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전자저널 이용통계 표준화에 관한 연구

Title
전자저널 이용통계 표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tandardization in Usage Statistics of Electronic Journals
Authors
정은경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이용자의 전자저널 요구를 파악할 수 있고, 필요한 전자저널을 구입하는데에 기초가 될 수 있는 전자저널 이용통계의 신뢰성 있고, 비교가능한 수집 및 관리를 위하여 전자저널 이용통계의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현황조사, 설문조사, 면담 및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전자저널 이용통계의 개념, 필요성, 활용분야 그리고 전자저널 이용통계 표준화의 필요성과 관련 국제 표준안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국내 현황조사에서는 국내전자저널 제공기관을 중심으로 전자저널 이용통계 표준화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전자저널 담당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담을 통해 전자저널 이용통계 측정 및 표준화 현황과 이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였다. 국내전자저널 서비스 제공기관의 실무담당자를 대상으로 2008년 2월 19일부터 2008년 2월 28일까지 10일 동안 전자 우편을 이용해서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답변이 미흡한 부분은 2008년 3월 3일부터 3월 7일까지의 기간 동안 2차적으로 응답자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국외 사례연구에서는 전자저널 이용통계 표준인 ICOLC 가이드라인 준수 기관임을 전제로 도서관 또는 컨소시엄의 특성에 맞게 표준을 개발하거나 항목을 추가하여 관리하는 지리적 특수성 또는 언어적 특수성을 가진 국가 가운데, 중동(이스라엘, 터키), 호주, 뉴질랜드 지역에서 제공하고 있는 이용통계 가이드라인을 파악하고 해당 표준화 항목을 조사, 분석하였다. 국내 전자저널 제공기관에서의 이용통계 표준화에 관련된 설문조사 및 면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저널 이용통계는 전자저널 제공기관에서 측정하여 도서관에 제공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도서관에서 구독하는 해외 전자저널은 대부분 이용통계 표준을 준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전자저널 제공기관은 이용통계 표준이 없거나, 국제 표준 중 일부도 준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자저널 이용통계를 위해 고려하는 데이터요소는 기관별로 모두 다르게 측정하고 있었다. 설문조사 대상인 국내 전자저널 제공기관에서는 로그인 횟수를 기본값으로 고려하고 있었으나, 이용통계의 데이터 항목이나 빈도 등이 제각각으로 기준 없이 측정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현재 국내의 전자저널 이용통계를 수집, 측정하는 일련의 기초 활동은 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기준이 존재하지 않고 있었다. 셋째, 현재 많은 해외 전자저널 제공기관이 준수하고 있는 국제 표준인 Counting Online Usage of Networked Electronic Resources (이하 COUNTER) 준수를 기본으로 국내 실정에 맞게 통계를 제공한다고 해도, 이를 통합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부재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포탈 검색이 활성화되어 있는 국내의 경우, 다양한 접근 경로로 검색이 이루어고, 이용자의 접근 경로가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기 때문에 체계적인 시스템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표준 개발 및 준수에 관한 공감대 미형성과 전문적인 담당 부서 및 인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이용통계 표준화는 전무한 실정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전자저널 이용통계의 데이터 항목의 일관성 있는 기준 설정에서부터 관리 및 전달 시스템, 운영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관하여 표준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전자저널 이용통계의 표준화 방향을 제시한 후, 구체적인 표준화 모형안을 제안하였다. 관련 전자저널 이용통계의 표준화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성 있고, 비교가능하며, 일관성이 있는 이용통계의 수집을 위하여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측정의 기준이 되는 데이터항목의 표준을 정하고, 동일한 데이터항목의 정의 및 데이터 수집 시기와 주체에 대한 일관된 기준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력, 비용, 시간 등의 여유가 없어서 국내 전자저널 제공기관 간의 표준의 필요성에 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정책적 방안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포탈 검색이 활성화되어 있는 국내의 경우, 다양한 접근 경로로 검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용자의 접근 경로가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기 때문에 체계적인 시스템이 요구된다. 끝으로 이용통계 표준화 방향에서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데이터 항목, 시스템, 운영의 측면에서 전자저널 이용통계의 표준화 모형 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형식과 내용이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운 데이터항목 표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로그인 횟수, 질의 횟수, 접속거절 횟수, 메뉴 선택 횟수, 원문이용이 검토된 아이템 수의 5가지 표준화된 데이터 항목과 정의를 제안하였다. 둘째, 제안된 데이터항목을 기준으로 ERMS 솔루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SUSHI 표준을 활용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전자저널 제공기관과 도서관 컨소시엄의 가입 및 구성이 우선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for standardization of usage statistics of electronic journals. This paper consists of the literature research, present status research, questionnaire survey, interviews and case studies. Through study of literatures, the concept, necessity and the areas of application of the usage statistics of electronic journals, the necessity of standardization of usage statistics of electronic journa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ft of international standards were studied. From status research, this paper indic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se standardization of usage statistics in other countries. In the study of domestic status, the status of standardization of usage statistics of electronic journals was examined with the focus on organizations providing electronic journals. The status of measurement and standardization of usage statistics of electronic journals and requirements were inquired to working level employees of electronic journals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Questionnaires were sent and answered by the working level employees of the providers of domestic electronic journals using e-mail during a period of 10 days starting from Feb., 19, 2008 until Feb. 28, 2008 and, for those whose answers were insufficient,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the subjects during a second period from Mar. 3, 2008 until Mar. 7, 2008.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garding standardization of usage statistics in the domestic providers of electronic journals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out that the usage statistics are measured and provided to libraries by the providers of electronic journals. Although most of the overseas electronic journals are subscribed as observing the standards of usage statistics, the domestic electronic journals either do not have any standards of usage statistics or do not observe even a par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s. Second, the data factors which are considered for usage statistics of electronic journals were measured all differently by organization. Though, all the four organizations considered the number of the times of login as a basic value, it was found that the data items or frequency of usage statistics were measured all differently without standards. That is to say, though a series of basic activities of collecting and measuring usage statistics of electronic journals is currently performed, there was no systematic standards. Third, opinions were presented that, even in case statistics are provided basically in compliance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COUNTER which many overseas providers of electronic journals are complying, there is no system with which the statistics can be integrated and controlled. And, in the domestic case where portal search is active, as the access routes of users are not clear because searches are carried out through various access routes, we came to know that a well organized system is required. Fourth, it was estimated that there is no standard for usage statistics because there is no formation of chemistry for development and observation of a standard and because of lack of professional departments and manpower in charge. Thus, it is needed to make efforts for standardization of the whole process from establishing the consistent standard for data items of usage statistics of electronic journals till running a management and conveyance system. Based on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a concrete model of standardization is suggested after presenting the direction for standardization of usage statistics of electronic journals. The direction for the standardization of usage statistics of the related electronic journals is as follows: First, for collection of usage statistics reliable, comparable and consistent, what are needed above all are to fix the standards of data items which are the criteria for measurement and to provide definitions of same data items and consistent standards for the time and subjects of data collection. Second, as the reason why the chemistry between the providers of electronic journals for necessity of standards could not be formed was turned out to be because of short of manpower, expenses and time, a policy to solve this problem should be established. Also, in the domestic case where portal search is active, as the access routes of users are not clear because searches are carried out through various access routes, a well organized system is required. Finally, the standard model of usage statistics was suggested to based on data, system and ope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