헌신하는 예술가의 단면을 보임으로써, 예술가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직업적인 의도가 없이 순수하게 예술 활동에 헌신하는 전문적 아마추어 화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현실에서, 이 연구를 통해 전문적 아마추어 화가들의 예술적 전문성과 예술가로서의 가치를 제고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In the Korean art world, we find groups of amateur artists who are seriously committed to art as a leisure activity. They hold exhibitions regularly, sell their art works to the public and hold membership to Artists' Associations, yet they train and work at non-regular art institutions. These are the "Pro-Amateurs": amateurs who work to professional standards and who are now the subject of active investigation predominantly in North America. In this study they are called Pro-Am artists, and their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 of existence -focusing on artists working within the art institutes- will be investigated. First, this study substantially develops the definition of Pro-Am artists as " people who are not artists by vocation yet work to professional standards." Pro-Am artists are defined as artists who are not artists by vocation; they do not earn their livelihood through art; yet they persist in training and working in non-regular art institutes; seriously committed to art as other members of Art Associations; gaining economic profit through their work.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rtistic professionalism of Pro-Am artists. Data was obtained from 62 members of art institutes classified as Pro-Am artists and dabbl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Pro-Am artists were not qualified to obtain professional critiques, work less hours than professional artists and have less probability of identifying self as an artist. However, they did feel a need to obtain an art degree, continue to work and hold exhibitions, and tend to feel that they are artists in correlation to the time spent working. Yet they were not fully recognized as fellow artists in the art world. Thir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 of existence and mechanism through which the Pro-Am artist continues to work in the art world, though their artistic expertise remain limited. Pro-Am artists usually begin work in the non-regular art institutes and remain there. So the network with other colleagues working together and the professional artist teaching them takes on the role of gatekeeper and becomes the contact to the art world. Therefore the non-regular art institute is a critical mechanism linking them to the outside art world. This study shows a different kind of artist who exists for different purpose and commits to art differently by contrast to the vocational artist, and so it raises the point that various kinds of artists exist and compose the art world. In the current society where Pro-Am artists are not fully recognized or understood by the art world, this study attempts to make clear the artistic professionalism and value of the Pro-Am arti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논의 = 5 1. 진지한 여가활동과 전문적 아마추어 = 5 2. 예술가의 정의 = 9 3. 사회 연결망 = 13 Ⅲ. 연구 틀과 연구방법 = 16 1. 연구문제 = 16 2. 연구 틀 = 21 3. 연구방법 = 23 Ⅳ. 전문적 아마추어화가의 예술가적 정의 = 28 1. 전문적 아마추어화가의 분류 기준 = 28 2. 전문적 아마추어화가의 예술가적 정의 = 39 3. 전문적 아마추어화가의 규모 = 42 Ⅴ. 전문적 아마추어 화가의 예술가적 전문성 = 46 1. 관념·인식적 전문성 = 46 2. 행위·조직적 전문성 = 52 3. 사례 연구 = 61 Ⅵ. 전문적 아마추어 화가들과 예술세계의 관계 = 65 1. 조직 내의 동료들과의 관계 = 65 2. 지도강사와의 관계 = 69 3. 외부 예술세계와의 관계 = 75 Ⅶ. 결론 및 토론 = 82 1. 결론 = 82 2. 연구의 한계와 함의 = 84 참고문헌 = 86 <부록> 설문지 = 89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60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미술계의 전문적 아마추어(Pro-Am)-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비정규 교육기관 소속 화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Pro-Am in Korean Art World : the case of artists training and working in non-regular Art Institutes.-
dc.creator.othernameChung, Jiwon-
dc.format.pageiv,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